사랑에 관한 자료는 2020년 1월 19일 주일 설교 원고를 기초 자료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처음 원고를 수정하여 up grade 하여 수정 보완합니다.
설교가 아니라 설교를 할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설교자들의 입장에서 응용하여 더 은혜롭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
(도입 예화) 희랍의 힐루카 대왕의 이야기 고대 희랍에 전설적인 힐루카 왕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법 정신은 공의에 의해서 지켜져야 합니다. 당시 사회가 안고 있던 큰 문제는 미성년자들이 음행에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미성년자들의 잘못된 생활을 법으로 다스리기 위하여 매우 엄한 법을 공포했습니다. 그 법은 음행 하다가 붙잡힌 미성년자들은 두 눈을 뽑아 버린다는 것이었습니다. 한동안 세상은 조용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힐루카 왕의 하나 뿐인 아들 젊은 왕자가 붙잡혀 왔습니다. 재판장은 매우 난처했습니다. 장차 왕위를 계승할 왕자의 두 눈을 뽑으면 눈이 없어 볼 수 없는 왕을 세워야 합니다. 왕자에게만 특혜를 주면 법의 공정성이 무너질 것입니다. 그때 주저하는 재판장에게 힐루카 왕은 법대로 집행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왕자의 오른쪽 눈이 뽑혔습니다. 이어서 나머지 왼쪽 눈을 뽑으려고 할 때 힐루카 왕은 자신의 왼쪽 눈을 뽑게 했습니다. 왕자의 잘못도 법대로 처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백성들은 다시는 법을 어기는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 사랑의 정신은 공의로운 실천에 의해서 실현되어야 합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 로마서 13:10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Love does no harm to its neighbor. Therefore love is the fulfillment of the law. 갈라디아서 5:14 온 율법은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 같이 하라 하신 한 말씀에서 이루어졌나니. The entire law is summed up in a single comman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율법이란 무엇입니까? 레위기 19:18 원수를 갚지 말며 동포를 원망하지 말며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 나는 여호와니라. 'Do not seek revenge or bear a grudge against one of your people, but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 am the LORD. 율법은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했습니까? 어느 누구도 이 질문에 "예"라고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면 어느 누구도 지킬 수 없는 율법을 주셨을까요? 인간이 지킬 수 없는 법을 주신 하나님의 의도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법을 지키지 못하면 범법자가 됩니다. 범법자는 반드시 벌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벌을 받아야 할 백성들을 위하여 자신의 눈을 뽑게 했던 힐루카 왕처럼 사랑의 하나님은 그의 아들을 속죄의 제물로 바쳤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율법은 죄를 깨닫게 합니다. 로마서 3: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Therefore no one will be declared righteous in his sight by observing the law; rather, through the law we become conscious of sin. 로마서 7:7,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율법이 죄냐 그럴 수 없느니라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고는 내가 죄를 알지 못하였으니 곧 율법이 탐내지 말라 하지 아니하였더면 내가 탐심을 알지 못하였으리라. |
What shall we say, then? Is the law sin? Certainly
not! Indeed I would not have known what sin was except through the law.
For I would not have known what coveting really was if the law had not
said, "Do not covet." |
야고보서 2:10 누구든지 온 율법을 지키다가 그 하나를 범하면 모두 범한 자가 되나니. For whoever keeps the whole law and yet stumbles at just one point is guilty of breaking all of it. 갈라디아서 2: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로 말미암음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알므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로써가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써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know that a man is not justified by observing the law, but by faith in Jesus Christ. So we, too, have put our faith in Christ Jesus that we may be justified by faith in Christ and not by observing the law, because by observing the law no one will be justified. |
그러나 신약 성경을 기록한 '코이네 헬라어'와 '헬라어'에는 사랑이란 단어를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먼저 사랑이란 다양한 단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랑이란 단어의 의미를 분명하게 살펴야 하는 이유는 언어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랑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문제는 현대인들의 언어가 정확한 의미대로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사랑(LOVE)과 좋아하는 것(LIKE)은 분명하게 다르다고 하겠습니다.
사랑이란 자기 희생과 헌신이 있습니다.
반면에 좋아하는 것을 위해서 자기 생명을 내려놓을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아하는 것을 마치 사랑하는 것이라고 착각합니다.
예를 들면 나라를 사랑한다는 대상을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부모를 사랑한다.
형제를 사랑한다.
친구를 사랑한다.
애인을 사랑한다.
음악을 사랑한다.
꽃을 사랑한다.
개(伴侶犬)를 사랑한다.
고양이(伴侶猫)를 사랑한다.
문학을
사랑한다.
교회를 사랑한다.
학문을 사랑한다.
우리 말에서는 사랑이란 단어 하나만으로도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나 헬라어에서는 사랑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했습니다.
첫째는 스토르게(storge, φιλόστοργος)(5387. philostorgos)
Definition : tenderly loving
Usage : tenderly loving, kindly affectionate to.
로마서 12:10(형제를 사랑하여)
형제를 사랑하여 서로 우애하고 존경하기를 서로 먼저 하며.
Be devoted to one another in brotherly love. Honor one another above yourselves.
둘째는 필리아(philia, φιλία)(5373)
Definition : friendship
Usage : friendship, affection, fondness, love.
야고보서 4:4(세상과 벗된 것)
간음하는 여자들이여 세상과 벗된 것이 하나님의 원수임을 알지 못하느뇨 그런즉 누구든지 세상과 벗이 되고자 하는 자는 스스로 하나님과 원수되게 하는 것이니라.
You adulterous people, don't you know that friendship
with the world is hatred toward God? Anyone who chooses to be a friend
of the world becomes an enemy of God.
셋째는 에피투미아(epithumia, ἐπιθυμία)(1939)
Definition: desire, passionate longing, lust
Usage: desire, eagerness for, inordinate desire, lust.
마가복음 4:19(욕심),
세상의 염려와 재리의 유혹과 기타 욕심이 들어와 말씀을 막아 결실치 못하게 되는 자요.
but the worries of this life, the deceitfulness of
wealth and the desires for other things come in and choke the word,
making it unfruitful.
누가복음 22:15(원하고 원하였노라)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And he said to them, "I have eagerly desired to eat this Passover with you before I suffer.
넷째는 에로스(eors, Ἔρως)
성경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단어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연정과 성애의 신이다.
로마 신화에서 아모르 또는 큐피드와 같다.
아레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었다.
고대 그리스어로 주로 이성에 대한 강렬한 성적 욕구를 의미하는 보통명사가 신격화된 것이다.
(예화) "토마스 불핀치(Thomas Bulfinch, 1796. 7. 15~ 1867. 5. 27)" 신화(mythology)에서 "아폴로와 다퓌네(Apollo and Daphne)"
희랍 신화에 아폴로와 다퓌네라는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큐피트는 신비한 활과 화살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나는 금촉 화살입니다.
금촉의 화살을 맞으면 누군가를 사랑하게 합니다.
또 다른 화살은 납촉 화살입니다.
납촉 화살을 맞으면 사람을 증오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런 화살을 맞으면 맞은 사람은 어떤 화살을 맞았는지 알지 못합니다.
어느날 전쟁에서 승리한 개선 장군 아폴로가 많은 사람들의 환영으로 받으며 성내로 들어옵니다.
그때 큐피트가 작은 활과 화살을 갖고 있었는데 아폴로는 큐피트에게 그런 것은 전쟁을 위한 무기이지 어린 아이들이 갖고 놀이하는 것이 아니라며 큐피트를 꾸짖었습니다.
비록 큐피트가 어렸지만 아폴로 장군의 으시대는 꼴을 싫어하여 아폴로에게 금촉 화살을 당겼습니다.
그리고 다퓌네는 숲의 신의 딸이었는데 다퓌네에게 납촉 화살을 쏘았습니다.
아폴로가 숲의 신의 딸 다퓌네를 보는 순간 그녀를 사랑하게 됩니다.
미친듯이 다퓌네를 쫓아가면 다퓌네는 그 많은 여인들이 흠모하는 아폴로를 보기 싫다며 도망칩니다.
쫓고 쫓기는 사랑과 미움의 전쟁은 계속되면 될 수록 아폴로의 마음은 점점 더 다퓌네를 향하여 뜨겁게 타올랐습니다.
어느 날 아폴로는 오늘이 기어이 다퓌네를 붙잡겠다며 사력을 다하여 쫓아가서 드디어 다퓌네의 허리를 부둥켜 안았습니다.
그때 다퓌네는 아버지 숲의 신에게에 도움을 청합니다.
다급한 딸의 외침을 듣고 다퓌네를 나무로 변하게 만들었지요.
아폴로가 다퓌네의 허림을 부둥켜 안는 순간 눈을 감았다가 떠 보니 다퓌네의 허리가 아니라 나무 기둥이었습니다.
얼마나 허망할까요?
다퓌네의 치렁치렁한 머리는 나뭇잎이 되었고
다퓌네의 두 다리는 나무의 뿌리가 되었으며
다퓌네의 두 팔은 나무 가지가 되었습니다.
아폴로는 그토록 사랑했던 여인이 나무가 되었기에 이렇게 외칩니다.
"너는 이제부터 영원한 나무가 되어라!"
(You are ever green tree forever!)
이렇게 부르는 것도 서운하여 마라톤 우승자에게 월계수나무로 만든 월계수 관을 씌워주는 전통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다섯째는 아가페(agape, ἀγάπη)(26)
Definition : love, goodwill
Usage : love, benevolence, good will, esteem; plur: love-feasts
마태복음 24:12(사랑이 식어지리라)
불법이 성하므로 많은 사람의 사랑이 식어지리라.
Because of the increase of wickedness, the love of most will grow cold.
누가복음 11:42(하나님께 대한 사랑)
화 있을찐저 너희 바리새인이여 너희가 박하와 운향과 모든 채소의 십일조를 드리되 공의와 하나님께 대한 사랑은 버리는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아니하여야 할찌니라.
Woe to you Pharisees, because you give God a tenth of your mint, rue and all other kinds of garden herbs, but you neglect justice and the love of God.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 without leaving the former undone.
요한복음 5:42(다만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다만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너희 속에 없음을 알았노라.
but I know you. I know that you do not have the love of God in your hearts.
사랑이란 단어가 우리 말처럼 단순하게 사용된 것이 아니라 때에 따라 필요한 단어를 사용하므로 당시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한 예를 성경에서 찾아봅시다.
요한복음 21장에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고기를 잡던 베드로에게 찾아오셔서 그물을 배 오른 편으로 던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베드로는 노련한 어부이었지만 밤새도록 고기를 잡지 못하여 피곤하고 지쳤습니다.
그런데 누가 그물을 배 오른 편으로 던져보라고 하는 소리를 듣고 순식간에 그물을 배 오른 편으로 던졌습니다.
그러자 그물을 잡아 당기면서 얼마나 많은 고기가 잡혔는지 직감적으로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물을 배 오른 편으로 던지라고 말씀하셨던 분이 예수님이시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잡은 물고기를 구워 아침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세 번씩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라고 물었습니다.
베드로는 예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십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베드로가 사용한 사랑이란 단어는 "필리아" 라는 단어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단어는 "아가페"와 "필리아"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처음과 두번째는 아가페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세번째는 필리아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아가페라는 사랑은 베드로처럼 주님을 모른다고 부인했던 입장에서는 도저히 사용할 수 없는 사랑입니다.
변함없이 사랑하고 자기를 희생할 수 있는 헌신적인 사랑으로 마치 하나님이 인간을 사랑하는 것처럼 또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기까지 사랑하는 것처럼 사랑하는 것을 말합니다.
필리아라는 사랑은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과 같은 사랑을 말합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네가 나를 아가페 하느냐? 물었을 때 어떻게 베드로가 주님에게 아가페라고 대답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러니 필리아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베드로의 마음을 헤아리셨던 예수님께서 마지막으로 묻습니다.
네가 정말 나를 필리아할 수 있느냐?
그러자 베드로는 예 나는 주님을 필리아 할 수 있다고 고백한 것입니다.
여러분 얼마나 많은 신혼부부들이 예식장에서 주례와 증인들 앞에서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될 때까지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서로 사랑할 것을 다짐하고 약속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많은 부부들이 서로 헤어지고 있습니까?
인간들의 사랑이란 이렇게 약속을 지킬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사랑시리라는 말씀은 인간들이 배신하고 떠나버려도 여전히 사랑하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말씀은 "용서하는 사랑"이라고 하겠습니다.
1st. 가죽옷(창세기 3:21)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The LORD God made garments of skin for Adam and his wife and clothed them.
아담과 하와는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부끄러운 부분을 감추려고 합니다.
그런데 나무잎은 해가 뜨면 곧 잎이 마르고 시들어버립니다.
그러나 여호와 하나님은 짐승을 잡아 그 가죽으로 옷을 만드셨습니다.
그리고 그 가죽옷을 아담과 하와에게 입히셨습니다.
가죽옷의 특징은 짐승을 잡아 죽일 때 생명을 잃은 짐승은 피를 흘릴 수밖에 없습니다.
무화과나무 잎은 피가 없는 옷 즉 용서가 없는 옷입니다.
반면에 가죽옷은 짐승의 피가 있는 옷입니다.
성경은 피를 생명이라고 합니다(신명기 12:23)
다만 크게 삼가서 그 피는 먹지 말라 피는 그 생명인즉 네가 그 생명을 고기와 함께 먹지 못하리니.
But be sure you do not eat the blood, because the blood is the life, and you must not eat the life with the meat.
성경은 피를 용서라고 합니다(히브리 9:22).
율법을 따라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하게 되나니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In fact, the law requires that nearly everything be cleansed with blood, and without the shedding of blood there is no forgiveness.
용서의 특징은 덮어주는 것입니다.
가죽옷으로 덮어주신 하나님의 사랑(창세기 3:21)
에덴동산에서 죄를 지은 아담과 하와에게 "가죽옷"으로 덮어주셨습니다.
방주의 안과 밖을 역청을 바르게 하신 하나님의 사랑(창세기 6:14)
노아가 방주를 만든 나무를 '잣나무'라고 합니다. 그런데 개역 개정판 성경에서는 '고페르 나무'라고 합니다.
그리고 역청을 바르라고 하셨습니다. 역청을 "코페르"라고 합니다. 코페르라는 단어는 "속죄" 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속죄제 제물의 피를 제단에 뿌림으로 속죄의 제사를 드리는 사람의 죄를 덮어주셨습니다.
이와 같은 피로 덮는 용서가 완성된 것은 십자가 사건입니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께서 피를 흘리시므로 모든 사람의 죄를 덮어주셨습니다.
예수께서 흘리신 피를 "화목제"라고 합니다.
화목제로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사랑
요한일서 4:10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인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
화목제를 히브리어로 "제바흐 쉘라밈" 이라고 합니다.
제바흐는 제물, 쉘라밈은 평화(샬롬의 복수형)
화목제 제사의 특징
첫째는 암수 모두 바칠 수 있다.
둘째는 기름과 콩팥을 드린다.
(기름이 잘 타기 때문이다)
셋째는 남은 제물은 바친 사람과 가난한 사람들이 나눠 먹을 수 있다.
(단 3일 이내에 만 먹어야 하고 그 후에는 반드시 불에 태워버려야 한다)
넷째는 평등 의무 제사
화목제는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배려하는 산비둘기, 집비둘기의 새끼는 제물을 받지 않는 평등의무 제사였습니다.
즉 성막을 지을 때에는 부자나 가난한 자 모두에게 똑 같은 속전을 거두시게 하신 것처럼, 평등하게 부담하게 하셨습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은혜는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하나님의 공의를 보여주는 제사이기 때문입니다.
화목제 제사의 근거
로마서 3:23-26
23.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 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25.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26.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라.
for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and are justified freely by his grace through the redemption that came by Christ Jesus.
God presented him as a sacrifice of atonement, through faith in his blood. He did this to demonstrate his justice, because in his forbearance he had left the sins committed beforehand unpunished.
he did it to demonstrate his justice at the present
time, so as to be just and the one who justifies those who have faith in
Jesus.
디모데전서 2:4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who wants all men to be saved and to come to a knowledge of the truth.
요한계시록은 성경의 마지막 책입니다.
무섭게 교회와 성도들을 핍박하던 시대에 기록된 말씀으로 빨리 예수님 오시기를 갈망한 예언서입니다.
그런데 2천년이 지난 지금도 주님은 다시 오시지 않았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고 예수님을 알기를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요한계시록 1:1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일어날 일들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의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알게 하신 것이라.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which God gave him to
show his servants what must soon take place. He made it known by sending
his angel to his servant John.
* 5034, 속히(타코스, tachŏs) τάχος
- 시간적으로 빠른 이란 의미가 아니라 "반드시" 라는 뜻입니다.
요한계시록 22:20
이것들을 증언하신 이가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속히 오리라 하시거늘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
He who testifies to these things says, "Yes, I am coming soon." Amen. Come, Lord Jesus.
* 5035, 속히(타쿠, tachü) ταχύ
- 서둘러서, 빨리, 지체말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속히" 라는 의미를 자세하게 설명하려고 설교한 자료를 소개합니다.
요한계시록 편에 보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차 설교일 / 03-31-2019
또 그가 내게 말하기를 이 말은 신실하고 참된지라 주 곧 선지자들의 영의 하나님이 그의 종들에게 반드시 속히 되어질 일을 보이시려고 그의 천사를 보내셨도다.
The
angel said to me, "These words are trustworthy and true. The Lord, the
God of the spirits of the prophets, sent his angel to show his servants
the things that must soon take place."
* 속히 될 일(What must soon take place) - 곧 일어날 일, 반드시 일어날 일
속담에 ‘구슬이 세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단편적인 지식과 정보를 하나로 연결해야만 바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 두 주일에 소개했던 설교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요한계시록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요한계시록은 오직 예수로만 읽어야 합니다.
프리즘(Prism)은
빛을 굴절 분산시키는 광학도구를 사용하여 햇빛을 통과시키면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은 무지개 색으로 분해되어 영롱하게 나타납니다.
이제까지 우리가 들었던 성경에 관한 모든 단편적인 정보들을 하나로 모아야 합니다. 그리고 예수라는 렌즈로 통과시켜 주님 오실 그
날을 기다려야 합니다.
요한계시록은 어떤 책일까?
요한계시록은 계시의 말씀입니다. 계시란 하나님의 구원 방법과 계획이란 비밀을 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요한계시록은 예언의 말씀입니다. 예언이란 어떤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지라도 주를 믿으면 구원을 받는다는 믿음을 끝까지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요한계시록은 편지의 말씀입니다. 편지는 직접 찾아가서 전할 수 없는 내용을 글로 적어 보낼 수 있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계시하였고 예언하셨던 말씀을 글로 적어 보내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속히 될 일’이란 무엇일까?
요한계시록을 읽고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세는 먼저 요한계시록의 범위 안에서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범위를 성경 전체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성경의 교훈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요한계시록 22장 19절에 “만일 누구든지 이 두루마리의 예언의 말씀에서 제하여 버리면 하나님이 이 두루마리에 기록된 생명나무와 및 거룩한 성에 참여함을 제하여 버리시리라.” 이렇게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속히 될 일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서 “속히”라는 단어가 요한계시록과 성경에서 사용된 말씀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요한계시록에 “속히”라는 단어가 사용된 구절 수가 본문을 포함하여 8구절로 소개됩니다.
(1:1, 2:6, 3:11, 11:14, 22:6, 22:7, 22:12, 22:20).
“속히”
라는 단어가 사용된 모든 구절들을 살펴야 합니다.
그러나 제한된 시간 때문에 설교의 주제에 합당한 구절들을 살펴보면 ‘속히 될
일’이란 22장 6절에서 “속히 되어질 일” 이라고 소개합니다.
이어서 “속히 될 일” 이란 3장 11절, 22장 7절과 12절
그리고 20절에서 “속히 오리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속히 될 일”은 “속히 오리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한계시록이 기록된 시기가 대략 기원 후 96년이라고 합니다. 2천 년 전에 속히 될 일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아직 주님은 오시지 않았습니다. 속히 될 일 즉 주님의 재림이 아직도 실현되지 않은 것을 어떻게 이해할까요?
시간(時間) 개념(槪念)
속히 될 일에 대해서 시간 개념으로 해석하면 ‘빠르다’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속히 이루어질 일이라고 이해하기 때문에 당장 오늘 아니면 내일 아니면 내 생전에 오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님의
십자가 사건과 부활을 목격했던 제자들은 그들이 살아있을 동안에 주님이 오실 것으로 믿고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제자들이 하나 둘
세상을 떠나면서 제자들은 그들이 만났던 주님에 대한 증거를 후대 사람들에게 전하려고 복음서를 시작으로 신약 성경을 기록했습니다.
만일 주님이 제자들 생전에 오셨다면 성경이 기록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오실 주님이 오시지 않았을 때 하나님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이 다르다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다’는 베드로후서 3장 8절의 말씀을 인용하여 하나님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이 다르다는 식으로 설명합니다. 이와 같은 해석은 인위적인 방법이므로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사도행전 1:6∼7
예수께 여쭈어 이르되 주께서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 때니이까 하니. 이르시되 때와 시기는 아버지께서 자기의 권한에 두셨으니 너희가 알 바 아니요.
장소(場所) 개념(槪念)
속히 될 일에 대한 해석을 시간적으로 해석하면 반드시 오실 장소에 대한 궁금증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어디에’ 오실 것을 찾게 됩니다. 그러므로 어느 특별한 장소를 마치 계시를 통해 받은 것처럼 소개합니다.
예를 들면 과천, 피지 섬, 브라질, 계룡산과 같은 곳이 될 것이라며 사람들을 미혹합니다.
인물(人物) 개념(槪念)
속히 될 일을 시간과 장소로 해석하면 그 다음에는 누가 그 일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어느 특정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면 1992년 시한부종말론의 이장림,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지상낙원 피지 섬으로 집단 이주시키는 사례(은혜로교회
신옥주), 두 증인 중 한 사람이라며 영원불멸의 교주(전도관 박태선), 북한이 전쟁을 일으킬 것이므로 교인들은 전 재산을 정리해서
브라질에 마련한 4천만평의 땅으로 집단 이주하여 마지막 때를 준비하라는 교회도 있습니다.
영적(靈的) 개념(槪念)
속히
될 일이란 시간과 공간과 인물 중심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묵시문학의 특징인 영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영적 세계에서는 시간
개념과 장소 개념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속히’라는 말은 ‘확실히’ ‘틀림없이’ 라는 속뜻으로 ‘반드시 될 일’이라고 해석해야
합니다.
“속히” 라는 의미를 ‘문자적’으로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면 본질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요한계시록은 묵시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묵시문학의 특성을 전제하고 해석해야 합니다.
묵시문학에서 “속히” 라는 의미는 “확실히” 또는 “틀림없이” 라는 뜻으로 “속히 될 일”이란 “반드시 일어날 일”이란 뜻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요한계시록에서
‘속히 될 일’이란 ‘속히 오리라’는 말씀이므로 2천 년이 지난 지금도 주님은 오시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2천년이 지나도 오시지 않았기에 아마 오시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속히
오리라는 말씀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지만 반드시 실현 될 것이라는 약속의 말씀입니다.
(전개 이야기)
미국 여성
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펄벅 여사는 선교사인 아버지를 따라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어느 해 중국에 극심한 가뭄이
들었을 때 그녀가 살던 마을에 백인 선교사의 가족들이 우리 마을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신이 분노하여 가뭄이 계속 된다는 소문이
돌았고 그 소문은 점점 분노로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어느 날 밤에 마을 사람들이 삽, 곡괭이, 쇠스랑 등 농기구를 들고
펄벅의 집으로 몰려온다는 소문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아버지가 외국 출장 중이라 집에는 어머니와 어린 펄벅밖에 없어서 아무런 대책도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그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집안에 있는 찻잔을 모두 꺼내 차를 준비하고 케이크와 과일도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손님들을 초대한 것처럼 대문과 집안의 모든 방문을 활짝 열어놓고 어린 펄벅에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도록 하시고 어머니는 바느질감을
잡았습니다.
얼마 뒤 농기구를 든 사람들이 몰려왔습니다. 그들은 대문이 굳게 잠기고 집안은 깜깜할 것이라고 여기고
횃불을 들고 펄벅의 집으로 몰려들었습니다. 그런데 대문이 열려있어 마당으로 들어섰더니 모든 방문이 열려 있고 방마다 불이 환하게
켜진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또한 방마다 차와 케이크 그리고 과일이 차려진 것을 보고 어리둥절하여 서로 얼굴을 쳐다보며
멈칫거리고 있었습니다. 그때 어머니는 정중하게 마을 분들을 맞이하며 “어서 오십시오. 정말 잘 오셨습니다. 방으로 들어오셔서
차라도 한 잔씩 드시면서 말씀하십시오.” 그 말을 듣고 더 어리둥절 하는데 그들 중 어느 한 사람이 횃불을 내려놓고 방으로
들어가자 다른 사람들도 그를 뒤따라 방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구석에서 놀고 있는 아이와 어머니의 얼굴을 한참 바라보더니 차를
마시고 케이크와 과일을 먹고 그냥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그날 밤 그토록 기다리던 비가 내렸습니다. 훗날 어머니는 어른이 된 펄 벅
여사에게 그날 밤 일을 이렇게 회고했다고 합니다.
“그날 밤 조금이라도 도망칠 방법이 있었다면 도망치다가 잡혀서 어떻게 될지 모르는 살벌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막다른 골목에서 어차피 피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인지라 모든 것을 각오하고 그런 용기를 내어 보았단다.”
그리고 어머니는 입버릇처럼 말씀하셨다. “용기는 절망에서 생긴다.” 이 말은 펄 벅 여사가 절망적인 순간에 항상 떠올리는 말이 되었다고 합니다.
속히 될 일은 속히 오리라는 약속으로 반드시 오실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아직 주님께서 다시 오시지 않았다는 것은 오래 참고 기다리시는 주님의 사랑을 새롭게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왜
주님께서 속히 오리라고 말씀하셨는데 아직 오시지 않으셨을까요? 그 이유는 주님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들의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속히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마태복음 5:25
너를 고발하는 자와 함께 길에 있을 때에 급히 사화하라 그 고발하는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내어 주고 재판관이 옥리에게 내어 주어 옥에 가둘까 염려하라.
* 급히(ταχύ) 사화하라 - 속히(ταχύ) 사화하라
(현대인 성경) 타협하라
(공동번역) 화해하여라
(새번역) 화해하도록 하여라
‘사화하다’(유노온, 능동형)는 상처를 준 사람이 먼저 해야 할 일입니다. 사화(사과)는 상처를 준 사람이 해야 하고, 화해는 상처를 받은 사람이 해야 합니다. 사화와 화해가 이루어진 것을 합의라고 합니다.
마태복음 28:7
또 빨리 가서 그의 제자들에게 이르되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고 너희보다 먼저 갈릴리 가시나니 거기서 너희가 뵈오리라 하라 보라 내가 너희에게 일렀느니라.
* 빨리(ταχύ) - 속히(ταχύ)
성도들이
속히 해야 할 일은 부활의 소식을 빨리 가서 알려야 합니다. 종말이 있다고 믿으면서도 부활의 소식을 빨리 알리지 않는다는 것은
성경적인 종말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 성도들만 사랑하신 것이 아닙니다.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을지라도 여전히 유대인들을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내가 부활의 소식을 전해야 할 대상이 누구인지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부활의 소식을 함께 나누며 주님 오실 그 날을 함께 준비할 수 있는 믿음으로 무장해야 하겠습니다.
속히 될 일이란 하늘로 올라가신 주님께서 속히 오실 것이라는 사건입니다. 주님이 속히 오신다고 하셨기 때문에 속히 오실 때에 어떤 일들이 일어날 것입니까?
20:15 -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못에 던져지더라.
21:27 - 무엇이든지 속된 것이나 가증한 일 또는 거짓말하는 자는 결코 그리로 들어가지 못하되 오직 어린 양의 생명책에 기록된 자들만 들어가리라.
그러므로 어린 양의 생명책에 내 이름이 기록되어야 합니다.
어린 양의 생명책에 기록되는 이름은 등과 기름을 예비하는 사람입니다.
등과
기름을 예비하기 위해서 속히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우리 주위에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론 예수 믿고 구원을
받았다고 고백합니다. 그런데 예수를 믿는 것으로 구원받은 것으로 신앙생활의 감격이 없고 감사가 없다면 교회에 다닌다는 것뿐이지
신앙의 즐거움을 누리지 못하는 부족한 것이 있는 신앙생활입니다. 그러므로 성령을 받아야 합니다. 성령의 충만을 받아야 생명책에
기록된 이름을 자랑하며 즐거워 할 것입니다.
아쉬운 것은 요한계시록을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사람들이 “속히 될 일”에
대한 주제를 현실 세계에서 나타는 현상과 징조들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시대의 징조와 현상은 잘
몰라도 등과 기름을 예비한 지혜로운 사람들만이 주님을 영접할 수 있다는 비유의 가르침과 같이 “속히 될 일”을 말씀하신 감추어진
은혜를 회복해야 할 것입니다.
“속히 될 일”이란 용어가 요한계시록에서 두 번 사용된 것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1, 속히 될 일
22:6, 속히 되어질 일
속히 될 일 또는 속히 되어질 일은 무엇인가?
3:11, 속히 오리니(I am coming soon.)
22:7, 속히 오리니(I am coming soon!)
22:12, 속히 오리니(I am coming soon!)
22:20, 속히 오리라(I am coming soon.)
속히 될 일은 속히 오실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속히 오실 것이라고 말씀하신 때는 요한계시록이 기록된 시기를 기준으로 대략 2천
년 전의 예언입니다. 2천 년 전에 예언한 내용이 아직도 성취되지 않았다면 그 예언을 믿고 기다리는 사람들이 정말 그 예언을 믿고
기다리고 있을까요? 인간의 평균 수명이 80 또는 90이라고 한다면 속히 오실 것이란 예언을 믿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속히 오리라고 예언하셨을까요?
미래에 나타날 현상과 징조들을 알려고 할 것이
아니라 짧은 인생을 살면서 반드시 속히 오실 주님을 맞이할 수 있는 신앙적인 삶을 회복해야 합니다. 주님을 맞이할 수 있는
신앙적인 삶은 무엇일까요? 속히 라는 단어가 사용된 성경에 소개된 말씀을 찾아보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학창 시절에
시험을 치룬 줄 압니다. 시험 일자가 발표되면 모든 학생들이 시험공부를 합니다. 시험 일자가 중요합니까? 시험을 잘 치룰 수 있는
공부가 중요합니까? 시험이 목적이 아니라 시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실력을 향상시키려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속히 될 일은 반드시 오실 것을 의미합니다. 반드시 오실 주님은 2천 년이 지난 지금도 오시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주님을 기다리는 것보다 다시 오실 주님을 영접할 수 있는 삶이 중요합니다.
속히 오시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은 성령을 받아야 합니다.
부활하신
주님에게 제자들은 이스라엘 나라를 회복하심이 이 때입니까? 하고 질문했을 때 부활의 주님께서는 때와 기한은 아버지께서 자기의
권한에 두셨으니 너희의 알바 아니요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고 하셨습니다.
속히 오실 주님의 때와 기한을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시대는 성령을 받고 증인의 삶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는 사랑
로마서 8:28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And we know that in all things God works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him, who have been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
첫째, 두려움을 물리치는 힘(요한일서 4:18)
사랑 안에 두려움이 없고 온전한 사랑이 두려움을 내어 쫓나니 두려움에는 형벌이 있음이라. 두려워하는 자는 사랑 안에서 온전히 이루지 못하였느니라.
There is no fear in love. But perfect love drives out fear, because fear has to do with punishment. The one who fears is not made perfect in love.
두려워하는
사람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힘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합니다.
두려움이 없는 사람은 자기가 가진 힘 이상의 힘을 발휘합니다.
그러므로 바울 사도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능력과 사랑과 근신하는 마음”이라고
하셨습니다(딤후 1:7).
For God did not give us a spirit of timidity, but a spirit of power, of love and of self-discipline.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두려움이란 실제처럼 보이는 가짜 증거의 줄임말
(Fear ; False Evidence Appering Real)
반려견을
돌보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생각은 처음에 집으로 데려오면 불안하여 부들부들 떨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집
주인은 나를 버리지 않겠구나 하는 느낌을 갖게 되면 그때부터 꼬리를 흔들고
따라다니며 좋아한다고 합니다.
강아지도 이렇게 반응한다면 인간은 하나님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둘째, 성령으로 역사하는 힘(요한일서 4:12∼23)
어느 때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시고 그의 사랑이 우리 안에
온전히 이루느니라. 그의 성령을 울이에게 주시므로 우리가 그 안에 거하고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줄을 아느니라.
우리가 하나님의 아가페 사랑을 믿고 그 사랑을 실천하면서 살면 하나님의 영, 곧 인격을 가지신 거룩한 바람이신 성령 하나님께서 우리 속에 임재 하시어 우리를 인도하시는데 그 무엇이 우리를 두렵게 하겠습니까!
셋째, 예수님이 우리 안에 거하도록 역사하는 힘(요한일서 4:14∼15)
아버지가 아들을 세상의 구주로 보내신 것을 우리가 보았고 또 증거 하노니 누구든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 시인하면 하나님이 저 안에 거하시고 저도 하나님 안에 거하느니라.
요한복음 14:21
나의 계명(아가페 사랑)을 가지고 지키는 자라야 나를 사랑하는 자니 나를 사랑하는 자는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요 나도 그를 사랑하여 그에게 나를 나타내리라.
1. 내영혼이 은총입어 중한 죄짐 벗고보니
슬픔많은 이세상도 천국으로 화하도다.
2. 주의 얼굴 뵙기전에 멀리뵈던 하늘나라
내 맘속에 이뤄지니 날로날로 가깝도다.
3. 높은 산이 거친들이 초막이나 궁궐이나
내주예수 모신곳이 그어디나 하늘나라
후렴.
할렐루야 찬양하세 내모든죄 사함받고
주예수와 동행하니 그 어디나 하늘나라
많은 성도들이 애창하고 있는
찬송가 438장 “내 영혼이 은총입어(Since Christ my soul from sin set free)”
버틀러(C.F. Butler) 작사
블렉( J.M. Black) 작곡
1898년에 발표한 곡입니다.
본 찬송의 작사자 버틀러(C. F. Butler)의 생애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작곡자 James Milton Black (1856- 1938)
뉴욕 사우스 힐에서 태어났으며, 조기 음악교육으로 작곡가, 성악가, 합창 지휘자, 음악교사로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뉴욕의 존 하워드(John Howard)와 무디 신학교의 다이넬 타운어(Daniel Brink Towner)로부터 사사하면서 음악적 기초를 든든히 쌓아나갔으며 1881년경 펜실바니주 윌리암스포트(Williamsport)로 이사하여 살았는데, 1904년부터 생을 마칠 때까지 그곳의 파인스트리트 감리교회(Pine Street Methodist Episcopal Church)의 지휘자, 주일학교 교사로서 활동하면서 많은 찬송곡을 작곡하였습니다.
그의 최초의 작곡집 “영혼의 송가”(Songs of the Soul, 1894)는 2년 동안에 40만부 이상 팔렸다고 하며, 바로 이어 후속 편 Songs of the Soul, Number Two (1896)를 출간했습니다.
또한 그는 10여권의 복음 성가집을 발간해 낼 정도로 정력적으로 작곡활동을 하였는데, 그간 그가 작곡한 곡은 약 1500곡에 이릅니다.
그가 지은 찬송가곡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찬송가에 두 곡 실려 있는,
180장 “하나님의 나팔소리”
438장 “내 영혼이 은총 입어”입니다.
전자는 그가 작사, 작곡한 곡이고
후자는 버틀러가 작사한 시에 그가 곡을 지은 것이죠.
버틀러는 누가복음 17장 20-21절, “바리세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라는 말씀을 배경으로, 하나님나라의 현재적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기쁨과 감격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은 성도들은 "초막이나 궁궐이나 주 예수 모신 곳이 그 어디나 하늘나라"라는 현재적 심령 상태를 그리고 있습니다.
후렴의, “할렐루야 찬양하세 내 모든 죄 사함 받고 주 예수와 동행하니 그 어디나 하늘나라”라는 부분을 원시에 가깝게 옮겨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O hallelujah, yes, 'tis Heav'n
(할렐루야! 그래요, 그것은 천국이어요)
'Tis Heav'n to Know my sins forgiv'n
(내가 죄 사함 받은 것을 알게 되었으니 그것은 천국이예요)
On land or sea, what matters where?
(땅이나 바다나, 그 어디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Where Jesus is, 'tis Heaven there.
(주님이 계신 그곳은 천국이어요)
"어려울 때 힘이 되신 하나님께 감사한다.
좋은 환경이 아니라고 불평하지 마라.
좋은 환경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아담은 에덴 동산이란 좋은 환경에서도 타락하지 않았는가?
눈물나는 역경에서도 감사를 드리자.
흐르는 눈물로 인해 하나님을 더 분명하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역경에 처할수록 하나님은 우리에게 더 가까이 오시어
우리를 보호하시고 힘을 주신다"
중국 후한을 세운 광무제에게 호양 공주라는 여동생이 있었다고 합니다.
호양 공주가 아끼는 노비가 있었는데 공주의 권세를 믿고
살인을 한 후에 공주의 저택에 숨어서 지냈습니다.
당시 낙양성의 치안을 담당했던 "동선"이라는 관리가 이 노비를 처벌 하기 위해서 공주의
대문 앞에 잠복하고 있다가 공주가 외출할 때 따라 나오는 노비를 붙잡아 그 자리에서 처형했다고 합니다.
공주는 자신의 눈앞에서 아끼는
노비가 죽음을 당하자 오빠 광무제에게 동선이라는 관리를 처형하라고 부탁했습니다. 이에 광무제가 동선을 불러 공주에게 사과하라고
하자 동선은 자신은 사과하지 못하겠고 차라리 죽겠다고 버텼습니다. 이런 광경을 본 호양 공주는 "오빠가 황제가 아니었을 때에는
집에다 죄 지은 사람을 숨겨 주어도 관가에서 잡아가지 못했는데 오히려 황제가 되고나니 오빠의 힘이 줄어든 것 같다."며 짜증을
부렸다고 합니다.
그러자 광무제는 웃으면서 "황제가 되었으니 일반 백성 때와 같이 행동할 수 없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하면서
고집쟁이 관리인 동선을 풀어주고 오히려 상을 주었다고 합니다.
광무제는 여동생 호양공주를 달래고 정직한 관리를 풀어줌으로써
친인척도 달래고 국정의 기강도 바로잡았다는 교훈입니다.
오랜 중국의 역사에서 후한의 광무제가 공신들을 잘 관리한 군주로 뽑힌다고 합니다. 광무제는 자신을 도와서 후한을 세운 공신들에게 많은 상을 내리고 명예를 주었지만 건국 이후 국정에는 손을 떼도록 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의 하나님께서 용서하시는 은혜를 모든 사람들이 함께 누릴 수 있는 그 날이 속히 도래하기를 기도합니다.
신하들은 임금님 앞에서는 칭찬했지만 돌아서면 흉을 보았어요.
뽐내기 좋아하는 임금님을 모르는 사람은 없었어요.
어느 날 두 사람이 임금님을 찾아왔어요.
이 사람들은 아주 특별한 옷감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었는데 그 옷감은 바보의
눈에는 절대로 보이지 않는 신비한 옷감이라고 말했어요.
좋은 옷 입기를 좋아하는 임금님은 당장 이 사람들에게 궁궐의 방 하나를
주며 신하들에게 이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언제든지 제공하라며 당장 그 옷을 만들게 하였어요.
두 사람은 베틀 앞에 앉아 마치
옷감을 짜듯이 베틀을 움직이고 있었어요.
여러 날이 지난 후 임금님은 궁금해서 견딜 수 없었지요.
그래서 가장 신뢰하는 신하를
보내어 확인하라고 하셨지요.
그런데 그 신하가 방으로 들어갔을 때 신하의 눈에는 아무 것도 안 보였어요.
그렇다고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고 하면 바보라고 말할까봐 아무 말도 못했어요.
드디어 임금님이 입을 바보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신기한 옷이
완성되었다며 두 사람은 임금님에게 그 옷을 입혀주었어요.
임금님의 눈에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지만 옷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면
임금님도 바보가 되겠지요.
그래서 아무 말도 못하고 두 사람이 입혀주는 대로 옷을 입은 후 그 옷을 백성들에게 보여주려고 거리로
나갔답니다.
사람들은 임금님이 벌거벗은 것을 보도 아무 말도 못하고 뒤로 돌아서 웃기만 했답니다.
그러자 어느 한 어린이가
‘임금님은 벌거벗었다!’ 하고 외쳤어요.
그러자 사람들은 모두 다 같이 ‘벌거벗은 임금님!’ 하고 소리쳤다고 합니다.
(전개 이야기)
심판의 날에 우리는 모두 주님 앞에 서야 합니다.
그 날에 벌거벗은 임금님처럼 부끄러운 모습일 수 있기 때문에 성경에서 말씀하는 구원의 옷을 입어야 하겠습니다.
이사야 61:10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며 내 영혼이 나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리니 이는 그가 구원의 옷을 내게 입히시며 공의의 겉옷을 내게 더하심이 신랑이 사모를 쓰며 신부가 자기 보석으로 단장함 같게 하셨음이라.
구원의 옷(Garments of Salvation)을 어떻게 입어야 할까요?
아담과
하와는 직접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서 옷을 만들었으나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하와의 방법을 허락하지 않으시고 직접 가죽옷으로 지어
입히셨습니다.
그러므로 구원의 옷을 입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하나님의 방법에 의한 구원의 옷을 성경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가죽옷(창세기 3:21) - 죄를 덮어주는 옷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자신의 죄를 자기의 방법대로 감추려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만든 옷은 “자기 의”를 상징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하와의 죄를 덮어주시려고 ‘가죽옷’을 만들어 입혔습니다.
가죽옷이란 죄를 용서받은 하나님의 의를 말합니다.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이 인정하는 방법으로만 구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경 예증 #.1)
노아
홍수 때에 잣나무로 방주를 만들라고 하셨습니다.
잣나무를 개역 개정 성경에서 ‘고페르나무’ 라고 합니다.
그리고 방주 안과 밖을
‘역청’으로 바르게 하셨습니다.
역청을 ‘코페르’ 라고 합니다.
고페르와 코페르는 같은 문자로 발음을 나타내는 모음만 다를
뿐입니다.
그런데 고페르와 코페르의 뜻에는 ‘속죄’라는 뜻이 있습니다.
애급에서 나오기 전에 양의 피를 문설주와 문인방에 바른 집안에서는 장자의 죽음과 생축의 초태생이 죽는 일이 없었지만 양의 피를 바르지 않았던 집안에서는 장자의 죽음과 초태생의 죽음으로 인하여 큰 슬픔이 임했습니다.
(현실 예증 #.1)
2019년
10월 9일은 ‘욤 키퍼(Yom Kippur)’라는 공휴일은 ‘욤(Yom)’ ‘날(Day)’을 의미하고 ‘키퍼(Kippur)’는
‘속죄(Atoinment)’를 의미합니다. 키퍼라는 단어가 히브리어 고페르, 코페르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방주 안으로 들어갔다는 것은 곧 속죄를 받은 하나님의 의로 인정받았다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성경 예증 #.2)
노아 홍수 후에 구원의 계시가 속죄제사로 말씀하셨습니다.
속죄제사는
개인이 바치는 제물과 백성 전체가 바치는 제물로 구분합니다. 개인적인 속죄제는 짐승의 머리에 개인이 안수하고 그 죄를 짐승에게
전가시킨 후에 그 짐승을 잡은 후 피를 받아 제사장에게 드리면 제사장은 그 피를 성소 휘장 앞에서 일곱 번 뿌리고 그리고 그 피를
여호와 앞 곧 회막 안 향단 뿔들에 바르고 그 피 전부를 회막 문 앞 번제단 밑에 쏟았습니다(레위기 4:6∼7).
그러나
백성 전체를 위한 속죄제사는 두 염소를 선택한 후 한 마리는 여호와를 위한 제물로 바치고 다른 한 마리는 아사셀 염소라고 하여
광야로 보냈습니다. 이때 백성을 위한 속죄제 염소를 잡아 그 피를 가지고 휘장 안에 들어가서 속죄소 위와 속죄소 앞에
뿌렸습니다(레위기 16:15, 18∼19).
속죄소가 있는 곳은 ‘지성소’입니다.
지성소까지 들어가야만 속죄가 해결됩니다.
이러한 속죄를 위하여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을 때 성전의 휘장이 위에서 아래로 찢어져 둘이 되었습니다(마 27:51).
성소의 휘장이 둘로 나누어진
것은 하나님 앞으로 가는 길이 열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곧 지성소로 들어가는 길이 열린 것입니다.
히브리서 9:10
이런 것은 먹고 마시는 것과 여러 가지 씻는 것과 함께 육체의 예법일 뿐이며 개혁할 때까지 맡겨 둔 것이니라.
히브리서 9:12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하지 아니하고 오직 자기의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가셨느니라.
히브리서 9:22
율법을 따라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하게 되나니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세마포 옷 - 어린양의 혼인잔치에 참여하기 위한 예복
요한계시록 19:8
그에게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도록 허락하셨으니 이 세마포 옷은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세마포 옷은 하얀 옷을 말합니다. 하얀 옷은 세탁을 잘 했기 때문이 아니라 부활 후 변화하신 주님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한계시록 1:13∼15
촛대 사이에 인자 같은 이가 발에 끌리는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 그의 머리와 털의 희기가 흰 양털 같고 눈 같으며 그의 눈은 불꽃같고. 그의 발은 풀무불에 단련한 빛난 주석 같고 그의 음성은 많은 물소리와 같으며.
무화과나무
잎으로 만든 옷은 인간의 방법에 의한 인간의 의라고 한다면 가죽옷은 하나님이 만들어주신 하나님의 방법에 의한 의라고 하겠습니다.
하나님의 의가 모든 사람들에게 은혜로 약속하신 것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심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주 예수를 믿는 자는 누구든지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될 것입니다.
창세기 3:21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위하여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니라.
요한계시록 7:14
내가 말하기를 내 주여 당신이 아시나이다 하니 그가 나에게 이르되 이는 큰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인데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
희어진 옷은 세마포 옷입니다.
요한계시록 19:8
그에게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도록 허락하셨으니 이 세마포 옷은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적용) 어떤 옷을 입어야 할까요?
베드로전서 2:9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자의 아름다운 덕을 선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시편 132:16
내가 그 제사장들에게 구원을 옷 입히리니 그 성도들은 즐거이 외치리로다.
제사장의 옷을 입히셨습니다.
대제사장 옷은 청색, 자색, 홍색실로 만들었습니다. 에봇은 금실과 가는 베실로 만들었습니다.
청색은 하늘에서 내려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합니다.
자색은 왕으로 오신 그리스도를 말합니다.
홍색은 예수께서 우리 죄를 위해 피 흘리신 것을 기억나게 합니다.
금실은 변치 않는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합니다.
가는 베실은 흰색으로 그리스도의 의를 나타냅니다.
오늘 우리들은 제사장의 신분으로 인정받았으므로 반드시 제사장의
옷을 입어야 합니다. 제사장의 옷이란 가죽옷처럼 속죄의 피가 뿌려진 옷입니다. 가죽옷은 속죄제사를 통하여 용서를 받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속죄제는 휘장 앞에 희생 제물의 피를 일곱 번 뿌렸습니다. 그러나 대속죄일에 드려지는 속죄제사는 아세셀 염소는 광야로
보내버리고 다른 염소는 그 피를 받아 지성소 안에 있는 속죄소 즉 시은좌에 뿌려야만 용서를 받았습니다.
구원의 완성을 계시하신 요한계시록 7장 14절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말하기를 내 주여 당신이 아시나이다 하니 그가 나에게 이르되 이는 큰 환난에서 나오는 자들인데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느니라.
어린 양의 피에 그 옷을 씻어 희게 하였다는 것은 세마포 옷을 입었다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요한계시록 19:8
그에게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도록 허락하셨으니 이 세마포 옷은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하나님의 의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 될 수 있습니다. 고난주간을 지내는 동안 하나님의 의로 인정받은 구원의 옷을
입고 내가 맡은 삶의 자리에서 구원받은 증거를 눈으로 보여주고 입으로 고백하는 구원의 증인으로 승리하는 복된 한 주간이 되시기를
우리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찬송가에는 오른편과 왼편에 사람의 이름이 소개됩니다.
왼편의 이름은 "작사자"
오른편의 이름은 "작곡자"
♪ 184장 나의 죄를 씻기는 예수의 피 밖에 없네
- R, Rowry 작사, R, Rowry 작곡
1. 나의 죄를 씻기는 예수의 피밖에 없네
다시 성케 하기도 예수의 피밖에 없네
<후렴> 예수의 흘린피 날 희게 하오니
귀하고 귀하다 예수의 피밖에 없네
2. 나를 정케하기는 예수의 피밖에 없네
사죄하는 증거도 예수의 피밖에 없네
3. 나의 죄속하시는 예수의 피밖에 없네
나는 공로 없도다 예수의 피밖에 없네
4. 평안함과 소망은 예수의 피밖에 없네
나의 의는 이것뿐 예수의 피밖에 없네
5. 영원토록 내 할 말 예수의 피밖에 없네
나의 찬미 제목은 예수의 피밖에 없네
로버트 로우리(Robert Lowry 1826-1899)는 미국 펜실베니아 주 태생의 침례교 목사로서 루이스버그대학 (후에 버크넬대학) 을 우등으로 졸업하고 졸업과 함께 모교의 문학교수가 되었으며 후에 모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845년에 침례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웨스트체스터(West Chester) 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하여, 여러 교회에서 목회를 하다가 마지막으로 뉴저지 플레인필드(Plainfield)에 있는 파크아베뉴 침례교회에서 목회를 마쳤습니다.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로버트 로우리(Robert Lowry; 1826~1899)목사는 남북전쟁(1861~1865) 직후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었던 그때 한손(Hanson)의 침례교회에서 시무했는데(1868 -1875) 어느 날 병든 사람을 돌보다가 하나님께서 보여주시는 환상을 보게 되고 40세가 되는 1866년 부터 본격적인 찬송가를 짓기 시작합니다.
40세 이후부터 찬송가를 작사·작곡하기 시작한 로버트 로우리(Robert Lowry)목사는 스스로 찬송가 작가로 기억되기보다는 설교자로 기억되기를 원했지만 희망적인 찬송을 작사ㆍ작곡하여 보급함으로 수많은 이들에게 심령의 갈급함에 새 희망을 주게 되었고 100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그리스도인들은 그를 훌륭한 찬송가 작시, 작곡가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맥커천(Robert Guy McCutchan, 1877~1958) 목사는 “그의 설교는 불과 몇 천 명에게 복음을 전했지만, 그가 작사 · 작곡한 찬송은 지구상의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이 일은 주님 오실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는 비글로우메인(Biglow-Main) 출판사의 음악 편집자로서 일하면서 'Happy Voices, 1865' 를 시작으로 20권이나 되는 찬송 책들을 출판하였고, 1868년에는 브래드버리의 후임으로 주일학교 노래 편집인이 되었으며, 500여 곡의 어린이 찬송과 복음찬송들을 작곡. 혹은 작사하여 돈(Doane)과 함께 발행한 주일학교 어린이 찬송가와 출판물에 넣었습니다.
그는《행복의 소리》'Happy Voices, 1865' 등 17 권의 찬송가책을 펴냈는데, 그 중에는 100만 부 이상이 팔린 책도 있습니다. 여러 해 동안 주일학교협의회 회장을 역임한 그는 대학 교수로도 있었고, 침례교 총회장도 역임하였습니다.
그의 찬송가로서 우리 찬송가에 실려 있는 것은
1. 무덤에 머물러
2. 성자의 귀한 몸
3. 주 사랑하는 자
4. 나의 죄를 씻기는
5. 여러 해 동안 주 떠나
6. 날 위하여 십자가의
7. 천성을 향해 가는 성도들아
8. 나의 갈길 다 가도록
9. 주 음성 외에는
10. 울어도 못하네
11.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뵈어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리가 날마다 숨쉬고 활동하고 있는 이 세상에 대한 우리들이 알 수 없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는
사실
매일 자다 깨면 또 다른 세상을 만나는 것 같이 그렇게 급변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방향
없는 변화
그 앞에 우리들은 속수무책일 때가 많습니다.
셋째는 변화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많은 미래
학자들이 나름대로 열심히 연구하고 미래를 전망합니다만 그대로 되지 않습니다.
믿었던 과학자의 생명연구가 이기적인 명예욕 때문에
물거품이 되는가하면, 믿었던 사람으로부터 생각지 않았던 배신을 느끼고 돌아서서 울어야 하는 예기치 않은 인간사들이 마치 럭비공이
뛰는 것처럼 어느 방향으로 뛸는지 알 수 없고, 어느 방향으로 변화될는지 모르는 그런 세상, 불확실한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입니다.
그러면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것은 하나도 없을까요?
자세히 살피면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절대로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해야 옳습니다.
여러분 노래를 한번 생각해 봅시다.
옛날에는 노래를<소리>라고 했습니다.
혹은<가락>이라고 했습니다.
옛날 우리 어르신들은<소리>라고만 하면 그 안에 창(唱)도 있고, 판소리도
있습니다.
그런데 요즈음엔 트로트, 재즈, 락앤롤, 트위스트, 랩 그리고 발라드, 테크노, 힙합, 이게 정말 노래인가 싶을 정도의
도무지 이해가 잘 안가는 그런 장르의 음악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어르신들께 죄송하지만 가끔씩은 나도 나이가 들어가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만 그러나 흘깃 흘깃 들어보면 한 가지는 분명히 귀에 들어오는 것이 있습니다.
어느 시대, 어느 나라, 모든 노래를
통 털어 보면 주제는 사랑입니다.
사랑을 떠난 노래가 없습니다.
전부가 사랑에 대해서 노래하고 있습니다.
잃어버린 사랑,
기다리는 사랑, 갈구하는 사랑, 사랑이 주제가 됩니다.
그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사랑은 곧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세상이 향방 없이 변하고, 빨리 변한다할지라도 이 사랑 만큼은 변하지 말아야 합니다.
행복의 원천이 사랑에 있기
때문입니다.
뉴욕 데일리 뉴스지에 예방의학 전문가인 피터 한센(Peter Hansen)박사가 이런 연구를 보도한바가 있습니다.
현대인의 건강을 위하여 우리가 흔히 말하는 건강식품, 규칙적인 운동, 담배, 술, 과로, 과식, 수면 부족 등 해로운 습관을
버리는 것을 50점으로 보고 남은 50점의 건강 관리법은 사랑이라고 합니다.
사랑은 하면 할수록 창조적인 힘이 있어
신체의 저항력이 강해지고 병균과 싸우는 자연의 힘이 배양된다고 합니다.
사랑의 힘은 때때로 상상을 뛰어넘기도 하고 가끔은 상식을
뛰어넘기도 합니다.
하버드대학교 심리학 교수팀이 실험을 하였습니다.
인도의 빈민가에서 사랑의 선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테레사
수녀가 가난한 사람들을 병원에서 도와주는 모습을 찍은 기록 영화를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그 학생들의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는 저항력을 검사하고, 일주일 후 같은 학생들에게 나치 독일이 유태인을 학살하는 잔인한 기록 영화를
보여주고 다시 저항력을 조사했답니다.
그랬더니 테레사 수녀의 영화를 본 뒤에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는 저항력의 수치가 훨씬 높게
나타나더라는 것입니다.
사랑은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도 하는 강한 힘이 있습니다.
그런데 세상은 왜 이리 시끄럽습니까?
첫째는 세상의 모든 문제는 사랑의 문제
먼저는 사랑이 없어서 문제입니다.
아예 사랑할
마음조차 없습니다.
둘째는 사랑이 있긴 있는데 병들어서 문제
사랑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쌍방이 주고 받아야 올바른 사랑입니다.
병든사랑은 일방적인 통로만 있습니다.
양방 통행이 필요합니다.
셋째는 거짓 사랑이 문제
사랑에 속았습니다.
거짓된
사랑이 우리 마음을 실망하게 합니다.
저마다 사랑을 외치지만 그게 사랑이 아닙니다.
이렇게 때로는 스스로 속을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랑의 무지가 문제입니다.
사랑을 모르기 때문에 못합니다.
넷째는 사랑이 통하지 않는 문제
분명히
사랑을 받고 있으면서도 느끼질 못하고 그래서 사랑을 주지도 못하는 사랑의 의사소통이 되질 않습니다.
그래서 사랑이 단절됩니다.
결국 이것은 불신의 문제입니다.
분명히 그는 사랑하고 있고 나는 사랑 받고 있으면서 내가 그 사랑을 믿지 않으면 사랑을 모르게
되고, 사랑을 모르면 감격이 없고, 감격 없는 사랑은 절망할 수밖에 없다는 말씀입니다.
사랑에는 세 단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첫째는 관심의 단계
관심도 대단한 사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쥐를 키우는데 있어서 우유병만 빨려서
키운 쥐는 평균 600일을 살고, 그릇에 우유를 부어놓고 사람이 손으로 우유를 직접 먹이며 사랑의 손으로 쓰다듬어 주면서 키운
쥐는 훨씬 더 오래 사는데 평균 950일을 살더라는 것입니다.
사랑할 대상에 대해 거저 관심만 가지고 있어도 그것이 아름다운
사랑이 되기도 합니다.
둘째는 헌신의 단계
말로만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과 시간을 바쳐 사랑합니다.
그를 위해서 선물을 준비하고 그를 위해서 시간을 구별하여 둡니다.
셋째는 희생의 단계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목숨까지도 바치겠다는 자세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른 응답이 아니라 오직 그를
위해서만 존재하는 내가 됩니다.
이 사랑에 이르면 무슨 일이든지 이길 수 있는 힘이 있는 사랑이 됩니다.
그 누구도 그 무엇도
끊을 수 없는 강한 사랑이 됩니다.
어느 날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을 아주 싫어하던 한 부인이 처칠에게 이렇게 거친 말을 했습니다.
“윈스턴,
만일 당신이 나의 남편이었다면 나는 당신의 차 속에 양잿물을 넣었을 것이오.”
이 말을 들은 윈스턴이 얼마나 멋있게 받아 넘겼던지
참 감동적입니다.
“부인, 만일 당신이 나의 아내였다면, 나는 그 양잿물을 마셨을 것입니다.”
나를 미워하는 사람일지라도 내가
희생하며 그를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나 온전한 사랑은 이런 힘을 가진 능력입니다.
이처럼 사랑의 단계에 따라서 결과도 달라집니다.
여러분은 하나님을 사랑하십니까?
그 사랑은 어느 단계까지 와 있습니까?
아
직도
그저 막연한 관심의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는 않습니까?
아니면 헌신의 단계, 희생의 단계에까지 이르러 있는 수준 높은 사랑을 하십니까?
하나님은 우리에게 사랑을 보여 주셨습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서 죽게 하심으로 우리를 향한 당신의 사랑을 확증하셨습니다.
더 이상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 사랑을 받은 우리들이 마땅히 드려야 할 사랑은 어떤 사랑이어야
하겠습니까?
하나님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에게 복을 베풀어 주시는 분이십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복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뭡니까?
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하나님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말로는 사랑한다고 하지만 맘에도 사랑이 없고 행동에도 사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나타나는 가장 강한 사랑의 모습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오직 자기 사랑입니다(自己愛).
그러나 자기 사랑이
먼저가 아닙니다.
성경은 먼저 하나님을 사랑할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앨버트 슈바이처는 인간에게는 행복을 위한 세 가지 조건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첫째는 할 일(Something to Do)
둘째는 바라는 것(Something to Hope)
셋째는 사랑할 대상(Something to Love)
분명한 사랑의
대상이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입니다.
내가 사랑을 받지 못하는 것도 큰 불행이라고 말합니다만 그 보다 더 큰 불행은 내가 사랑할
대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곧 내 사랑을 받아 줄 사람이 없다는 것이 나를 절망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내가 사랑할 대상이 있다는
것은 너무나 큰 행복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도 그 사랑의 첫 번째 대상이 하나님임을 아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 중에 행복한
사람입니다.
바로 오늘 성경 말씀이 이 사랑의 시작을 말합니다.
신앙의
출발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는 "인간은 알고 있는 것에 의하여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사랑하는 것에
따라서 평가되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사랑하면 그 사랑하는 것을 따라가게 되고, 또한 사랑하는 것에 모든 것을
바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사랑하느냐가 그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은 결국 자기의 욕심과
자기탐욕에 빠집니다.
돈을 사랑하는 사람은 돈 때문에 죄를 짓게 되고, 명예와 권세를 사랑하는 사람은 그것을 위해서라면 불법과
비리에라도 빠지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사랑해야 합니까?
오늘 말씀인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 가운데 첫 번째인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우리 신앙의 출발이어야 합니다.
신앙인이라면 마땅히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우선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서 신앙생활 한다고 하는 사람은 거짓입니다.
교회는 다닌다고 하면서
하나님은 사랑하지 않는다면 거짓 신자입니다.
오늘 본문을 보면 한 서기관이 예수님께 질문을 합니다.
똑같은 이야기를 기록한 마태복음 22장에 보면 한 율법사가 예수님을 시험하여
물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서 어느 계명이 큽니까?"
그러자 예수님께서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이 말씀처럼 사랑에 대한 계명이 가장 큰 계명입니다.
그것도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먼저라고 분명히
말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얼마만큼 사랑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한 해를 시작하면서 하나님을 향한 내 사랑을
확인하시고 출발하기를 바랍니다.
사랑하는 성도여러분!
첫 걸음을 어떻게 내 딛느냐가 참으로 중요합니다.
매사를 어떤 마음으로 시작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더군다나 신앙의 출발을 어디로부터 출발하느냐가 한 해를 성공적으로 사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를 가름합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신앙의 결심으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그 사랑으로 교회를 봉사하고 이웃을
섬길 줄 아는 신앙의 한 해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체렘'이란 단어의 의미는 완성된 모습이 아니라 완성을 위하여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한 조각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아담과 하와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드셨다는 것은 하나님을 닮은 모습을 의미합니다.
사랑은 닮아가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하나님의 형상
하나님의 모양
체렘의 의미 / 길가에 버려진 거대한 바위가 있습니다.
지나가는 사람마다 누가 저렇게 큰 바위를 길에다 버려두었나?
이때 어느 조각가 한 사람이 그 바위를 조각실로 옮긴 후에 부지런히 조각품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거대한 바위에서 조각품이 될 수 없는 떨어져 나가는 조각들을 "체렘" 이라고 합니다.
옷(케토넷트, כְּתֹנֶת kethôneth)
발음
: kethôneth
어원 : 40:14, כָּתְנוֹת, 출 39:27, 복수 연계형 כִּתְנוֹת, 창 3:21, 출 39:27, 복수 어미활용 כֻּתָּנוֹתָם, 레 10:5, ‘가리다’는 뜻의 사용하지 않는 어원에서 유래
파트리스교회 수요 성서 연구 #. 1 물세례와 불세례(2020-06-10)
세례(洗禮) 마태복음 3:11 |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I baptize you with water
for repentance. But after me will come one who is more powerful than I,
whose sandals I am not fit to carry.
He will baptize you with the Holy
Spirit and with fire.
구약의 마지막 책은 “말라기”입니다.
신약의 첫 번째 책은 “마태복음”입니다.
구약 ‘말라기’와 신약 ‘마태복음’은 종이 한 장의 차이로 느껴집니다.
그러나 성경의 역사를 살펴보면 구약 말라기와 신약 마태복음 사이는 “대략 400년” 이란 긴 세월이 있었습니다.
구약에서 예언된 “메시아”가 400년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나타날 징조가 전혀 보이지 않았던 시대이었습니다.
그래서 역사가들은 구약 말라기와 신약 마태복음의 400년의 기간을 “암흑의 시기” 또는 “침묵의 시기” 라고 합니다.
‘암흑의 시기’ 또는 ‘침묵의 시기’를 “신구약 중간 시대”라고도 합니다. (아래 난외 주 참조)
기독교 이외에 가톨릭교회와 유대교에서는 신구약 중간 시대에도 하나님은 말씀하셨다는 것을 강조하여 “외경”이란 말씀을 인정하고 사용합니다.
오래 동안 기다리던 메시아가 나타날 징조가 전혀 보이지 않던 때에 어느 날 광야에 낙타 털옷을 입고 메뚜기와 석청을 먹으며 광야에 거주하는 낯선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웠다!” 라고 외쳤습니다.
많은 유대인들이 광야로 나와 요한의 외치는 소리를 들을 때 바로 이 사람이 메시아가 아닐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자 요한은 나는 너희들이 기다리는 메시아가 아니라 다만 물로 세례를 주는 사람이다. 그러나 내 뒤에 오실 그 분은 너희들에게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실 것이라며 실망하던 유대인들에게 메시아 신앙을 깨우쳤습니다. 요한의 외침을 듣고 많은 유대인들이 요단강에서 세례를 받았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외침에서 세 종류의 세례를 생각합니다.
첫째는 물세례(Water Baptism) ; 회개와 구원을 위한 세례
둘째는 성령세례(Holy Spirit Baptism) ; 구원의 확신과 보증을 위한 세례
셋째는 불세례(Fire Baptism) ; 심판을 위한 알곡과 죽정이를 구분하는 세례(불심판)
그런데 요한이 세례를 베풀었던 것은 분명하게 성경에 소개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풀 것이라고 하셨던 말씀은 어느 누구도 예수님으로부터 세례를 받은 사람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언제 예수님께서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푸셨을까요?
세 종류의 세례를 베푸셨던 수여자(授與者)를 살펴봅시다.
첫째는 물세례(Water Baptism)는 누가 베풀었을까요?
예수님 당시에는 세례자 요한이 요단강에서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마태복음 3:5∼6,
이때에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요단강 사방에서 다 그에게 나아와.
자기들의 죄를 자복하고 요단강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더니.
People went out to him from Jerusalem and all Judea and the whole region of the Jordan.
Confessing their sins, they were baptized by him in the Jordan River.
그러나 오늘날은 교회에서 목사가 세례를 베풉니다.
"주 예수를 믿는 (아무개)에게 내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노라."
베드로전서 3:21
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세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and this water symbolizes baptism that now saves you also--not the removal of dirt from the body but the pledge of a good conscience toward God. It saves you by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둘째는 성령세례(Holy Spirit Baptism)는 누가 베풀었을까요?
세례는 요한의 증거대로 분명히 예수님께서 베푸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언제 성령세례를 베푸셨으며 예수님께서 성령세례를 베푸셨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요한복음 15:26,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거 하실 것이요.
When the Counselor comes, whom I will send to you
from the Father, the Spirit of truth who goes out from the Father, he
will testify about me.
성령세례는 예수님께서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받아 사람들에게 보내실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그 성령을 “보혜사(保惠師)” 라고 합니다.
“보혜사(保惠師)”란 무엇인가?
- 지킬 보(保), 은혜 혜(惠), 스승 사(師)
보혜사란 “지켜주시고 은혜를 베푸시며 가르치시는 선생님” 이란 뜻입니다.
보혜사를 영어 성경에서 찾아보면 NIV에서는 “상담자(the Counselor)”, KJV에서는 “위로자(the Comforter)”, NASB에서는 “돕는자(the Helper)” 라고 합니다.
보혜사를 헬라어 성경에서는 “파라클레토스(παράκλητος, paraklétos)” 라고 합니다.
스트롱 번호 3875
1. 옹호자(an advocate), 중보자(intercessor),
2. 위로자(a consoler), 위로자(a comforter), 돕는자(helper),
3. 변호사(Paraclete)
παράκλητος, ου, ὁ
스트롱번호 3875
예수님께서 언제 누구에게 성령세례를 베푸셨습니까?
사도행전 2:1∼4
오순절 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 같이 한곳에 모였더니.
홀연히 하늘로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When the day of Pentecost came, they were all together in one place.
Suddenly a sound like the blowing of a violent wind came from heaven and filled the whole house where they were sitting.
They saw what seemed to be tongues of fire that separated and came to rest on each of them.
All of them we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began to speak in other tongues as the Spirit enabled them.
오순절날 성령 강림 사건은 예수님께서 성령세례를 베푸셨던 사건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이때 불세례도 함께 베푸셨다고 합니다.
그러나 복음서를 자세히 관찰하면 성령과 불이라는 용어가 마태복음 3장과 누가복음 3장에서는 사용하였으나 마가복음 1장과 요한복음 1장에서는 성령이라고만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예수님께서 성령과 불로 라고 모든 복음서에서 말씀하셨다면 불세례도 오순절 날 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만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실 것이라고 하셨을까요?
그러므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을 바르게 읽어야 합니다.
셋째는 불세례(Fire Baptism)는 누가 베푸셨을까요?
세례자 요한에 의하면 성령세례와 불세례는 예수님께서 베푸실 것이라고 외쳤습니다.
성경을 폭 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령과 불세례에 대한 말씀을 마태복음 3장과 누가복음 3장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마가복음과 요한복음에서는 성령세례만을 말씀합니다.
이제 성경을 살펴보겠습니다.
마태복음 3:11,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I baptize you with water
for repentance. But after me will come one who is more powerful than I,
whose sandals I am not fit to carry. He will baptize you with the Holy
Spirit and with fire.
12절,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
His winnowing fork is in his hand, and he will clear
his threshing floor, gathering his wheat into the barn and burning up
the chaff with unquenchable fire.
“불세례”는 불로 심판하실 것을 의미합니다.
마가복음 1:8, 나는 너희에게 물로 세례를 주었거니와 그는 성령으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시리라.
I baptize you with water, but he will baptize you with the Holy Spirit."
9절, 그 때에 예수께서 갈리리 나사렛으로부터 와서 요단강에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시고.
At that time Jesus came from Nazareth in Galilee and was baptized by John in the Jordan.
누가복음 3:16,
요한이 모든 사람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나는 물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거니와 나보다 능력이 많으신 이가 오시나니 나는 그 신들메를 풀기도 감당치 못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John answered them all, "I baptize you with water.
But one more powerful than I will come, the thongs of whose sandals I
am not worthy to untie. He will baptize you with the Holy Spirit and
with fire.
17절,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
His winnowing fork is in his hand to clear his
threshing floor and to gather the wheat into his barn, but he will burn
up the chaff with unquenchable fire.
요한복음 1:33,
나도 그를 알지 못하였으나 나를 보내어 물로 세례를 주라 하신 그이가 나에게 말씀하시되 성령이 내려서 누구 위에든지 머무는 것을 보거든 그가 곧 성령으로 세례를 주는 이인 줄 알라.
I would not have known him, except that the one who sent me to baptize with water told me, 'The man on whom you see the Spirit come down and remain is he who will baptize with the Holy Spirit.'
34절, 내가 보고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하였노라 하니라.
I have seen and I testify that this is the Son of God.
참조 / 성령세례(사도행전 1:5, 11:16, 고린도전서 12:3)
“성령세례와 불세례”에 대해서 언급한 성경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 이외 성경에서는 오직 “성령세례”만을 말씀합니다.
이와 같은 성경의 증거에서 성령세례는 예수님께서 베푸신 것이 분명하게 소개되었습니다.
그러나 불세례는 예수님께서 베푸신 것이 아닙니다.
다만 불의 혀 같이 갈라진다는 것은 불이 다양하게 갈라져서 오순절 날 한 자리에 모여 있었던 다양한 사람들에게 성령이 임재 했다는 것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불세례는 누가 베푸셨을까요?
사도행전 2:1∼3,
오순절 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 같이 한곳에 모였더니.
홀연히 하늘로 부터 급하고 강한 바람 같은 소리가 있어 저희 앉은 온 집에 가득하며.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이 저희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임하여 있더니.
When the day of Pentecost came, they were all together in one place.
Suddenly a sound like the blowing of a violent wind came from heaven and filled the whole house where they were sitting.
They saw what seemed to be tongues of fire that separated and came to rest on each of them.
오순절 날 성령의 임재가 나타났을 때 마치 성령은 강한 바람 소리로 들렸습니다.
불의 혀가 갈라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므로 성령은 바람이 아닙니다.
성령은 불이 아닙니다.
다만 불의 혀 같이 갈라지는 것은 모여 있던 모든 사람들에게 임하실 것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성령세례와 불세례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지워버려야 합니다.
헬라어 성경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푸실 것이다.”
(βαπτίσει ἐν Πνεύματι Ἁγίῳ καὶ πυρί)
- will baptize with the Spirit Holy and fire
세례 요한은 요단강에서 많은 유대인들에게 세례를 베풀면서 장차 오실 그 분께서는 “성령(프뉴마)과 불(푸르)”로 세례를 베풀 것이라고 외쳤습니다.
이렇게 외쳤던 요한의 증언은 공생애 기간 동안 예수께서는 어느 누구에게도 세례를 베풀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유대인들은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푸시는 그 분이 그토록 기대하던 “메시아”라고 기다렸으나 예수께서 세례를 베풀지 않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습니다.
그리고 삼일 만에 다시 살아나셨으며 사십일 후에는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사도행전 1:3).
이렇게 번역된 데는 헬라어 접속사 “카이(καὶ)”의 뜻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는데 “카이”는 “등위 접속사”로서 “그리고(and)” 라고 하여 앞의 것과 뒤의 것을 동등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성령과 불”이라고 할 때 성령과 불을 동등한 것으로 해석합니다.
이제까지 성령과 불을 이렇게 등위 접속사로 해석한 것입니다.
그러나 등위 접속사가 아니라 우위 접속사로 해석하면 전혀 그 의미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오직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만 성령과 불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불세례는 특별한 용법으로 사용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위 접속사”인 “또는(or)”의 뜻으로도 사용된다.
여기서는 바로 우위 접속사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성령과 불로'로 번역된 “엔 프뉴마티 하기오 카이 퓌리(ἐν Πνεύματι Ἁγίῳ καὶ πυρί)”는 “성령 또는 불안에서” 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성경 본문의 문맥과 사(四)복음서를 비교하여 연구해보면 더욱 확실히 증명된다.
먼저 우리는 “성령과 불로”라는 말이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만 나오고 “마가복음”과 “요한복음”에는 “성령과 불로”가 아닌 “성령으로” 라고만 표현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또한 사도행전 1:5에서도 “요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으나 너희는 몇 날이 못 되어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하셨느니라.”고 하여 불에 대한 언급 없이 “성령으로” 라고만 되어 있으며 사도행전 11:16과 고린도전서 12:13에서도 역시 “성령으로”라고말씀합니다.
이와 같은 여러 성구들을 참조할 때 주님이 신자들에게 주시는 세례는 오직 “성령으로” 주신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불”의 의미는 별도의 뜻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성령으로 세례” 라는 것은 “성령 안에 잠기운다”라는 뜻으로 여기서 보더라도 “침례” 라는 말이 의미를 더 잘 통하게 한다. 만일 “세례”라고 하면 “성령으로 씻긴다”는 말이 되므로 오히려 이해하기 힘들게 된다.
성령은 영으로 다시 오시는 그리스도(요 14:18∼19)이므로 '성령 안에서 침례'라는 것은 '그리스도와 연합'을 상징하되 '생명의 연합'을 뜻하는 것이며 그리스도와의 연합이라 함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성령 안에서 침례'는 성령이 우리에게 오셔서(행 2:38, 행 19:2) 우리가 '하나님의 성전 되는 것(고전 3:16-17)'과도 같은 말이 되는데 결국 우리와 주님과의 상호내주(Inter-Residence)를 뜻한다.
한편 요 4:24의 "하나님은 영이시니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에서 '신령으로'라는 말은 “엔 프뉴마”로서 원 뜻은 “성령 안에서”라는 뜻이다. 이 말씀의 의미 역시 '성령을 받음'으로 '주님을 모시는 것'이 되며 이는 곧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고 하는 뜻이다. 즉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 아버지께 예배를 드려야함을 말씀하신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자녀가 아닌 자는 아무리 열심히 예배드려도 소용없다는 것으로 하나님께 예배드리기 위해서는 예배드리는 자가 먼저 주님과 하나가 될 때만 가능한 것이다.
이상으로 볼 때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다(요 3:5)'고 할 때 '물'과 '성령'의 의미가 모두 해석되는 것이다. 즉 '물'은 죄를 씻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물 안에 잠김으로써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의 연합'을 상징하는 뜻이며 '성령'은 그리스도의 생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성령 안에 잠긴다는 뜻은 '그리스도와 생명의 연합'을 상징하는 것이다. 즉 죽었다가 살아나는 원리가 포함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불로 세(침)례를 주신다'는 말씀이 무슨 뜻인지를 알아볼 차례가 되었다. '불로 세례를 주신다'라는 말씀은 직역하면 '불 속에서 세례를 주신다'는 말로서 신자와는 전혀 관계없고 불신자에게만 해당하는 말씀이다. 즉 불신자는 성령 안에 잠기게 하는 대신에 '불 속에 잠기게 한다'라는 의미로서 결국 '심판을 받는다'는 뜻이다.
이제 세례에 대한 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세례(밥티조, βαπτίζω)란 물속에 들어갔다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물속에 들어갔다는 것은 완전히 죽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물 위로 다시 올라올 때는 과거의 나 즉 옛 사람은 죽었고 이제부터는 새로운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물세례는 회개와 구원의 표시라고 하겠습니다.
βαπτίζω, ον
스트롱번호 907
* 요약 자료
주제 ; 세례(洗禮)
- 세례(씻을 洗, 예도 禮)와 침례(잠길 沈, 예도 禮)
- 밥티조(물속에 잠기다)
성경 ; 마태복음 3:11
종류 ;
1. 물세례(회개와 구원) 베드로전서 3:21
2. 성령세례(생명의 보증) 보혜사(요한복음 15:26)
- 로마서 8:2, 요한복음 6:63, 고린도후서 1:22, 5:5, 히브리서 12:29
3. 불세례(심판, 알곡과 죽정이)
- 신명기 4:24, 히브리서 12:29
- 마태복음 3:12, 누가복음 3:17
*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실 것이요
- 전치사 "과"(카이)
등위접속사로 해석할 때는 성령과 불을 같은 것으로 이해
우위접속사로 해석할 때는 성령과 불은 서로 다른 것으로 이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3-11-2022(금)
성령세례
"오순절 사건은 더 이상 일어날 수 없다"
이와 같은 주장은 "비성경적"이다.
왜냐하면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하나님의 속성
하나님은 '전지전능(全知全能) 무소부재(無所不在)' 하신다.
이 속성은 한 마디로 "영원성(永遠性)"이다.
영원이란 어느 시대에는 나타나고 어느 시대에는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오순절 사건은 지금도 앞으로도 마지막 그 날까지 지속될 것이다.
둘째, 하나님의 이름
"아니 엘 샤다이"라는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은 영으로 존재하시며 그 영은 지금도 계속적으로 역사하는 영이다.
셋째, 바울의 증거
고린도전서 2:9-10
기록된 바 하나님이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예비하신 모든 것은 눈으로 보지 못하고 귀로 듣지 못하고 사람의 마음으로 생각하지도 못하였다 함과 같으니라.
오직 하나님이 성령으로 이것을 우리에게 보이셨으니 성령은 모든 것 곧 하나님의 깊은 것까지도 통달하시느니라.
바울의 성령은 통찰하는 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영은 구약에서 이미 말씀하신 것을 통하여 계속된다.
신명기 29:4
그러나 깨닫는 마음과 보는 눈과 듣는 귀는 오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주지 아니하셨느니라.
신명기 30:6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마음과 네 자손의 마음에 할례를 베푸사 너로 마음을 다하며 뜻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게 하사 너로 생명을 얻게 하실 것이며.
레위기 18:5
너희는 내 규례와 법도를 지키라 사람이 이를 행하면 그로 말미암아 살리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로마서 11:8
기록된 바 하나님이 오늘까지 그들에게 혼미한 심령과 보지 못할 눈과 듣지 못할 귀를 주셨다 함과 같으니라.
구약에서 하나님은 모세를 통하여 율법을 주셨다.
그런데 그 율법을 그의 백성들이 지킬 수 없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그의 백성들에게 깨닫는 마음과 보는 눈과 듣는 귀를 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율법을 지킬 수 없기 때문에 구원을 받을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
마음에 할례를 받아야 한다.
사도 바울은 혼미한 심령과 보지 못할 눈과 듣지 못할 귀를 강조하였다.
로마서 2:28-29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니라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난외 주)
하나님의 성전 비용으로 쓰도록 우리는 해마다 삼분의 일 세겔씩 바친다. 집안별로 주사위를 던져서, 해마다 정한 때에 하나님의 성전에 땔 나무를 바칠 순서를 정한다. 해마다 우리 밭에서 나는 맏물과 온갖 과일 나무의 첫 열매를 주님의 성전에 바친다. (성전 운영을 위해서 재정을 책임지겠다) 처음 난 맏새끼들을 성전 제사장들 생활비를 위해서 바친다."(성전이 운영 되는데 필요한 인건비도 서포트하겠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사님은 이민 교회사에 보기 드문 대형 교회의 담임목회자로 우뚝 섰고 26년간 분쟁 없는 교회로 이끄는 우수한 리더십을 유감없이 보여 주었다.
나는 여기서 이원상 목사님께서 지난 26년간 섬겨 온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의 입지적 특성을 먼저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워싱턴은 미국의 수도요 세계의 수도이다. 이곳에는 각 나라의 대사관이 있고 당연히 한국 대사관도 있다. 한국의 주요 언론사
특파원들이 모두 여기 몰려 있고 조지워싱턴 대학, 조지타운 대학 등 명문 대학도 있어서 수 많은 인재들이 몰려온다.
이러한 인재들이 워싱톤에 거주하는 동안 대개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를 찾는다. 그리고 그들이 귀국한 이후, 그들은 조국 대한민국의
장관도 되고 도지사도 되고 언론사 사장도 되고 국회의원도 되고 대학 총장도 되었다. 이른바 이들은 대한민국의 지도자요 오피니어
리더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는 이들을 양육하여 다시 고국으로 파송하는 교회가 되었고 이 교회의
담임 목회자가 이원상 목사님이므로 이 대한민국의 지도자들은 이원상 목사님을 통하여 예수의 말씀을 전해 듣고 가르침을 받아
변화되어 고국으로 돌아갔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바로 이들을 위해 이들, 조국의 지도자들을 위해 목사 이원상을 여기에 세우신 것이 아닐까? 그것이 달라스도 필라델피아도
아닌 연고도 없는 미국의 수도 워싱톤으로 이끄신 이유가 아니었을까? 세속과 영합하는 달변가가 높아지는 교회를 슬픈 눈으로
바라보시며 오직 초대형 교회를 꿈꾸는 수많은 오늘날의 목회자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주시려던 것은 아니었을까? 주님이 원하시는
목회자의 참된 모본을 보여 주시려던 것이 아니었을까?
65
세인 목사님은 지금 26년 전에 포기하여야만 했던 박사학위 공부를 다시 시작하였다. 박사 학위 논문의 제목은 “John
Chrysostom`s Understanding of the Imitation of Christ and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Leadership Today".
이 논문의 제목처럼 이목사님은 지금 목회자를 꿈꾸는 후대들에게 자신의 참 모습을 직접 생생하게 정리하여 보여 주고 가르치며 하나님께서 목사님에게 주신 사명과 책임을 아름답게 마무리하려고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순간의 쉴틈조차 스스로 허용치 않는 삶을 살고 있다.
이것이 바로 목사님으로 하여금 대학 교수의 꿈을 접게 하고 평생 목사로 살도록 이끄신 하나님의 고귀한 섭리가 아니었을까?
1. 이성봉 장로의 아들로 태어나다
이원상 목사는 1937년 압록강 건너편 만주 땅, 길림성 통화 북편의 산성진 이라는 마을에서 신앙심이 깊은 이성봉 장로와 윤봉선 성도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 이성봉 장로는 20대에 한국에서 미국인 선교사를 만나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만주로 가서 청년기를 보냈으며 후일 북한을 거쳐 서울로 탈출하였다. 이러한 부친으로 인하여 이원상 목사는 태어 날 때부터 만주의 산성진 장로 교회(김석찬 목사)에서 말씀을 듣기 시작하여 1945년 해방 때까지 유치원과 주일학교 등 그곳에서 유년기를 보내는 동안 늘 말씀과 함께 살았다.
만주에 살던 시절, 부친 이성봉 장로는 해방을 맞은후 중국 공산당이 결성되고 종교의 자유를 박탈 당하게 되자 신앙의 자유를 찾아 북한으로 나왔다. 이곳이 압록강 남쪽 평안북도 만포진(현 자강도) 이다.
압록강 변에 있는 만포진의 만포진 장로 교회(이무성 목사)에 다니며 1947년 까지 2년간 거기서 살았으나 다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남한으로의 탈출을 결심하고 1947년에 서울로 들어왔다.
이들이 만주에서 북한을 거쳐 남한으로의 탈출을 결행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부친 이성봉 장로의 중국인 친구가 중국 공산당 회의에서 “이성봉은 기독교 사상이 투철하여 위험하니 주목하여야 한다.” 고 말했다는 사실을 전하여 준 것이다. 부친 이성봉은 이에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홀로 만포진으로 피난하였다가 다시 돌아와 가족을 동반하고 북한으로 탈출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목사는 8.15 해방이후 지방의 유지들이 밤사이 소문 없이 죽어 나가는 모습을 직접 목격하기도 하였다.
"아버지의 기독교 신앙이 아니었으면 평생 공산주의자로 살았을지도 모릅니다." 이 목사는 부친의 기독교 신앙과 하나님의 특별하신 은혜를 깊이 감사한다.
2. 축복 받은 목회자 가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원상 목사는 이성봉 장로(산성진 교회에서 장립) 와 평신도인 윤봉선 성도의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위로 세 명의 형님과 누님 한 분이 계셨는데 맏형인 이원조와 셋째 형인 이영복은 모두 교회 장로로 봉사하다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가족 중에는 조카 이승혁(뉴욕), 조카 손주 이인국(산호세), 조카 손주 이동훈(필라) 등이 현직 목사이며(Pastor Jacob Lee. 05. 04. 1984∼09. 28. 2020 am 9:42 )아들 이요셉은 버지니아텍 대학교(Virginia Tech University)를 졸업한 후, 같은 학교 출신인 이 에스더와 결혼하고 미국 메릴랜드 주, 게이더스버그에 있는 미국인 교회인 Covenant Life Church에서 청장년 담당 교역자로 사역 중이다. 외동딸 이유니스는 스탠포드 대학(Stanford University)을 졸업하였고, 같은 학교 출신으로 현재 뉴욕대학 의과 대학에 재학 중인 주흥원과 결혼한 후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이 목사는 황해도 출신으로 6.25 전쟁을 피해 경산에 와서 함께 경산 교회를 다니던 김영자와 결혼하였는데 고 김산봉 집사와 강옥화 권사의 5남매 중 오빠 다음으로 장녀인 김영자는 대구 신명여고와 효성여대 약학과를 졸업하고 경산에서 약국을 경영하였다. 이 목사는 장모인 강옥화 권사와 김영자(미국 명 이영자) 사모를 단순히 혼인으로 맺어진 부부와 사위 장모의 관계를 넘어 평생 기도의 동역자로 매우 귀하게 여긴다. 그 만큼 이들은 평생 동역자로 함께 기도하며 같은 길을 걸었다. 곁에서 오래도록 이들을 지켜본 사람들 또한 이구동성으로 이를 증언한다.
이 목사의 큰 처남은 일찍이 미국에 유학하여, 현재 미국 산타 클라라(Santa Clara) 대학에서 경영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3. 산 기도를 드린 똑똑한 소년 이원상
이 목사의 가족이 3.8선을 넘는 과정에서는 안내인마저 달아나고 없는 상태에서 소련군에게 발각되어 3.8선 경계의 보안서에 수일간 감금 된적이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본적이 남한인 사람은 보내 주는 기회를 얻어 무사히 서울로 들어오게 되었다. 당시 이목사의 부친인 이성봉 장로는 해주에서 남한으로의 탈출을 준비하며 달빛이 없는 그믐밤을 기다리는 동안 무사 탈출을 위해 매일 해주 뒷산에 올라가 산 기도를 드렸는데 부친은 소년 이원상을 동반하였었다. 이때 부친과 함께 드린 산 기도의 경험은 목사 이원상의 기도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서울로 나온 소년 이원상은 청량리에 거주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동대문구 전농동 전농 국민학교를 다니며 창신 교회(권연호 목사)를 다녔고 해방 후인 1949년 국민학교 4학년 때 경북 경산으로 이사하여 경산에서 6.25를 겪었고 경산 국민학교를 다녔다.
부친 이성봉 장로는 경산읍(현 경산시)의 경산 교회 시무장로로 봉사하였는데 동네에서 성자 칭호를 받는 분이었다. 이 목사가 미국에서 목회자로 시무하는 동안에 비록 아들의 목회를 직접 보지는 못하였으나 매일 서너 차례 이상 교회에 가서 아들을 위해 기도하였던 참 신앙인이었다.
부친은 소년 이원상이 5살 때부터 목사가 되기를 서원하였고 이때부터 소년 이원상의 마음에는 목사 이원상이 조금씩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그는 당시 장래 희망 란에 목사라고 기재하였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경산 국민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이원상은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하여 도시의 학교로 진학하지 못하고 경산 중학교를 수석으로 입학하여 거기서 성장하였다.
4. 김윤국 목사의 사모를 만나다
이때 여러 목회자들로부터 영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한번도 탈선 없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최동진 목사, 윤철주 목사, 김형식 목사 등에게서 영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주선애 전도사(장신대 교수로 은퇴)를 기억하며 특히 최동진 목사의 영적 지도로 여러 학생들과 함께 산에서 드렸던 산 기도를 통해 큰 은혜를 받았다. 후일 소년 이원상이 한국에서 대학원을 마치고 미국 유학길에 오르게 된 데는 당시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 유학 중이었던 김윤국 목사의 이야기를 전해 주신 김유건 사모의 영향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전쟁을 피해 오신 김유건 사모가 소년 이원상이 다니는 경산 교회에 계셨던 것은 모든 일을 계획하고 준비하시는 하나님의 놀라우신 경륜이었을지도 모른다.
이원상 목사는 경산 교회를 잊지 못한다. 만주를 떠나 북한을 거쳐 경산에 온 국민학교 4학년 이후 대학 때 까지 거기 살며 경산 교회를 다녔는데 특히 기도 생활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종종 최동진 목사를 따라 경산의 성암산에서 철야로 기도하는 생활을 하였었다. 오늘날 기도하는 종으로서의 모본을 보여 주는 이원상 목사는 이때부터 이미 준비되고 훈련되기 시작한 것이다.
5.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목사가 되기로 결심한 고교 시절
이원상 목사는 경산 중학교에 입학한 후에도 공부를 잘 하였으나 가난 때문에 대구 상고에 진학하여 은행원이 된 후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꿈을 가졌었다. 그러나 그가 대구 상고에 진학한 후, 그에게 존재하던 세상 물욕이 사라지고 하나님 나라를 위한 복음의 열정이 깊어져 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의 고교 시절은 영적으로 크게 성장한 시기였다. 특히 무학산 기도원을 설립하여 부흥운동을 일으켰던 김순도 장로에게서 영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김천에 있는 용문산 기도원의 나운몽 장로의 집회에서도 큰 영적 감화를 받았다. 나운몽 장로가 초기에는 교계에서 인정받지 못하였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는 나운몽 장로의 교리 보다는 기도에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한다. 중3때 용문산 기도원 집회에서 영적 분위기에 크게 감화를 받았고 고교 시절 내내 그의 마음속에는 목사가 되기 위해 정진하려는 생각 외에는 아무런 잡념이 없었다.
이원상 목사는 고교 시절 슈바이처를 동경하며 의대 진학의 꿈을 가진 적이 있었다. 당시 의사와 목사로 헌신하던 이일선 목사는 한국의 슈바이처로 그의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부친 이성봉 장로가 오직 하나님만을 선택하라며 두 가지를 다 잘할 수는 없다고 가르침에 따라 이 생각을 버렸다. 이것은 그의 일생에 첫 번째 타의에 의한 포기로 기록된다.
고교를 졸업할 즈음 그의 서울 진학은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하여 다시 한번 꺾이게 되었다. 그러나 그에게는 목회자의 꿈이 매우 강렬하였으므로 서슴없이 계명 기독 대학(현, 계명 대학교)을 지원하게 되었다. 이 목사는 당시 계명대의 설립 이념인 '그리스도와 그의 나라를 위하여' 등 기독교적 철학에 많은 도전을 받았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하나님 절대 우선 순위에 대한 신앙 교육, 그것은 바로 이 목사의 개인적 삶과 목회에 줄곧 중심적 철학이 되었던 것이다. 그는 이러한 이유로 서울에 있는 대학은 물론 대구 지역의 타 대학도 스스로 포기하고 계명대학에 특차 수석으로 입학하여 장학금을 받는 혜택을 택했다. 계명 기독 대학은 미국 북 장로교 선교사에 의하여 1954년에 설립된 크리스천 대학이었다.
그에게는 이러한 일화가 있다. 계명대 입학시험 때 당시 학장이던 감부열(미국인) 선교사가 입학 구두시험(면접)을 치루는 자리였다.
" 왜 계명 대학에 입학하려고 합니까?"
" 헌신 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 무엇에 헌신하려고 합니까?"
" 하나님께 나의 삶을 드려 복음을 전하는 주의 종이 되려고 합니다."
당시의 학감은 한명수 교수였다. 한명수 교수는 그 후 독일 유학을 다녀와 경북 대학 대학원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는데 이 목사는 이때 한 교수를 다시 만나 그의 제자가 되는 인연도 있다.
6. 목회자가 되려고 철학을 먼저 공부한 계명대학생
그는 계명대 진학 당시 영문과를 선택하라는 주위 목사님들의 조언도 있었으나 목회자의 길을 가기 위해 철학과를 선택하였고 졸업 때도 역시 수석을 하여 당시 신태식 학장으로부터 큰 성경책을 부상으로 받았다. 이때 받은 큰 성경책은 이 목사가 유학을 떠나며 분실하였는데 이것이 지금 어디 있는지 궁금해 한다. 신 학장은 후에 총장을 역임하였다.
대학을 졸업한 그는 1963년 총회 신학교에 응시하였으나 이를 포기하고 경북대 대학원 철학과에 지원한다. 이것은 목회자의 길을 가기 위해 철학 공부를 더 하고 신학을 공부하려는 자신의 의지를 실천한 것이다. 그 당시 경북대 대학원 철학과는 3명이 정원이었는데 경북대에서 허재윤, 대구대에서 한명(이름 미상) 그리고 계명대에서는 이 목사가 합격하였다.
그는 대학시절 군 복무를 하게 되었다(1959-1961). 군 복무 기간에 그는 남 춘천 505 병기단 512 대대에서 근무하며 남 춘천 감리교회의 주일학교 교사로 봉사하게 된 것을 하나님의 귀하신 은혜로 기억한다. 또한 대학시절에는 교목인 차태화 목사가 지도하는 채플 시간이 있었는데 성경이 필수 과목이었기 때문에 이때 신학적 지식을 얻게 되었고 미국인 선교사인 오천혜 교수의 지도로 주기도문을 영어로 암송하였던 것이 영어 공부에 좋은 계기가 되었다.
그는 구 의령 선교사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한명수 교수(서양 철학), 서준택 교수, 강도영 교수, 이정호 교수, 황성수 교수, 정명호 교수, 박종옥 교수, 김희섭 교수(기독교 윤리학), 김태한 교수(영어), 박봉목 교수(교육학), 이정빈 교수(교육학)등 에게 수학하였다. 노명식 교수(문화사, 후에 경북대 총장)에게서는 아놀드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A study of History)를 배우며 많은 감명을 받았다.
이 목사는 목회자가 되려는 후배들에게 신학을 공부하기 전에 철학이나 역사, 문학 등 인문학을 먼저 공부하라고 권유한다. 이 목사 스스로 철학 공부가 신학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믿기 때문이다.
오직 한 길로 올곧게 살아온 그에게는 후에 목회자 또는 교수가 된 친구들이 많다. 친구인 고환규 목사와는 장차 아프리카 선교사가 되자고 막연하게 약속한 적이 있었는데 돌이켜 보면 이것이 목회자가 된 동기를 부여 한 것으로 기억한다. 대구 상고 시절 기독 학생 운동(SCM)을 함께 하였던 친구들이 있는데 김상규(L.A. 안디옥 교회 담임) 박영희 교수(전 총신대 총장), 홍응표 목사, 정재근 목사 등이 있고 경산 교회에서부터 고등학교 대학 까지 함께 수학하였던 친한 친구 중에 이상수 교수는 현재 신학대학의 역사학 교수로 활동 중이고 엄세현은 교회 장로로 현재 대구의 서문교회를 섬기고 있다. 특히 같은 철학과에서 수위를 다투던 친구 선철은은 안타깝게도 연대 대학원 진학 후 세상을 떠났다. 현 계명대 대학원장인 김남석 교수는 계명대 초창기부터 도서관에서 일하였음을 기억한다.
이원상 목사는 대학시절 현재 계명대 교수인 김기한과 함께 계대 학보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학생회 종교 부장과 철학과 대의원으로 활동하였다. 군 복무를 마친 그는 1962년 계명대 5회로 졸업하였다. 또한 계명대 출신 선배 중에서 후에 목회자가 된 추준호, 김명흥, 김진택을 기억하며 후배 중에서 손중철(싱가포르 선교사), 신상길 선교사, 김정국 목사(뉴욕 거주)를 기억한다. 또한 미국에서 정치학 교수로 있는 남태열과 현 계명대 교수인 송석우, 이약구, 조용상등과 함께 수학하였고 김상호 목사는 일찍 소천 하였다.
7. 교회 건축을 경험한 청년 이원상이원상 목사는 미국 유학을 떠나기 전, 그러니까 대학원을 다니던 1963년부터 1968년 유학을 떠날 때까지 지금은 폐교가 된 메노나이트(Mennonite) 중 고등학교에서 영어와 역사를 가르친 경험이 있다. 거기서 계명대 출신인 김이봉 목사(교목), 이동근 목사(부 교장 거쳐 후에 교장이 됨. 현, 미국 침례교 목사) 등과 함께 사역하였다. 이 기간 동안 그는 경산에서 가까운 평산의 평산 교회에서 전도사의 신분으로 담임 교역자가 된 경력이 있다.(1963-1967) 이것은 노회에서 신학을 공부하지 않은 그에게 특별히 시취(시험)를 통해 목회자의 자격을 부여하여 봉사하게 된 것인데 이것은 그의 신학과 목회의 기초가 되었다.
특히 50-60명 정도였던 교인들과 함께 교회를 건축하는 경험을 가질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께서 후에 미국의 수도 워싱톤에 수도권 최대 교회인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를 건축하도록 하시기 위하여 미리 준비하신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또 다른 기록은 그 작은 시골 교회에서 목사가 4명이나 배출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를 도와 헌신하였던 김정자집사(현재 권사)의 아들 박무용(당시 국민학교 4년생)학생이 현재 대구 황금교회 담임목사가 되었고 3형제가 모두 목사가 되기도 하였는데 조의호, 조영길, 조은호 목사가 이들이다. 젊은 시절 그의 짧은 목회 기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실을 맺은 것은 예사롭지 않다.
8. 천막교회 주일 학교를 개척하였다
만주 산성진 교회에서 유치원과 주일학교를 다녔던 이 목사는 국민학교 4학년 때부터 다니던 경산 교회에서 실질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리고 그가 대학생이 되었을 때 당시 부흥사이기도 했던 김형식 담임 목사는 경산교회에서 가까운 곳에 개척 주일학교를 세워 이 목사를 파송하여 사역하게 하였다. 김 목사는 대학생이던 이원상에게 그의 부흥사 사례비중 일부를 장학금으로 주며 천막 주일학교를 이끌게 하였던 것이다. 지금은 경산 중앙 교회라는 이름으로 경산 교회보다 더 크게 성장한 이 교회에서의 사역은 전도와 선교의 의미를 깨닫게 한 중요한 경험으로 그의 신앙을 한층 성장 시켜 주었다. 이 목사는 김형식 목사에게서 신앙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한다.
9. 전도사와 약사의 결혼이야기이목사의 결혼 이야기로 돌아가자. 경산에서 약국을 경영하던 김영자는 혼담의 상대자가 목회자 지망생이라는 것에 부담감을 느꼈다. 김영자는 워낙 신실한 신앙인이었다. 황해도 수안에서 나서 서울 신당동에 살며 신당동 중앙 교회를 다녔고 경산으로 피난 온 이후에도 신앙생활은 지속되었다. 고등학교 때부터 새벽 기도를 쌓았고 이러한 생활은 그의 일상이었다. 김영자는 고아원 아이들을 돌보며 살기를 자원했었다. 외삼촌 이웃집에 고아원이 있어서 늘상 불쌍한 사람들을 보며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고 아버지가 납치된 친한 친구가 고아원에 살기도 하여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런 그에게 전도사 이원상의 중매가 들어왔다. 고아원 사역을 꿈꾸던 그녀에게 목회자의 아내라는 새로운 도전이 다가온 것이다. 목회자의 사모가 된다는 생각을 해 본적도 없는 김영자는 사모의 사명과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보았을 때 매우 부담스러웠다. 물론 그녀의 모친 강옥화 권사도 역시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신앙심이 좋았던 이들 모녀는 자신들의 생각으로 결론을 내리기 전에 교회에서 철야하며 눈물의 기도로 하나님의 말씀을 구하였다. 그리고 이들 모녀는 동화처럼 한날한시에 똑 같은 꿈을 꾼다. 우리에게 보통 꿈 이야기는 마치 미신 이야기처럼 들릴 수도 있으나 이들의 꿈이 요셉의 꿈처럼 워낙 생생하고 영몽 같아서 여기 소개하기로 한다.
경산읍에 살고 있는 김영자는 꿈에 상복을 입은 거지꼴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꿈속에서 중얼거렸다. “이 선생과 결혼했으면 이렇게 되지 않았을 텐데…….” 다른 사람과 결혼하면 남편은 죽고 자신은 거지가 되는 그런 꿈이었다. 장모 강옥화 권사도 한날한시에 같은 꿈을 꾸었다니 놀랍다.
1966년, 마침내 전도사 이원상과 약사 김영자는 결혼하였고 오늘날 북미주를 대표하는 선교와 교육과 화합의 교회에서 헌신적인 동역자로 살아 가고 있다.
10. 두려움과 외로움으로 지샌 미국에서의 첫밤
그는 스스로의 약속대로 ‘65년에 경북 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66년 약사 김영자와 결혼하고 사랑하는 신부를 고국에 남겨 둔 채 1968년 6월, 미국 달라스 신학교에 4년 장학금을 받아 홀로 유학길에 오른다. 그는 미국 유학의 최종 결심을 확실한 굳혀 준 이상근 목사를 기억한다. 이상근 목사(대구 제일 교회 담임)는 달라스 신학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분으로 '목회와 성경 주석'으로 한국 교계와 신학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유명하다. 1968년, 이목사는 서울의 덕성여대에서 문교부(지금의 교육부)가 주관하는 영어와 국사 등 유학시험을 치르고 결혼한 아내를 고국에 남겨 둔 채 노스웨스트(Northwest)비행기를 탔다. 1968년 6월 25일, 당시 한국에서는 200불 이상 가지고 출국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단돈 200불만을 지참하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여 YMCA 호텔에서 미국의 첫 밤을 맞는다. 그 첫 밤은 두려움과 외로움으로 가득하였다.
이 목사가 미국에 온지 1년 반 뒤인 1970년에 김영자 사모는 미국으로와 달라스 장로교 병원 약국에서 일하다가 필라델피아에 있는 템플 대학(Temple University) 약대 4학년에 편입하고 1년 후 달라스 신학 대학을 졸업하여 펜실베니아 대학원으로 온 이 목사와 다시 만난다. 당시에는 유학생 아내에게는 여권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동반 유학을 할 수 없었다.
11. 통조림 공장과 키니 목사의 사랑
미국에 도착한 이 목사는 9월 개강까지 3개월간 취업을 하였다. 샌프란시스코에서 100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스탁턴(Stockton)이라는 곳의 복숭아 통조림 공장이었다. 이 회사의 이름은 캘리포니아 캐너스엔 그로워스(California Canners & Growers) 인데 하루 종일 10시간 이상 서서 일하다 보니 저녁에는 다리가 아파서 움직이지도 못할 지경이었다. 그 후 그는 복숭아 통조림을 결코 먹지 않았을 정도로 당시의 매우 극심하였던 고통을 기억한다.
스탁턴에서 그는 하숙하던 집 앞에 있는 프리윌 침례교회(Freewill Baptists Church)를 다녔는데 여기서 그는 평생을 양 부모처럼 교제하던 아더 키니(Arthur Keeney) 목사 부부를 만난다. 키니 목사는 6.25 참전 용사 출신이기도 하였는데 그는 이 목사를 매우 사랑하였다. 월 50불로 정하여졌던 하숙비도 받지 않았으며 달라스 신학교로 떠날 때 교인들의 헌금으로 장학금을 마련하여 주었고 키니 목사의 사모는 걸어서 다니던 그를 매일 공장까지 데려다 주기도 하였다. 이 목사가 외국 땅에서 경험한 첫 번째 그리스도의 사랑은 이처럼 참 아름답고 구체적이었다.
12. 공장에서 일하며 공부한 달라스 신학대학생
3년제 없이(Master of Divinity) 처음부터 4년제(Th. M.)인 명문 달라스 신학대학은 미국에서도 가장 보수주의적이고 복음주의적인 신학교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달라스 신학대학에 입학한 이 목사는 처음 1년은 교내 식당에서 일하며 공부하였다. 당시 룸메이트이며 함께 식당에서 일한 일본인 친구 케이타 다카끼(Keita Takaki)는 현재 오사카에서 목사로 재직 중이다.
그 후 3년간은 자동차 부속품을 만드는 존 미첼 회사(John E. Mitchell Company)에서 일하며 공부하였다. 개학기간에는 주 20시간씩 일하였고 방학 때는 주 40 시간씩 일하였다. 처음에는 기계공으로 일하였고 마지막 두 해는 공장 청소 일을 하였다. 이 공장의 사장은 달라스 신학교 이사이며 크리스천이었기 때문에 일을 시작하는 첫 1시간은 공부하는 시간을 주어 공부하도록 하는 등 신학생들을 많이 고용하며 편의를 제공하였다.
달라스 신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공부하고 있던 이 목사는 당시 그의 석사 논문 지도를 맡아 준 케네드 바커(Kenneth Barker) 교수( NIV 주석성경 책임 편집자) 의 권유를 받아 당시 구약과 히브리어로 미국 내에서 가장 권위 있다고 알려 진 그의 모교 드랍시 (Dropsie) 대학에서 공부하기로 결정하였다. 한국인 중, 드랍시 대학 출신으로는 최의원 박사와 홍반식 박사가 있다.
그러나 달라스 신학교를 졸업하였을 때 유태인 학교였던 드랍시 대학은 재정난으로 문을 닫아 이듬해인 1973년 펜실바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에 입학하게 되었다. 이 목사는 여기서 근동연구(Near Eastern Study)중 구약과 히브리어를 연구하였다. 이 목사는 경북대학원에서는 목회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철학을 공부하였고 달라스 신학교와 펜실바니아 대학에서는 구약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였다. 이것은 조직 신학 보다는 구약이나 신약을 공부하는 것이 말씀을 연구하고 설교자로서 지식을 얻는데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목사가 구약을 공부하게 된 배경에는 구약을 가르친 두 명의 교수의 영향이 컸다. 이 목사는 이들을 그의 영적인 지도자라고 말한다. 브루스 워키(Bruce Waltke)와 케네드 바커(Kenneth Barker) 교수가 그들인데, 이 두 교수는 이 목사의 석사 논문 ‘요엘서의 히브리어 문법적 연구(A Syntactical study of Hebrew of the book of Joel)’를 지도하기도한 저명한 구약 학자들이다.
이 목사는 1972년에 달라스 신학 대학에서 신학석사(Th. M.) 학위를 받았으며 이러한 성향의 목회 비전을 갖게 되었다.
13. 하나님께서 워싱턴으로 부르시다
펜실바니아 대학에서 박사학위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한 이 목사는 석사 과정을 마치고 박사 과정의 전 과정을 이수한 후, 최종학위 시험을 준비하고 논문을 쓰려고 하는 중에 전혀 알지도 못하고 연고도 없던 워싱턴 지역의 중앙 장로 교회로부터 담임 교역자로 청빙을 받는다. 그러나 이 목사 부부는 공부가 끝나지 않았기도 하였거니와 곧 박사 학위를 받으면 신학 교수가 되려는 소망을 가지고 있던터라 이를 거절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당시 3살이던 아들 요셉이 이유 없이 밤낮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며 고열과 함께 계속 아프다고 하였다. 병원 네 군데를 다니며 진찰을 받았으나 원인 불명이라는 진단을 내릴 뿐, 아이의 고통은 지속되었다. 이들 부부는 몹시 당황하였다. 필라델피아의 노스펜 교회 황규석 목사는 가지 말라는 증거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문득 이 목사 부부에게는 자신들이 와싱턴 중앙 장로 교회의 청빙을 거절하면 하나님께서 장자인 이 아들을 데려 가실 것 같다는 강한 영감을 받았다. 이 목사 부부는 일단 가보기로 하였다. 아픈 아들을 데리고 주일 설교를 하는데 하나님의 강한 부르심을 받았다. 놀랍고도 강한 부르심을 받고 그 청빙을 승낙하지 않을수 없었다. 그후 아픈 아들은 즉시 쾌차하였다. 이 목사가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부르심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음은 물론이다.
이 목사는 26년이 지난 지금, 이 일이 아니었으면 결코 자신들은 워싱턴에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증언한다. 그 3살짜리 아들은 지금 목회자가 되어 버지니아의 미국인 교회에서 청년을 담당하는 사역자로 헌신하고 있다.
14. 평생 동역자 강옥화 권사, 이영자 사모
그리고 그 이면에는 평생 기도 동역자였던 장모 강옥화 권사의 금식 기도가 있었다. 강옥화 권사는 오래도록 공부만 하고 목회를 하지 않던 이 목사에게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100일간 작정을 하고 다락방에서 오전 금식을 하며 사위의 목회지를 위하여 기도하였다. 그 기도가 끝났을 때 와싱턴 중앙 장로 교회에서 청빙을 받은 것이다. 놀라우신 하나님의 응답!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
이원상 목사 뒤에 부친 이성봉 장로의 기도와 가르침이 있었다면 이 목사 부부의 곁에는 강옥화 권사라는 기도의 동역자가 항상 함께 있었던 것이다. 이영자 사모(미국에서는 결혼 후 남편 성을 따르므로 이제부터는 이영자 사모로 칭하자.)는 이 목사의 그림자 동역자다. 이영자 사모는 물질에 관하여 욕심이 없고 적은 가운데 바치기를 기쁨으로 동참하고 늘 감사하며 산다. 대접하고 섬기기를 기뻐한다. 체면이나 강요가 아니라 진실한 마음으로 성도들의 아이들에게 까지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 목사는 그의 아내를 영적으로 조용하면서도 깊은 기도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고 평한다. 모든 성도들을 구역 별로 나누어 그 성도들을 위해 매일 기도하는 생활을 하였고 부임 초기 5년 반 동안은 손에 잉크 묻혀가며 손수 주보를 제작하였다.
15. 기도하는 컴퓨터 사모
한 목회자의 성공적인 사역을 위하여 사모의 역할과 가정의 평화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이영자 사모는 컴퓨터가 없던 80년대에 기도하며 움직이는 고속 컴퓨터였다. 오랫동안 교회를 섬겨 온 성도들은 그를 그렇게 말했다. 그는 언제 어디서나 이 목사에게 필요한 목회 정보와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제공했다. 어느 성도가 출석을 하지 않았는지 한 눈에 알아내어 주보를 보내주는 일은 매우 기초적인 일에 불과했다. 그는 뛰어난 기억력과 부지런함으로 교회와 성도의 모든 상황을 항상 꿰고 있었고 그 현장에 있었다. 그는 언제나 이 목사가 알고자 하는 자료를 즉시 식별하고 분류하고 제출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단지 한 목회자의 사모가 아니었다. 그는 지난 25년 간 월터리드 육군 병원(Walter Reed Army medical Center)에서 전업 약사로 일하며 이 목사를 내조하였다. 그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하였는데 늘 밤 11시부터 아침 7시까지가 그의 근무시간이었다. 이것은 지난 26년간, 온 밤은 약사로서 지새고 낮에는 사모로 충실히 헌신하는 생활이었다는 이야기다. 온전한 목회자의 사모로 엄마로 정상적인 직장인으로 살기 위하여 이렇게 밤 시간을 스스로 선택하여 평생 일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무리 바쁘고 피곤해도 이 목사의 가정 심방에 빠지지 않고 동행하였다. 틴에이저인 두 자녀의 뒷바라지로 한창 바쁠 때인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영자 사모는 교인의 편에 서서 남편인 이 목사에게 대변하였으며 사모의 눈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보여 주신 교회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찾아 적극 조언하였다.
이영자 사모는 먼저 유학을 떠난 이 목사의 뒤를 이어 미국 땅을 밟은 후, 대학에서 2년 간 약사 공부를 하였음은 이미 전술하였다. 이영자 사모가 템플 대학 약학대에서 공부할때 한국에서 온 여느 유학생들 처럼 영어가 부족하여 많은 고생을 하였고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그는 주일을 온전히 지키기 위해 토요일은 밤 12시까지 책상을 떠나지 않았으며 주일 하루 종일 교회에서 예배와 헌신의 시간을 보낸 후, 주일밤 12시가 지나서 다시 공부를 시작하는 등, 강행군을 하였다고 한다. 그럼에도 늘 월요일에 치르는 시험 성적이 나쁘지 않았음을 감사한다.
“제가 미국에서 어려운 공부를 잘 마치도록 이끌어 주신 것은 복음과 목회자의 내조를 위해 이것을 사용하라시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영자 사모는 이처럼 열심히 공부하였고 열심히 일하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누구보다 열심히 헌신하였고 내조하였고 희생하였다.
자녀들은 이 목사 부부에게 생일이나 결혼 기념일 카드를 보낼 때마다 “좋은 본을 보여 주신 부모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부모님을 만나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라고 쓴다.
시 어머니인 이영자 사모가 어느 날, 목회자 사모인 며느리의 헌금 관리를 확인하여 보니 수입의 50%를 건축 헌금으로 내더라는 것이다. 지금 미국 교회의 목회자로 사역하고 있는 아들 요셉 부부는 헌금을 더 많이 내기 위해 차고 위의 작은 방에 세 들어 살기도 하고, 혹은 처가 언니 집에서 얹혀살기도 하였다. 자식은 부모를 보고 자라는 것이 아니던가.
이영자 사모는 자식들 때문에 아버지의 목회가 막히지 않도록 해달라고 기도하였다. 하루 2-3시간은 교회와 자식을 위하여 반드시 기도하였다. 그는 이것을 기도의 십일조라고 말한다. 특히 이 목사의 설교 내용과 가정생활이 일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기도하며 최선을 다했다. 남편이 금식하면 함께 금식하였고 남편이 기도하면 함께 기도하였다. 그는 보통 사람의 두 배 인생을 밤낮으로 살며 그것도 부족하여 뛰면서 기도하고 기도하면서 뛰어 다닌 범상치 않은 동역자였다.
그는 교회에서의 결혼식 피로연 음식 봉사 활동을 주도하며 그것으로 선교비를 만들어 선교지에 보냈고 컬페퍼 기도원 건립기금과 워싱턴 디씨 커뮤니티 센터 구입 자금, 타쉬켄트 성전 건축 기금을 후원하였다. 더불어 목요 여성도 모임을 만들어 잠자는 여성도들을 일깨우고 가르치고 중보기도 하는 일에 헌신하였다. 그에게 휴일은 없었다.
16. 신학교수를 원하였으나 하나님은 그를 목회자로 이끄셨다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목사가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목회자의 꿈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학에 입학한 이후, 본인의 내성적인 성격과 교육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며 신학 교수의 꿈을 구체적으로 갖게 되었다. 달라스 신학대학에서 석사 학위 공부를 할 때도 펜실바니아 대학에서 박사학위 공부를 할 때도 신학교수가 되는 계획과 목표 속에서 공부를 하였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계획은 교수 이원상이 아니고 목사 이원상이었음을 알게 하는 사건이 있다.
그가 중앙 장로 교회의 담임 사역자 청빙을 승낙하고 필라델피아를 떠나 워싱턴에 부임하였지만 집은 메릴랜드주 아델파이에 얻었다. 거주지에서 보다 가까운 볼티모어에 있는 존스합킨스 대학을 다니며 목회와 학업을 동시에 하려는 의도였다. 그러던 어느 날 아델파이에 있는 그의 아파트가 불타 버리는 사고가 생겼다. 이 목사는 이때 교회와 가까운 버지니아 주로의 이주와 박사학위 공부의 포기를 결심하고 실천하였다. 하나님께서 목회에 전념하라고 명령하시는 것으로 받아 드린 것이다.
하나님은 그가 오직 목회자로 헌신하도록 그가 은퇴할 때까지 쉼 없이 인도하셨다. 그리고 이것은 그의 일생에 두 번째 포기로 기록된다.
17. 순종과 기도로 시작한 목회
77 년 12월 첫 주일, 전도사 이원상은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에 담임 교역자로 부임하였다. 당시 교회는 워싱턴 디씨의 구 한국 대사관 근처, 22가와 P 스트리트가 만나는 곳에 있는 미국인들의 필그림 장로 교회를 빌려 썼다. 부모와 자식세대를 분리하여 셀때 17가정이었고 아이들 까지 45명의 조촐한 교회였다. 이때 이 목사 부부가 처음 시작한 일은 새벽기도였다. 그 첫 새벽 기도회는 단지 이 목사 부부만이 출석하였다. 당시 워싱턴에는 10여개의 한인 교회가 있었으나 새벽 기도는 없었다. 이 목사 부부가 처음 시도한 것이다. 바로 이 첫 새벽기도를 통하여도 알 수 있듯이 이 목사는 중요한 고비마다 부부가 합심하여 기도하였고 금식하였고 새벽제단을 쌓았다.
그리고 6개월 후, 하나님께서는 이들이 워싱턴 디씨를 떠나 버지니아로 이사하도록 역사하셨다. 예배 중에 자동차의 새 타이어를 도둑맞거나 옷, 지갑 등을 잃어버리는 사건이 3주간 지속되어 아무래도 버지니아로 이사를 가야겠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목사는 버지니아로의 이주를 결심하고 무작정 길도 모른 채 교회마다 찾아다니며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회를 찾아 다녔다. 이 때 찾은 것이 버지니아주 맥클린이라는 타운에 소재한 루인스빌 장로 교회 (Lewinsville Presbyterian Church) 였다. 1978년 6월, 루인스빌 교회 시대는 이렇게 열렸고 85년 11월 지금의 비엔나 새 성전에서 입당 예배를 드릴 때 까지 7년 반의 초기 고난과 부흥의 역사가 거기에 있었다.
워싱턴 부임 초기, 그는 자신을 위한 기도를 많이 하였다고 고백한다. 30-40여명의 작은 교회는 이 목사 부부의 전교인에 대한 주 1회 심방과 기도로 평탄하였으나 부 교역자 경험도 없이 신학 공부 마치고 갑자기 부임하여 담임 교역자가 되고 보니 자신의 부족을 절감하였고 자연히 자신의 영적성장을 위한 기도에 열중하게 되었다고 했다. 더불어 이 목사는 전 교인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였다. 이것은 그가 담임 교역자로 사역하는 지난 26년 동안 빠짐없이 지속된 매우 중요한 일과 중에 하나이다.
18. 오직 목양에만 집중한 목회
루인스빌로 옮긴 후, 첫 1년은 아무 문제가 없이 나날이 부흥할 수 있었다.
이 목사는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매일 새벽 기도와 수요 성경 공부 시간의 성경 강해를 통하여 성도들이 영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 교회 부흥의 배경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의 목회는 교회의 외적 성장을 목표로 하거나 추구한 적이 없다. 그의 목회는 단순히 양들을 진실로 사랑하는 목양에 집중되어 있었다. 수요 성경 공부, 주일예배, 새벽 기도, 그리고 예배를 위한 말씀 준비와 심방에 온 정열을 기울였다.
“교회 외적, 양적 성장은 생각해 본적이 없고 오직 하나님께서 나에게 맡겨 주신 양들에 대한 사명과 책임만을 생각하였습니다.”
그렇다. 그는 교회를 위하여 광고하지 않는 것은 자타가 인정한다. 교회 예배를 늘려 2부 3부가 추가 될때도 광고하지 않았다. 오히려 타 교회의 목회에 방해를 줄까 염려할 뿐이었다.
그의 목회는 기도에서 시작하여 기도로 끝났다. 단순하고 형식적인 기도가 아니다. 목회자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하던 기도도 아니다. 그가 워싱턴에 부임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는 교우 주소록에 기록된 모든 교인들을 위해 매일 하루 한번씩 기도하였다. 교인 수가 늘고 더 이상 하루에 다 감당할 수 없게 된 후, 그것을 6개로 나누어 일주일에 한번씩 기도하였다. 이것은 마치 아버지 어머니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과 같은 자연스럽고 순결한 사랑이었다. 단언하건데 이것은 결코 가식이나 형식으로 할 수 있는 그런 류의 것이 아니리라.
이 목사는 스스로 실천하고 먼저 본을 보이므로 성도들이 스스로 따라 오도록 하였다. 결코 말로써 강요하거나 목회자의 권위를 내세워 교회를 이끌지 않았다. 겸손과 충성과 온유가 그가 성도들에게 보여준 모습의 전형이다.
82 년 10월 이 목사는 스스로 마나사스에 있는 임마누엘 교회의 전도 폭발 훈련의 수강자가 되어 훈련을 받았고 이것을 교회에 적용하였다. 84년 3월에는 네비게이토에서 실시하는 2:7제자 훈련을 받기 위해 필라델피아의 제 10장로 교회(The 10th Presbyterian Church)를 다녀왔고 이것을 즉시 교회에 적용하였다. 이 두 가지 훈련은 지금까지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를 받쳐준 대표적인 소그룹 활동이 되었고 교회 부흥의 힘이 되었다.
19. 교회 초기의 어려움과 화합의 중요성
이 목사의 26년 목회 사역은 늘 평탄하였으나 한차례의 고난기가 있었다. 이것은 어쩌면 부 교역자의 경험도 훈련도 없이 담임 목회자가 되었던 이 목사에게는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초기의 아픈 경험은 그의 이후 목회기간 전체를 화목과 단합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고 교훈이 되었다. 이것은 교회 지도자와의 영적인 갈등과 당시의 미숙하였던 목회 지도력이 문제였다고 한다. 하나님께서 그를 크게 사용하시기 위한 훈련의 시간이었으리라. 당시 그는 사임을 결심하였다. 아무래도 교회를 잘 이끌어 나갈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그는 달라스로 떠나려는 시도를 구체적으로 시행하였다. 미루어 두었던 박사 학위 공부를 마무리하기 위해 달라스 신학교로부터 입학 허가서도 받았고, 이영자 사모는 달라스 병원의 약사로 일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달라스 지역의 방원곤 장로, 강희구 장로와 개척 교회를 세우기로 하고 담임 목사 취임의 약속도 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정은 개인적으로나 가정적으로나 희망적인 좋은 기회였고 교회를 위해서도 합당한 결정이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개인적인 목표, 개인의 평안함을 추구한 것이지 하나님 보시기에는 합당하지 않았던 것이지요.” 이 목사의 회고다.
달라스에서 돌아온 이 목사가 교회에 사표를 냈을 때, 교인들은 그의 거처인 베드포드 아파트(Fairfax병원옆, Bedford Apartment)에 몰려와 밤늦도록 그의 사임을 만류하였다. 그는 그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 순종하였다. 이것은 그의 일생의 세번째 포기로 기록된다.
그리고 그 83년 이후 20년 동안 그가 이끄는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는 탄탄대로를 달려갔다. 당시 상당히 많은 성도들이 교회를 떠났고 지금도 그것을 생각하면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이 목사는 말한다. 그러나 이 사건은 교회의 문제점들이 정비되는 전화 위복의 기회가 되었고 이후 조금씩 부흥하기 시작했다. 아무런 분쟁도 다툼도 없는 화목한 교회가 되었으며 축복의 통로가 되었다.
“하나님의 축복은 화목한 것으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화목은 하나님의 축복의 통로임을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목사의 증언이다.
그는 목회 초기 교회 리더십과의 갈등을 경험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안수 집사를 세우고 장로를 추천하였다. 특히 장로를 세울때 사모와 함께 3일 금식 기도를 한후 모든 것을 하나님 뜻에 맡기고 그들을 지도자로 세웠다. 교회 리더십과의 분쟁을 우려하여 지도자를 세우는데 소극적인 목회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신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도자를 세우고 양육하여 화목한 교회를 만드는데 주력한 결과 오늘날 든든한 교회를 이루게 된 것이다. 그러나 지도자를 세울 때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지도자를 세우기 위하여 목회자는 기도를 많이 하여야 한다고 권면한다. 이 목사는 개인적으로는 금식 기도를 통하여 영적인 충만함을 얻었고 제자 훈련과 선교에 중점을 두어 교회를 지도하였다. 이것은 26년 목회 동안 언제나 동일한 기준이었다.
20. 포기를 통하여 얻은 귀한 축복
이 목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의 일생에 3가지를 포기하였다. 그 첫째는 의사와 목사를 동시에 택하고자 하였던 그에게 오직 목사로서 충실하기를 원하셨던 부친의 말씀에 순종하기 위하여 의사의 길을 포기 한 것이고 필라델피아에서 워싱턴으로 부임하기 위해 거의 마무리 중이던 박사학위를 포기하였던 것이 두 번째며 다시 달라스로 돌아가 중단하였던 박사학위도 끝내고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려던 것을 포기한 것이 세 번째이다. 이 목사는 세 가지를 포기하였으나 이것은 모두 하나님의 요청에 순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포기를 통한 순종에서 얻은 나의 결론은 순종하면 하나님께서 결국 다 갚아 주신 다는 것입니다.” 이 목사의 간증이다.
하나님은 순종하며 헌신한 그를 위해 그의 약점과 부족을 모두 채워 주셨으며 그가 인간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보다 훨씬 더 많이 그를 귀하게 사용하셨음을 감사한다.
21. 그의 롤 모델은 사도바울
바울 사도는 이 목사의 롤 모델이었다. 바울 사도의 삶과 행적이 바로 이 목사가 따라가고자 하였던 모델이었던 것이다. 바울 사도는 우선 목회자였다. 성도들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목회자였다. 데살로니가서나 빌립보서에 기록된 사도 바울처럼 이 목사는 성도들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목회자가 되기를 소원하였다. 바울은 또한 선교사였다. 가는 곳 마다 교회를 세우고 전도하였던 사도 바울처럼 이 목사는 선교사로서의 목회자가 되기를 원하였다. 또한 바울은 신학 성경의 기본을 이룬 신학자였다. 이 목사는 역시 바울과 같은 신학자로서의 목회자가 되기를 원하였고 그 길을 끊임없이 추구하였다. 그는 이것을 잔잔하고 신념에 찬 목소리로 증언한다.
“나의 목회 26년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사도 바울과 같이 성도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목양자로서의 목회자, 선교사로서의 목회자, 신학자로서의 목회자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그의 목회 3대 철학은 기도, 겸손 그리고 충성이다
“은혜를 구하는 것은 기도이며, 은혜 받은 자는 겸손과 충성으로 살아야 합니다. 즉 자기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받은 것이니 겸손하여야 하고 그 은혜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도하여야 하고 기도하여 은혜를 받은 자는 당연히 최선을 다하여 충성을 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이 목사의 목회는 끊임없는 기도와 은혜 받은 자로서 겸손과 최선을 다하는 충성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그는 교인들을 볼 때 이상하리만치 부모가 자식 대하듯 사랑과 애정을 느낀다고 한다. 그의 설교는 한 마디 한 마디에 간절함이 묻어있다. 이러한 그의 모습은 이 목사가 훌륭한 목회자 이전에 고결한 인격자였음을 반증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22. 성전 건축과 수요 금식기도그가 워싱턴에 부임하였을 때 교회는 1만 5천불 정도의 건축헌금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2년 후인 80년 5월, 15만 불을 주고 비엔나에 성전 대지를 구입하였다. 그후 1982년부터 이 목사는 전교인과 함께 교대로 매일 한 사람씩 금식 기도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 교인 수가 많지 않으므로 1년을 모두 채우기에는 역부족이어서 이 목사 부부가 이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매주 수요일마다 금식하며 기도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목사는 늘 건강하였다. 목회 26년 동안 특별히 병으로 고생한 적이 없고 늘 건강하도록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건강의 축복을 내려 주셨다. 이 목사의 기도 생활은 1996년 버지니아 지역에 유사 이래 최대의 폭설로 장기간 길이 막혔을 때 그 뉴스를 접한 이 목사가 교회에서 밤을 지새며 홀로 새벽 기도를 드렸을 만큼 철저하다.
성전 건축 이야기에 읽힌 이야기를 좀더 하려고 한다. 당시 이 목사는 미국인 교회인 루인스빌 장로 교회(Lewinsville United Presbyterian Church)를 빌려 사용하고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던 중 1982년 루인스빌 장로 교회의 개리 핀더(Gary Pinder)목사가 한 건물에서 두 교회가 사용하기에는 비좁다며 이사 나가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때 이 목사는 이들에게 간청하여 1년의 시간을 얻었다. 그런데 당시 루인스빌 교회 옆에 루인스빌 국민학교가 있었는데 그 학교가 문을 닫게 되었음을 알았다. 이 목사는 매일 새벽 이 학교를 사게 해 달라고 기도하였다. 새벽마다 학교 앞 마당에서 기도하고 교회에 가서 또 기도하였다. 이 학교는 루인스빌 교회에서 두 블럭 정도 떨어진 가까운 곳이었다. 주차장등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좋았다. 새벽마다 학교 앞길에서 기도하는 이들을 수상하게 여긴 경찰이 따라오는 일도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 학교로의 이전을 원하였던 이 목사의 기도를 허락하지 않으셨다. 이 학교는 지금 노인 복지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 생각하니 당시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신 이유가 있습니다. 만일 그 장소를 허락하셨다면 지금과 같이 부흥하기 힘들었을 테니까요.”
그것도 좁았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더 크게 사용하시기 위하여 그 기도에 응답하지 않으셨던 것이다. 하나님께서 이 학교를 주지 않으시고 비엔나 성전을 허락하셨음으로 오늘날 미국 수도권 제일의 교회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23. 온 성도의 금식기도로 지은 성전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에서 청년기에 임시 전도사의 신분으로 교회 건축을 경험한 이 목사는 이렇게 준비된 목회자로서 교회를 건축하게 된다.
성전 건축과 관련하여 이 목사는 건축위원장이었던 고 김충흠 박사(집 사) 이영기 집사 부부와 수많은 성도들의 눈물겨운 헌신을 기억한다. 성도들은 성전 건축을 위해 휴가도 가지 않았고 새로운 자동차 구입도 포기하였다. 매일 교대로 금식하며 기도하였다. 그러므로 이 성전은 이 목사 부부와 성도들의 금식기도로 지은 교회라 할만 하다. 이 금식 기도자 명단은 교회 주춧돌 안에 보관되어 있다. 교인들은 금요일마다 철야로 기도하였고 이 목사 부부는 수요일 마다 또 금식 기도하였고 공사 중이던 교회의 시멘트 바닥에서 잠자며 3일간 금식 기도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150만 불이나 되는 건축비를 충당하기에는 교세가 역부족이었다. 이때 김충흠 집사등 10여 가정이 개인적으로 보증을 서서 건축비를 융자 받을 수 있었다. 교회 건축을 위해 교인들이 자발적으로 은행 융자금의 보증을 섰던 것이다. 이것이 제때 잘 상환되어 아무 문제없이 정리되었음은 물론이다.
“이것은 하나님께 칭찬 받을 만한 헌신이었습니다. 금식기도가 형식적으로 보이지만, 성도들 마음이 하나 되고 하나님께 정성을 보여 드리는 일로 은혜 받는 지름길입니다. 이것은 나의 산 경험으로 입증 되었습니다.” 이 목사의 간증이다.
건축을 통하여 하나님이 축복하시는 것이 분명하다. 하나님은 성전 건축을 기뻐하신다. 건축은 헌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네 보물이 있는 곳에 네 마음이 있다.’고 하신 바와 같이 성도들의 마음, 성도들의 정성이 모이니 하나님이 축복하셨고 교회가 세워지니 자연 주일 학교 교육이 원활하여 졌고 이것은 교회 부흥으로 이어졌다.
이 목사는 교회를 지을 당시부터 2세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교실을 6개로만 하자며 반대하는 성도들도 있었으나 교육을 위해 12개 교실을 굽히지 않았고 이러한 교육에의 투자는 자연 교회 부흥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중에도 이 목사와 교회는 선교사를 후원하는 일을 쉬지 않았다. 이은무, 김병선, 안성원, 신홍식, 윤수길, 김정웅 선교사 등을 교회 건축 전부터 시작하여 교회를 건축하는 중에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후원하였다.
“이것이 하나님 보시기에 합당하였음으로 우리 교회를 축복하여 주신 것이라고 믿습니다. 목회자는 모름지기 성전 건축과 선교에 열심이어야 합니다. 성전건축과 선교는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기독교의 역사는 성전 건축의 역사입니다.”
모세는 시내 산에서 성막을 짓고 다윗은 법궤를 예루살렘에 옮겨왔으며 솔로몬은 시온산에 성전을 짓고 솔로몬의 성전이 불타고 바빌론 포로 이후에 다시 제2의 성전을 짓고……. 이 목사는 “성전 건축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이요 목회자의 큰 사명 중에 하나다.” 라고 길고 오랫동안 강조한다.
1985 년 12월 7일, 착공한지 1년여 만에 그는 새 성전을 완성하였다. 새 성전은2층 좌우 발코니와 500석의 본당과 본당 아래층에는 150여명이 예배드릴 수 있는 소예배실, 친교실, 그리고 12개의 교실과 부엌등이 있었다. (대지 3.5에이커, 총 건평 22,000 평방 피트) 입당 예배후 온성도는 담요을 가지고 와서 철야기도를 하며 환호하고 감사하였다. 오랫동안 미국인 교회를 빌어 예배드리던 성도들이 자체 성전을 갖게된 감격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제2의 성전을 건축하였던 이스라엘 백성들의 환희에 비견할만할 일이었으리라.
필자는 자못 궁금하였다. “목사님! 그 작은 교회로 어떻게 그렇게 큰 교회 지으실 용기를 내셨습니까?”
“인간의 용기가 무슨 힘이 있나요. 하나님의 주시는 확신이지요. 이것은 용기가 아니고 기도 중에 얻은 확신입니다.”
24. 서울 구역, 한국의 선교사들
이 목사가 담임하는 와싱톤 중앙장로교회를 다니다가 한국으로 돌아간 이들의 모임인 서울특별시 구역은 유명하다. 현재 SEED International 한국 후원회로 명칭이 바뀌었지만 지금도 350여 가족이 매년 손꼽아 기다리는 모임이 되어 선교를 후원하는 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워싱턴을 떠나 귀국한 후, 이 목사님과의 아름다운 신앙생활을 추억하기 원하고 이 목사님과 나눈 믿음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기 원하는 이들의 모임입니다.” 이같은 정근모 장로(호서대 총장)의 언급처럼 이 모임에는 순수한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거듭 태어난 수많은 한국의 지도자들의 모임이 되었다. 아무리 바빠도 이 모임만은 반드시 나오려고 한다는 이명박 서울시장의 말처럼 이 모임은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의 역사적인 역할과 이목사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대목이라 아니할 수 없다. (별표 1, 주요 인사 명단)
25. 교육과 선교에 열중한 사역
성전을 건축한 후 그의 사역은 교육과 선교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승렬 전도사(현, 탈봇신학교 신약 교수)를 교육전도사로 처음 임명하였고 85년도에 교육담당 전임 목회자(이주영 목사)를 초빙하였으며, 88년에는 교육관 부지를 새로 구입하여 교육관을 건립하였고, 한국어에 취약한 영어권 2세들을 위한 영어 예배를 신설하였다. 특히 이민 교회에서 필수적으로 만나는 언어와 문화의 장벽은 이민 2세에 대한 사랑과 교육적 가치관의 확립을 통하여 넘을 수 있는 당면한 과제였다. 이를 위해 노창수 전도사(현, 후임 담임 목사)와 양춘호 목사가 동역하였다. 드디어 2세들이 저들의 언어로 하나님을 찬양하며 말씀을 배우게 되었고 현재 2명의 전임교역자와 400여명의 회중들이 주일 2부 영어 예배를 드릴 만큼 자라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에서의 이민이 늘어나기 시작하며 갓 이민 오는 청소년들이 증가하자 영어에 어려움을 느끼는 한국어권 2세들을 위한 한국어 예배인 아가페(Agape) 예배를 신설하고 조주은 전도사를 영입하여 전담하게 하였으며 장진명 목사(대학부, 아가페), 유익상(영어예배), 서준택(한국어 어린이)전도사 등이 가세하여 장 단기 선교, 교육, 선교회 그리고 교구 사역의 기틀을 다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목사는 선교에도 더욱 힘을 내기 시작한다. 87년에는 파라과이에 첫 단기 선교 팀을 파송하였고, 88년에는 페루에 두 번째 팀을 파견하였다. 이어서 89년에는 미주 최초로 선교 전담 교역자를 세웠는데, 박신욱 선교사에 이어 정강현 목사(당시 강도사)를 영입하였음은 그의 선교에 대한 열정이 어떠한지를 보여 주는 중요한 대목이기도 하다. 이들을 통하여 선교 훈련과 활동을 보다 조직화 구체화하게 되었고 특히 단기 선교도 멕시코, 페루, 아르헨티나, 우즈베키스탄, 중국 등으로 확장되어 나갔다. 이어서 88년에는 안성식 강도사를 GMF(Global Missionary Fellowship) 본부 선교사로 파송하였고, 90년에는 박신욱 선교사를 아르헨티나 선교사로 이평강 선교사를 동아시아 선교사로 파송함으로 장기 선교사 파송의 문을 열어나가는 등 92년에 10가정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김요한, 신영선, 유익상, 서문안, 이은섭, 오지영, 김현일, 김홍기선교사등이 그들이다.
이 목사는 평신도 교육에도 관심이 많았다. 이를 위해 스스로 교육을 받는 겸손함이 돋보인다. 이 목사 스스로 87년 서울의 한국 사랑의 교회(옥한흠 목사)에서 실시하는 “평신도를 깨우라.” 는 주제의 제자 훈련을 먼저 받은 후 돌아와 이미 시행중이던 2:7제자 훈련과 함께 장년 지도자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고 이를 위해 권형인 전도사를 심방 전도사로 영입 하였으며 또한 홍원기 목사와 양춘호 목사를 교구 및 교육 담당 목회자로 영입하였다. 더불어 어린이 교육을 위하여 김미희 전도사를 주일학교 전담 교역자로 영입하여 교회적으로 교육이 전문화되는 기틀을 확립하였음은 그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26. 중앙 시니어 센터와 노인 교육
이 목사는 노인 교육에도 관심이 많았다. 교회가 성장하며 점차 노인인구가 늘어나기도 하였고 언어와 습관과 문화의 차이로 인하여 소외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의 문제가 평소 어른을 공경하며 성도를 사랑하여 온 이 목사에게 중요한 과제가 된 것은 당연하다.
94년도에 이광수 장로를 중심으로 노인 프로그램을 시작한 후, 노인 교육의 귀한 뜻을 가진 김윤한 집사, 변영환 집사등에 의해 더욱 확장되고 노인 교육 전문가인 전혜성 권사의 참여로 중앙시니어 센터라는 이름으로 발전하였다.
이것은 현재 범 교회적으로 350여명의 노인들이 매주 화요일에 정기적으로 모여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미국 정부 카운티 당국에서도 적극 지원하는 중요한 커뮤니티 활동 중에 하나로 자리 잡았다. 2001년에는 버지니아의 주지사가 수여하는 최우수 봉사기관상(Virginia Gorvernment Award)을 받았다.
27. 커뮤니티 센터와 컬페퍼 기도처소
교회 창립 25주년을 맞은 98년 즈음, 한국 민족을 위한 한인 이민 교회를 이끌어 오던 이 목사는 하나님께서 주신 지난 25년간의 은혜가 매우 크고 감사하여 기도하는 중에 내 교회를 벗어나 타 인종을 위해서도 무언가 일을 하여야겠다는 강한 사명감을 느꼈다. 이것은 우즈베키스탄의 타쉬켄트 만민교회 건축으로 나타났고, 미국의 수도 워싱턴 디씨에 특별히 어려운 환경에 있는 타 인종들을 위하여 뭔가 하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커뮤니티 센터 건립 구상이었다. 처음에는 미국인 교회인 워싱턴 디씨 3가 교회와 연합, 그 교회를 사용하여 동역하는 생각을 하였다. 그러나 막상 하려고 하니 그 교회는 건물 보수가 불가능 할 만큼 낡고 헐어 도저히 손을 댈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와 이웃한 곳에 건물을 한 동 구입하였다. 이것은 교회가 메시아 공연 등을 통하여 얻은 헌금과 교인들의 정성이 모아져 가능하였다.
일화가 있다. 처음 이 건물을 사고 한 집사님이 맡아 수리를 하려고 방문 중이었는데, 대낮에 흑인이 총을 들이대고 돈을 빼앗아 갔다. 이에 놀란 집사님은 이 장소를 수리하는 일을 포기하였다. 그후 함준길 장로님이 맡아 말끔히 수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평화 나눔 공동체(최상진 목사)에 무상으로 대여되어 마약과 술에 젖은 수많은 홈리스(Homeless)들의 안식처로 선교 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형편없는 빈민가였고 대낮에도 총에 맞아 죽는 이가 속출하던 이곳이 지금은 백악관에서 불과 15분 거리에 위치한 도심으로 변모하면서 새로운 도약과 변화를 재촉하고 있기도 하다.
더불어 평생 기도로 살아 온 이 목사에게 기도 처소는 무엇보다 중요한 명제였다. ‘성도를 훈련시켜 세상을 변화시키는 교회’를 주제로 내걸었을 만큼 평신도 교육에 헌신하였던 이 목사는 성도를 훈련시키기 위해 교회라는 환경도 중요하나 교회 밖의 시설도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소그룹 영적 훈련장소로서 마음 놓고 목 놓아 기도하기 원하는 이들의 안식처로서 지난 2002년 5월 1일 문을 연 컬페퍼 기도처소는 어둠을 뚫고 밝은 미래를 열고자 하는 순례자의 애 끓는 기도 소리로 가득 찰 것이다.
28. 안디옥 교회를 닮기 원하였다
이 목사는 사도행전 13장에 선교의 기원으로 기록된 안디옥 교회를 닮기 원하였다. 그는 2000년 까지 10가정의 전임 선교사를 파송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교회 자체에서 선교사를 교육하고 파송하는 기관으로 중앙 선교회(CMF)를 설립하고 91년 박신욱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그리고 2000년 9월 ROW라는 뉴욕의 선교 단체와 병합하여 만든 것이 SEED INTERNATIONAL(www.seedusa.org) 이라는 선교 기관이다. 이 선교회는 미국 내 한국인으로 구성된 유일한 국제선교 단체이다. 교회에서는 독립된 기관으로 15교회가 연합하여 운영하며 현재 46가정의 선교사를 17나라에 파송하고 있으며 미국의 선교단체 연합 기구인 EFMA(EVANGELICAL FELLOWSHIP OF MISSION AGENCIES )에도 정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주목할만한 것은 와싱톤 중앙장로 교회를 섬기던 성도들중에서33명의 선교사나 목회자가 탄생되었다는 사실이다. (별표 2, 선교사, 목회자 명단)
이 목사는 현재 SEED 선교회의 대표(President)인데 이것은 은퇴 후에 그가 감당할 주요 사역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최근 그는 시드(SEED) 선교회 국제센터 건립을 위해 기도중이다.
이 목사는 더불어 은퇴 후에 에스라 연구원(EZRA STUDY CENTER) 설립을 구상중이다. 이것은 선교사와 목회자 그리고 평신도 지도자 및 제3세계 교회 지도자를 훈련시키는 교육기관으로써 교회와는 상관없이 그의 마지막 무게가 이 사역을 향해 실려 있다.
29. 미국 연방의회에서 개원기도를 하다
이 목사는 버지니아 주 의회의 개원 기도를 하였으며 연방의회(하원)에서 개원기도를 맡기도 하였다. 그의 기도문과 약력은 의회 속기록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지난 2002년 10월 10일, 미국 하원 107차 개원 기도 때는 미 의회가 이라크 공격을 결정한 중요한 날이기도 하다. 이 시대 유일한 분단 국가인 대한민국 출신의 목회자가 미국에 의해 북한과 함께 악의 축으로 규정된 이라크를 공격하는 중요한 결정을 앞둔 그 날의 기도를 맡은 것은 의미심장하다.
버지니아 주 의회 개원 기도문(2002년 1월 15일)
왕이신 하나님, 이나라를 당신의 거룩한 지혜와 은혜로 다스리시니 감사합니다.
당신은 휘몰아치는 물결 위에 있는 반석 이십니다.
부정과 패배로 고통스러워 하는 자들의 위로자 이십니다. 의로운자 들의 방어자 이십니다.
진리와 영광이시며 매 해마다 항상 계시며 신실하신 분 이십니다.
주여, 버지니아 주 의회를 축복하셔서 이나라와 세계의 빛이 되게 하소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Prayer for the General Assembly of Virginia of Representatives
Sovereign God, we adore you for ruling our nation with your holy wisdom and grace. You are a Rock above turbulent waters; a Comforter to those who suffer from injustice and loss; the Defender of Righteousness. Truth, and Honor; ever present, ever faithful with each new year.
Bless this General Assembly to be a light for the nation and the world.
In His name we prayed, Amen.
미국 연방 의회 개원 기도문(2002년 10월 10일)
하늘과 땅의 창조자 이신, 하늘에 계신 아버지.
당신은 이 세상의 왕이신 하나님이십니다.
우리의 삶과, 사랑하는것들 그리고 추구하는 기쁨을 축복하시니 감사드립니다.
저희들을 “하나님 아래 한 나라” 로 세워 주시니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주여, 이곳에 남녀 종들을 이나라의 충실하고 진실된 하원으로 부르시니 감사합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여 이 국회의 남녀 종들이 이 나라를 정직성과 열성,
그리고 동정심을 가지고 이끌수 있도록 도와 주소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함을 서로 받아들이고 사용하여
우리 나라를 강화시키고 분단 되지 않게 하도록게 하소서.
그들에게 초자연적인 담대함과 결단력을 허락하셔서
우리의 자유를 위협하는 자들을 막게 하소서.
그들을 지혜와 공평함으로 채우셔서 우리 모두를 위한 정의가 있게 하소서.
당신께 영광과 존귀를 돌리며 이 모든 말씀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Player for th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eavenly Father, creator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you are the Sovereign Lord over all.
We thank you for blessing us with our lives,
our loves and all our pursuits of happiness.
We thank you for forming us as
“one nation under God.”
And Lord, we thank you for calling these men and women
to be for this nation faithful and true representatives,
Heavenly Father, may you now enable these men and women of our Congress
to lead our country with integrity, zeal, and compassion.
Help them to embrace and utilize their diversity
To strengthen our country and keep it indivisible.
Give them supernatural courage and determination
To oppose any who threaten our liberty,
Fill them with wisdom and impartiality
To meet our justice for all.
For your glory and honor we pray all these things
In Jesus name,
AMEN
30. 예수님을 친구로 삼은 이원상 목사
이 목사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평생을 살아왔다. 목회자들, 교인들, 불신자들 그리고 미국의 정계의 여러 인사들과도 교분을 쌓았다. 그리고 그는 유나이티드 웨이(UNITED WAY) 훨스처치, 페어팩스 카운슬 멤버로 3년간 봉사하기도 하였다. 그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찾아오는 수많은 미국 정계 인사들을 반갑게 맞아 주었고 여러 가지 사유로 찾는 사람들 사이에 아무런 장벽도 차별도 두지 않았다. 어느 누구든 겸손한 모습으로 반가이 맞아 주었고 손을 잡아 주었다. 그는 또한 장로 교단의 노회장등 여러 단체의 대표로 일하였으며 지난 26년간 오직 한 교회를 다툼 없이 올곧게 섬겨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종 그에게는 친구가 없다고 말한다.
“그렇게 의도하지는 않았으나 이로 인하여 교회를 공평하고 편파적이지 않은 평화로 이끌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이 목사의 언급처럼 이것은 오히려 예수님 중심으로 살아온 목회자 이원상의 장점이었고 중요한 덕목이었다.
31. 물질에 깨끗하고 헌금에 본을 보여준 목회자
이원상 목사는 물질에 초연하고 겸손하게 최선을 다하여 바치는 사람이었다. 출장비로 사용하고 남은 페니 하나 까지도 내어 놓았으며 자신이 받은 교회 외부의 사례금을 교회에 헌금 하거나 시드 선교회(Seed International)에 선교비로 보냈다. 이러한 물질 관리로 인해 성도들에게 존경과 신망을 얻을 수 있었고 26년의 사역이 평화스럽고 화목할 수 있었던 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또한 교육관 신축 공사를 할때 성도들의 건축 헌금이 부진하자 자신의 은퇴 연금 구좌(IRA)를 해약하여 전액 헌금하였던 것도 알려지지 않은 일화이다.
“지금 생각해도 놀랍습니다. 이것은 보통 사람이 생각하기 어려운 결단입니다.”일반적으로 은퇴 구좌는 절대로 해약하지 않고 끝까지 지키는 것이 미국에 사는 이들의 상식이라며 전해 준 김병춘 원로 장로(당시의 재정위원장)의 귀뜀이다.
83 년부터 85년도 사이에 교회 건축을 할 때는 건축 헌금을 위해 자식들에게 그 흔한 치즈나 우유도 사주지 않고 헌금부터 하였다. 헌금부터 하고 남은 것을 생활비로 사용하려고 하니 늘 부족한 생활이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이 목사 사모의 엄격한 신앙 관리와 내조에 기인한다. 종이 한 장도 교회 것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였고 교회 경비 사용에 엄격하였다. 교회 경비는 헌금에서 나온 것이고 헌금은 교인의 핏값이라는 생각 때문에 함부로 사용할 수 없었다고 한다. 부부가 함께 출장을 떠나는 경우, 이들은 서로 구분하여 비용을 지출하였다.
이 목사 부부는 건축 헌금을 작정할 때도 헌금 액수를 정하기 위하여 부부가 각자 기도하고는 그 금액을 정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놀랍게도 동일한 금액을 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금액일 경우에는 더 많은 금액을 따르는 원칙을 지키며 헌금 생활에 충실하였다.
이 목사는 교회에서 그의 은퇴를 앞두고 퇴직 사례금으로 지급하기로 결정한 5만불을 전액 교회 건축 헌금으로 내어 놓기도 하였다.
32. 설교와 삶이 일치한 하나님의 대변자
설교자는 하나님의 대변자이다. 구약의 선지자라는 말은 대변자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대변자는 하나님이 주시는 말씀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전달자여야 한다. 설교자는 하나님의 전달자이기 때문에 그 삶이 바르고 합당하여야 한다. 하나님 보시기에 말과 생활이 일치되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이 목사가 늘 지켜온 그의 설교관이다. 그의 설교는 항상 말씀 중심이었고 잡다한 세상적 비유를 거부하였다. 그리고 그의 삶은 그의 설교와 항상 일치하는 곧고 바름 그 자체였다.
“이 목사님과의 목회자- 성도간의 관계가 예수 그리스도안에서의 동역자로 승화될 수 있는 것은 그분의 겸손함과 헌신 때문입니다. 바쁘지 않고 조용함을 잃지 않는 이 목사님과의 대화는 잔잔한 물가로 인도하시는 주님과의 대화를 연상케 합니다.” 25년간 신앙안의 교제를 나누어 온 정근모 장로(호서대 총장)의 지적은 진지하고 평화롭게 이어진다.
“조 급한 결론만으로 성도들을 몰아치는 목자가 아니라 스스로 깨닫기를 기다리는 질문으로 우리들 생각을 이끄는 그 분과의 만남은 항상 미소를 띠는 각별한 기도와 함께 끝납니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당황함이 없고 아무리 기쁜 일이 있더라도 교만이 없는 오직 예수그리스도만 바라보고 충성하는 믿음의 자세를 가진 분이지요.”
33. 겸손 정직 충성의 목회자가 되라
그는 후배 목회자들에게 성경을 많이 읽고 정독하며 성경에서 깊은 은혜와 지식과 영향을 받도록 힘쓰라고 권면한다. 그리고 기도에 충실하라고 권유한다. 기도 생활을 통하여 영적인 능력, 인간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하나님의 은혜로 채우라고 말한다. 기도는 불완전이 완전하여 지는 중요한 통로이기 때문이며 인간의 불완전한 요소가 하나님의 은혜로 채워져서 자기가 가지지 못한 것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인격적으로 3가지 기준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겸손한 사람을 기뻐하십니다.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무능을 고백하고 사람을 섬기는 모습을 실행하는 것이 겸손입니다.”
그리고 정직함과 최선을 다하는 충성이 결합 될 때 완전한 인격에 이른다고 말한다. 이 목사는 평생을 이렇게 살아온 사람이기도 하다.
34. 계명대, 명예박사 학위의 남다른 의미
이 목사는 은퇴를 1년 앞둔 지난 2002년 뜻하지 않게 모교인 계명대학으로부터 명예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것은 계명 대학의 설립이념과 정신을 잘 드러낸 사역자로 평가 받은 그에게 주어진 명예박사 학위였으나 그에게는 남 다른 하나님의 은혜로 다가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는 펜실바니아 대학에서 박사학위 전 과정을 이수하고 마무리를 하는 시점에 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그가 지난 26년간 섬겨온 중앙 장로 교회의 담임 교역자로 부임하게 되어 박사 학위를 포기하는 등, 두 차례에 걸쳐 박사학위는 그의 의지와는 달리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함으로 포기되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어느 주일 설교 강단에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이 명예박사 학위는 26년간 하나님 보시기에 아름다운 교회를 이루며 희생과 봉사로 헌신하여 온 우리 교회 모든 성도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두 번에 걸쳐서 내가 좋아하고 원하는 것을 포기하며 하나님께 순종하였던 보상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인 것입니다.”
35. 계명의 후배들아 먼저 그의 나라와 의의를 구하라
미 북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하여 설립된 계명대학 출신인 이원상 목사는 그가 하나님 중심의 생활, 하나님 우선 순위의 생활을 그의 생활 철학으로 삼아 왔던 것처럼 사랑하는 계명 후배들에게 그의 대학 생활에서의 삶의 철학이었던 마태복음 6장 33절 말씀을 권면한다.
“ 먼저 그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라.”
그 는 또한 철저한 시간관리를 권면한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주어진 천부의 자산이므로 이것은 인생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는 철학이다. 더불어 하나님 앞에서 시간관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삶의 우선 순위로 하는 것이고 사람 앞에서의 시간관리는 책임성 있는 사람이 되는 기초라는 설명이다.
36. 1.5세 후임 목회자를 위한 기도
이원상 목사가 섬겨온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는 지난 26년간 다툼도 분열도 없는 모범적인 이민 교회로 성장하여 왔고 거기에는 기도의 종 이원상 목사가 조용히 묵상하며 앉아 있다. 그는 어려운 일을 만나면 금식하였고 기도하였다. 가장 이른 새벽에 교회 앞자리에 무릎 꿇어 온 교회 온 교인들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였다. 쉴 새 없는 심방으로 저들의 형편을 살피고 위하여 또 기도하였다. 누구의 손도 차별 없이 잡아 주었으며 그 손은 언제나 따뜻하고 다정하여 한 가득 정을 느끼기에 충분하였다. 그도 그러나 세월 앞에서는 나약한 인간일 뿐이어서 원만하게 후임을 세워 흔들림 없는 교회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하여 물러날 준비를 하여야 했다. 그리고 그가 스스로 정한 네 가지의 후임 목회자 선임 기준을 가지고 기도하였다.
한 인 교회는 인종적으로 한인이요 문화적으로 미국에 가까우니 한국 문화와 미국 문화를 잘 이해하고 두 문화간의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 1세와 2세의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았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검증된 사람을 찾았다. 추상적이거나 혹은 전해들은 것에 의하지 아니하고 직접적인 목회와 사역을 통하여 그 열매가 검증된 사람을 찾았음이 두 번째이다. 교회의 시대적 사명과 비젼을 소유한 인격적으로 존경 받을 만한 겸손한 지도자를 찾는 것이 세 번째 조건이며 가장 중요한 네 번째 조건으로는 성경에 충실하고 복음적인 말씀의 능력을 갖춘 사람을 찾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한 사람의 젊은 목회자를 기쁨과 기대와 감사로 맞았다. 그는 늘 그랬던 것처럼 수줍은 모습으로 잔잔히 미소를 지으며 조용하게 오직 기도로써 수많은 양들과 후임 목회자를 바라보고 있다.
37. 센터빌 성전의 건축은 하나님의 명령이다
이원상 목사는 두번의 교회 건축을 경험하였다. 하나는 한국에서 임시 전도사로 사역 중에 지은 평산교회 이고, 현재의 버지니아 비엔나 성전이 두번째이다. 그리고 그는 세번째로 버지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센터빌 성전 건축을 구상하였다.
“교 회는 특별히 구별된 예배처소로 성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430년 동안 훈련하시며 가나안으로 나아가기 전에 가장 먼저 명령하신 일이 성막을 짓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신앙의 출발입니다.”
성 막은 하나님께 예배 드리는 가장 구체적인 성전이다. 그는 출애굽기 25장에서 40장에 이르는 성전에 관한 구절을 길고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성전 건축의 중요성을 설명하므로써 그가 얼마나 성전 건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를 느끼게 하였다.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의 역사를 살펴 보아도 성전 건축이 완성되었을때 그리고 교육관 건축이 완료된 후 크게 부흥하였음을 알수 있다.
본 래 현 비엔나 성전은 13에이커, 1000석, 6만 평방 피트의 새 본당 건축 허가를 받고 주민 공청회도 끝났으나 이웃 주민의 재심 청구로 이것이 부결된후 새로운 교회의 건축 계획은 급속히 진행되었고 당회와 공동의회는 74에이커(88,800평)의 센터빌 새 성전의 건축을 결의하였다.
“10만 수도권 교포들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을 구현하라시는 구체적인 명령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새 성전을 위한 그의 열정은 대단하다. 틈나는 대로 전 미국의 주요 교회와 한국의 여러 교회들을 직 간접 방문하며 장단점을 조사하였는가 하면 건축 계획 하나 하나에 온 정성을 기울이며 수 십년 앞을 바라보고 있다.
그 의 구상은 단순한 교회 건축에 머물러 있지 않다. 교회와 학교와 문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1단계로 프리스쿨(Pre-school)에서 2학년까지 수용하는 사립 학교를 겸하도록 하고 장차 12학년 까지 수용하는 시설로 확대 되는 꿈을 꾸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신앙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립 학교의 운영은 복음의 사역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더 불어서 한국어 예배는 물론 영어 예배를 성장 시켜 나갈수 있도록 구별된 성전의 필요성을 기대하고 있다. 10-20년 앞을 내다보면 20만 평방 피트 정도의 성전을 지어야 한다고 믿는다. 1단계로는 10만 평방 피트를, 2단계로 5만 평방 피트를 추가하고 3단계로 5만 평방 피트를 증축하는 방식에 대하여도 생각해 본다. 1200대를 수용하는 주차장과 2000석의 본당, 주일학교를 위하여 500석의 예배실, 풀 사이즈의 체육관, 축구, 배구, 농구, 테니스등 모든 스포츠 활동과 피크닉이 가능한 공원 조성까지 다양한 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설은 교회 가족들은 물론 교회 주변의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오픈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성 도와 가족들의 편안한 휴식처로 안식의 터로 이용 가능하도록 정원이 잘 갖추어진 공원 시설도 하기를 원한다. 이웃과 사회를 위하여 개방된 교회, 자녀들이 교회 중심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게스트(GUEST)하우스를 지어 교회 손님이나 선교사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학 중에도 주말에도 주중에도 언제든지 사용 가능한 대형 도서관 시설도 필요하고 컴퓨터 정보 시스템도 전문적으로 갖추어 시대에 맞는 복음 전파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를 원한다. 교회 홈페이지의 활성화에도 적극적이다.
“새로운 성전은 틀림없이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입니다. 온 성도가 합심하여 기도하면 틀림없이 하나님께서 아름다운 성전을 허락하실 것입니다.”
그 의 꿈은 한없이 이어진다. 젊은 어떤 사람 보다도 진취적이고 미래 지향적이다. 그러나 그는 지금 은퇴를 앞두고 있다. 2003년 9월 27일, 그는 원로 목사가 된다. 그날 그 순간까지 그는 최선을 다하여 새 성전 건축을 준비할 것이다. 그리고 그날 이후 그는 다만 기도하며 우리 후대들을 바라 보게 될 것이다.
38. 2003년 9월 27일 이후의 기도
그가 매일 새벽, 교인 한사람 한사람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여 온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 26년간 줄곧 그렇게 지켜왔다. 그러나 이제 그의 기도 제목과 대상에도 변화가 생길 것이다. 원로 목사가 되어 새 신자를 접할 기회도 상실하게 될 것이고 매 주일 한마디 한 구절 간곡함이 묻어 나던 설교의 말씀도 듣기 어려워 질것이다. 교인 한사람 한사람을 만나 꼬옥 손 잡아 주는 일도 그 만큼 줄어 들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기도는 교회와 교회 리더쉽과 선교사를 위한 기도로 변화 될 것이다. 시드(SEED) 선교회 가족들을 위한 기도와 에스라 연구원(Ezra study center)를 위하여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찌 그가 평생 먹이며 가꾸어 온 양 무리를 위한 기도를 내려 놓을 수 있으리오.
아 니다 어쩌면 이제는 우리가 그를 위해 기도하여할 시간일지도 모른다. 그가 우리 위하여 평생을 기도하였던 것처럼, 26년간 수요일 마다 금식하며 우리 모두를 위해 눈물로 기도하였던 것처럼, 새벽마다 교회 맨 앞자리에 앉아 한 사람 한 사람 양 무리의 이름을 부르며 기도하여 온 것처럼, 이제 우리가 새벽 무릎을 꿇어 금식하며 한 은퇴 목사의 건강하고 평안한 마감을 위해 기도하여야 하지 않을까? 이제 우리의 차례가 아닐까?
39. 그의 뒷 모습
미국 수도권 최대 교회로 성장한 와싱톤 중앙 장로 교회의 담임 사역자인 이원상 목사, 그의 한 걸음 한 걸음은 언제나 조심스럽고 진지하고 간절하였다.
“여 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었던 교회에 부임하시어 이 교회를 북미지역의 가장 헌신적인 선교 중심교회로 그리고 기도의 불이 활 활 타오르는 영성의 제단으로 바꾸어 놓으셨습니다.” 지구촌 교회 이동원 목사의 평가는 결코 수사가 아니다.
그 는 그에게 주어진 24시간을 철저히 관리하며 빈틈없는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그에게도 아쉬움이 있다. 교회가 성장하고 후반기에 접어들어 업무량이 많아지며 양과 목자의 관계성에서 작은 일보다 큰일에 열중하는 시간이 많아지다 보니 한 사람 한 영혼 개인 개인에게 골고루 마음을 주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 리더십에 대하여 제자 훈련, 지도자 훈련을 더 많이 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그는 참으로 맑은 영혼 따뜻한 심성을 가진 목회자이다.
“그 는 틀림없이 아씨시의 성자 프랜시스처럼 우리 주님의 사랑의 상흔 스티그마를 그리워하며 기도의 깊은 골짜기로 들어서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진심으로 사랑했던 중앙장로교회와 한국교회, 그리고 세계교회를 위해 중보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가끔은 선교지를 방문하시며 그의 기도를 나누어 주실 것입니다”(이동원 목사)
“제 일먼저 생각하는 것이 중앙 장로교회의 새벽 기도시간입니다. 양육한 성도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가면서 중보기도를 드리는 이 목사님의 경건한 모습은 우리 가족뿐만 아니라 중앙 교회에서 믿음생활을 한 모든 성도들이 잊지 못하고 고마워하는 『신뢰의 관계』이지요. 나는 25년간을 이 목사님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믿음의 관계를 맺어온 사연 인지라. 그 분의 기도 속에서 나 자신도 성령 충만의 기쁨을 누릴 수 있었다고 신앙 고백하는 것입니다.” (정근모 장로)
“외 유내강하여 겉으로는 온유한 모습 밖에 보이지 않지만 섬기는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교계와 특히 선교 사역 분야에서 탁월한 리더십을 보여 주셨습니다. 그는 교회나 자신을 위한 프로모션 한번 하시지 않았지만 늘 동역자들과 후배들에게 존경의 대상이 되었고 끊임없이 부흥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끊임없이 배우는 분이십니다” (김원기 목사)
“목사님은 정직하고 깨끗한 삶을 살아 오셨습니다. 그의 인상, 목소리, 언행은 언제나 깨끗함과 정직함입니다.”(최연홍 박사)
이원상 목사, 그러나 그는 이렇게 자신의 26년을 말한다.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고린도 전서 15:10) 오직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할 뿐입니다.
우 리는 종종 그의 따뜻한 미소, 가볍게 꼬옥 쥐어 주는 정겨운 악수, 간절한 기도가 그리워 질 것이다. 그의 설교와 그의 삶이 언제나 하나로 일치하는 고귀한 인격자였으며, 가장 이른 새벽마다 성전 맨 앞줄에 앉아 온 성도의 이름을 부르며 눈물로 간구하는 기도의 종이었으며, 깨끗한 꽃의 아름다움을 극명하게 보여 준 하나님의 참된 사도였음이 분명하므로…. (끝)
(표 1)
학계에서는 정근모 박사를 비롯하여, 정학성, 김승환, 황의각, 박을용, 모종린, 김숙현, 신은숙, 김판석, 노영무, 유진, 김명희, 모영기, 김정만, 김준형 등
언론계에서는 문명호, 이문희, 정일화, 류근찬, 나형수, 이청수, 이경형, 이인용, 백낙천, 이문노, 문창극, 양봉진, 강효상, 김재열씨 등.
정계에서는 신구범 제주지사, 임창열, 손학규 전 현직 경기 지사, 이명박 서울시장, 맹형규, 이경재의원, 신낙균, 송태호 장관 등.
군에서는 이갑진 해병대사령관, 박용옥 국방부 차관, 노정기, 신원배, 이종만, 김은기, 배상기, 이정수, 박세헌, 문영한, 윤삼성등.
외교관으로는 이한춘, 이재춘, 임성준, 노정기, 이병호, 문봉주 대사등 전 현직 대사가 있고,
그밖에도 위성용, 박상우, 유득환 정호영, 이영래, 김경용, 권오갑, 김병기, 남경우, 권성철, 강석인, 경종철, 송종환, 윤웅섭, 전광우, 최종화, 김성엽, 정동수, 노정기, 김준길등 그밖에도 수많은 분들이 있다.
(표2)
목사, 선교사
정강현, 김요한, 안성식, 장진명, 유익상, 권오봉, 김종홍, 장성균, 오지명,
이우진, 이은섭, 주영호, 진재혁, 김현일, 이해천, 주경로, 송재은, 조주은
전도사
김재선, 김종협, 이우대, 김재영(David Kim), 강명훈, 구본구, 김경훈,
김향숙, 임창수
평신도 선교사
고석문, 신영철, 이경은, 김혜련, 김선숙, 김충녕(Jonathan Kim)
미 전국 13개 모범교회의 하나로 선정, "참목회자상 보여준 '어른', 청렴한 물질관 화제 모아..."
미국 개신교 최대 교단인 남침례회(SBC) 소속 남침례신학원(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이 지난해 전국 5만 2,333개 교회 가운데 선정한 13개 모범교회(Good-to-Great Church)에 한인교회가 하나 포함되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미국의 유수한 신학교가 2세 교육, 선교사 지원, 지역사회 봉사 등 여러 항목에 걸친 심사 끝에 엄선한 13개 모범교회에 한인교회가 들어 있다는 사실 자체가 미주 한인교계는 물론 한인사회 전체로서도 상당한 자부심을 지닐 만한 일로 평가됐다.
한인교회 중 유일하게 남침례신학원으로부터 모범교회로 뽑힌 교회는 바로 버지니아주 비엔나에 위치한 '와싱톤중앙장로교회'. 지금은 40대 중반의 노창수 목사가 담임을 맡고 있지만 남침례신학원의 평가작업이 진행될 당시의 담임목회자는 이원상 목사(67)였다.
이 교회 담임교역자로 26년간 봉직하다 2003년 9월 은퇴한 이원상 목사의 지도 아래 와싱톤중앙장로교회가 미국을 대표하는 교회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았다는 사실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그다지 많지 않다.
한국 및 미국 내 다른 지역 한인교계에 와싱톤중앙장로교회 원로목사보다 SEED선교회 대표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이원상 목사는 워싱턴 한인사회에서는 누가 뭐래도 첫 손가락에 꼽히는 원로로 대접받고 있다. 올해 67세라는 나이로만 따지자면 아직 원로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한인사회에 대한 이 목사의 영향력과 이 목사에 대한 한인들의 긍정적 평가를 감안하면 원로라는 말이 결코 어색하지 않게 느껴지는 것이 워싱턴 지역의 분위기다.
이 목사가 자신이 담임했던 중앙장로교회와 교계의 울타리를 벗어나 이처럼 워싱턴 한인사회 전반을 대표하는 지도적 인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한마디로 이민교회 목회자로서의 본분과 사명에 한평생 충실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지역민들의 의견이다. 즉 "교회는 이민사회의 구심체여야 하며 이민교회 목회자는 이민자들의 아픔과 어려움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이민사회의 논리를 몸으로 실천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이 목사의 목회여정을 돌아볼 때 그의 목회는 교회뿐 아니라 항상 한인사회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체적 예로 중앙시니어센터와 중앙복지상조회의 설립을 꼽을 수 있다.
연장자 교육기관 시니어센터와 장례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복지상조회는 교회가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지만 혜택은 한인사회 전체에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교회 출석 여부에 관계 없이 일정 연령에 달한 한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특히 회원들이 자신들의 사후를 대비해 생전에 기금을 적립하는 복지상조회의 경우 이원상 목사와 중앙장로교회라는 신뢰할 수 있는 후원처가 없었다면 한인사회에 뿌리내리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목회자로서 이원상 목사 개인에 대한 평가 역시 무척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그에게서 대형교회 담임목사들이 흔히 지니기 쉬운 권위주의적 요소를 발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특징이다. 교인수 4,000-5,000명에 달하는 대형교회 담임목사면서 은퇴하기 전날까지 교인들을 직접 심방다녔으며, 교인들과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음은 한인사회에 잘 알려진 사실이다. 교회 강단에서의 설교와 기도만으로 이민자들의 아픔과 외로움을 함께 나눌 수는 없다는 것이 이 목사의 신념이다.
이 목사는 또 워싱턴 지역에서 가장 큰 한인교회 담임목사로서 분주한 일정에도 불구 중소형 교회 목회자들과 친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해 왔다. 동시에 교계 연합사업이나 각종 한인사회단체들이 벌이는 사업도 적극 후원해왔다. 중소형 교회들을 배려해 지역 언론에 중앙장로교회를 광고하는 것도 자제했다.
비기독교 신자뿐 아니라 많은 교인들로 하여금 목회자에 대해 회의를 품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인 금전문제에 있어서도 이원상 목사는 한평생 정도를 걸어왔다는 말을 듣고 있다. 출장비로 사용하고 남은 페니 하나까지도 교회에 반납했으며, 교회 외부에서 받은 사례금은 교회에 헌금하거나 SEED선교회에 선교비로 보냈다고 한다.
중앙장로교회 교육관 신축 공사를 할 때 성도들의 건축 헌금이 부진하자 자신의 은퇴연금구좌(IRA)를 해약해 전액 헌금했으며, 개인 용도로는 종이 한 장 교회 것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교인들은 말한다.
간혹 부부가 함께 출장을 떠나는 경우 이 목사와 사모의 경비를 엄격히 구분해 부인몫은 별도로 부담했다고 한다. 지난해 이 목사가 중앙장로교회 담임목사직을 물러날 때 교회에서 받은 은퇴사례비 10만 달러도 자신을 위해서는 단 한푼도 사용하지 않았다. 1만 달러는 십일조로, 5만 달러는 건축헌금으로 다시 교회에 헌금했고, 나머지는 두 자녀의 목회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나누어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목사는 최근 한국과 미주 한인교계에서 가장 큰 이슈의 하나로 등장한 북한인권문제에도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다. 북한인권법안의 미의회 통과와 북한선교는 이 목사의 중요한 기도제목이다. 동족의 아픔을 외면할 수는 없으며 외면해서도 안 된다는 생각이다. 지난 4월 워싱턴DC에서 거행된 북한자유의 날 행사에서는 북한인권 회복을 위해 전세계인의 양심에 호소하기도 했다.
목회자로서 "받는 것 보다 주는 것이 행복하다"는 성경의 가르침을 앞장서 실천하고 있는 이원상 목사는 본인의 3대 목회 철학을 기도, 겸손, 충성으로 정리한다. "은혜를 구하는 것은 기도며 은혜 받은 자는 겸손과 충성으로 살아야 합니다. 즉 자기 능력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로 받은 것이니 겸손해야 하고, 그 은혜를 구하기 위해 기도해야 하며, 기도하여 은혜를 받은 자는 당연히 최선을 다해 충성해야 합니다."
어린 아들을 산기도에 동행하고 다닐 정도로 신앙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고 이성봉 장로의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난 이원상 목사의 고교시절 꿈은 의사였다. 적도의 성자 슈바이처 박사를 존경했던 그는 의사면서 목사로 활동했던 이일선 목사처럼 신학과 의학을 병행하려 했지만 "오직 하나님만을 선택하라"는 선친의 가르침을 따라 목회자의 길을 걸었다. 후회는 없고 오직 감사함뿐이라고 한다. 한인목회자로는 유일하게 2002년 미연방하원 개원기도를 맡는 명예를 누리기도 했다.
이원상 목사의 앞으로 남은 꿈은 선교에의 헌신이다. 자신이 대표로 있는 SEED선교회를 더욱 확대 활성화시키고 선교사들을 훈련시키는 데 주력할 생각이다. 특히 의료선교에 대한 꿈은 강렬하다. 고교시절 제2의 슈바이처를 꿈꾸었던 이 목사로서 너무나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이민교회와 이민사회를 위한 목회자로서 이원상 목사의 진짜 사역은 어쩌면 이제부터인 셈이다.
이원상 목사 인터뷰
-평생 중요하게 지켜온 목회원칙이 있다면?
"다른 목회자들처럼 훌륭한 담임목사님 밑에서 목회훈련을 받지 못하고 곧바로 담임목사로 목회를 시작했다. 나 자신에 대한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 어려운 문제에 부닥칠 때마다 인간 스스로 해결할 수 없으며 하나님의 은혜를 구해야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하나님의 은혜를 갈구하는 기도생활을 가장 중요한 목회원칙으로 삼았다."
-흔히 교회를 이민사회의 중심이라고 말한다. 워싱턴에서 가장 큰 교회를 담임하면서 이민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우선 교회로서 지역사회와 동포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복음을 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시에 시민권 신청 및 시민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지역사회 봉사활동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지금 한국교회는 위기상황이라고 말한다.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무엇이라고 보는가?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국교회는 과거 일제 36년과 6·25 동란 등 위기를 겪으며 성장해왔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물질적, 정치적 고난에서 해방되면서 교계에도 안일한 신앙의 자세가 자리잡게 됐다. 교회가 너무 권위주의적인 현상도 문제라고 생각된다. 특히 담임목사들의 권위가 지나치게 큰 모습이다. 목회자들이 예수님이 보여준 섬기는 삶의 의미를 생각해야 된다."
-목회자로서 한인사회에 바라는 것이 있다면?
"해외선교의 가장 효율적인 수단 중 하나는 의료선교다. 한국의 세브란스병원이나 동산병원 등 기독교 계통 병원들은 소속 의사들이 해외 의료선교를 나가도록 여건을 마련해주고 있지만 미주 한인사회에는 그같은 기독교계통의 병원이 없는 게 현실이다. 미주한인교회나 크리스찬들이 중심이 되어 세브란스 병원 같은 기독교 계통 병원을 설립했으면 한다."
고 이원상 목사님의 장례 일정
고별예배 12월 9일(금) 오후 7:00, 와싱톤중앙장로교회(KCPC) 제 1 예배실
발인예배 12월 10일(토) 오전 10:00, 와싱톤중앙장로교회 제 1 예배실
하관예배 12월 10일(토) 정오 12:00, Fairfax Memorial Park 중앙동산
* 설교 : 류응렬 목사, 노창수 목사, Joseph Lee 목사
* 금요일 예배 후에 viewing이 있고, 토요일은 예배 전 오전 9시부터 viewing이 가능합니다.
* 연락: 조상우 목사 703-939-7898 / 교회 사무실703-815-1200
SEED International 연락처: 703-586-8925
* 조화와 조의금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 핸드폰 App으로 통역이 제공되기에 필요하신 분은 개인 이어폰을 가져오시면 됩니다.
와싱톤중앙장로교회
The Korean Central Presbyterian Church
15451 Lee Hwy
Centreville, VA 20121 USA.
703-815-1200 (교회)
이원상 목사는 1968년에 신학공부를 위해 미국에 왔다고 한다. 지난 45년간의 미국생활을 회고해 달라고 했다.
이원상 목사:
제가 물론 1968년도에 미국에 올 때는 다른 목적이 아니고 김포공항을 떠날 때 한국에서 바꿔주는 돈이 200불 바꿔서 신학을
공부하기 위해서 댈러스 텍사스에 있는 댈러스 신학교에 4년간 공부하기 위해서 장학금을 받아서 왔지요. 그때는 전혀 미국에 오래
영주하리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고 그 당시 댈러스 신학교에 재학할 때 댈러스에 한인들이 (지금은 한 5만 명 가까이 된다는데) 그
당시에는 300명 정도가 있었고 그나마도 파크랜드 병원에 간호사들 가족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민자들이 많이 오심으로 참 미국에도
목회자가 필요하다는 것, 교회가 필요하다는 걸 깨닫고 정착한 게 여기까지 왔네요.
이원상 목사가 와싱톤중앙장로교회로 오게 된 동기도 들어보자!
이원상 목사: 와싱톤중앙장로교회는 원래 1973년도에 윤명호 목사님이 설립하셨는데 4년 지나시고 난 다음 교회를
떠나시게 됐습니다. 제가 왔을 때는 1977년에 처음 왔고 그때 교회 어려운 일로 인해서 교인들이 많이 흩어지고 소수 사람들이
남아서 그때부터 2003년까지 26년 동안 워싱톤중앙장로교회를 담임하게 됐습니다.
당시 한인 이민자들의 수가 적었던 시절 한인과는 떨어질 수 없는 음식 김치, 이원상 목사에게 이민 초창기 김치와 관련해 회고해 달라고 했다.
이원상 목사:
물론 댈러스에 있을 때는 전혀 한인들과 접촉이 불가능했고 신학교에도 단지 김호식 박사 가정과 저희 두 가정이 있었으니까? 그런
애로가 많았지요. 그런데 워싱턴에 77년도에 와서 부터는 이곳에 김치 집이라고 한인 가게가 있어서 불편은 느끼지 않았네요. 댈러스
있을 때는 한국 음식을 잘 먹지 못해서 캐비지(CABBAGE)로 김치를 만들어 먹던 그런 생각이 납니다.
이원상 목사는 일흔이 넘은 나이에 철학 박사 학위를 따냈다. 철학박사 학위를 따기까지 과정도 들어본다.
이원상 목사:
제가 원래는 한국에서 올 때 미국서 공부해서 한국으로 돌아가서 대학이나 신학교에서 가르칠 마음이 있었고 그렇게 공부를 해 왔는데
워싱톤 중앙장로교회에 부름 받은 것은 1977년도인데 제가 그때 필라델피아에 있었습니다. 댈러스 신학교를 졸업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유니버시티 펜실바니아에서 구약 신약 공부로 박사 학위를 공부하고 있었을 때였는데 이 교회 부름을 받아 하나님의 특별한
당권적인 역사로 제가 공부를 중단하고 워싱톤 중앙장로교회에 와서 목회하는 동안에는 공부할 수가 없었지요. 그래서 일단
2003년도에 은퇴한 후에 제가 한 5-6년 동안 본격적으로 공부했는데 영국 웨일스 있는 유니버시티 웨일스에서 철학박사 공부를
했는데 그 공부한 내용이 기독교 초대 교회의 교부 가운데 한 명인 존 크리소스 톰이라고 407년에 돌아가신 분인데 우리 성경에서
말하는 안디옥 교회를 담임으로 목회를 했고, 그 후에는 지금 이스탄불인 콘스탄티노플에 와서 교부가 됐던 유명한 , 바로 그분에
대한 연구와 제가 26년동안의 목회를 비교연구해서, 목회 원리는 1600년이라는 간격이 있지만 동일하다는 것을 연구를 해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게 2010년도에 받았으니까? 제가 72살 때 받았습니다.
이원상 목사가 박사 학위를 받으러 영국에 갔을 때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다.
이원상 목사:
글쎄 대부분 우리 교회는 65세에 은퇴를 하는데, 은퇴하고 난 다음에 제가 이 연구에 몰두했기 때문에 그나마 26년 동안
목회하던 그 목회의 정신이 이어져 갔다고 생각이 되고 2010년 7월에 박사학위 졸업식에 참석하기 위해서 런던 히드로 공항에
도착했는데 그 이민국에서 저보고 영국에 왜 오느냐! 그래서 졸업식에 참석을 위해 온다고하니까? 너의 아들이나 손자 졸업식에
오느냐! 그래서 그게 아니고 제가 늙어서도 공부 해서 제가 졸업을 한다고하니까? 그분들도 놀라면서 웃더라고요.
이원상 목사가 한인 젊은이들에게 주는 충언이다.
이원상 목사:
나이들어도 뭐든지 하고자 하면 할 수 있다. 시작이 반 이라고 하는 것처럼 벌써 학위를 받고도 수년이 지났는데요. 이제는
공부하는 연령이 높아지니까? 젊은이들도 낙심하지말고 포기하지 말고 무엇이든 목적을 가지면 할 수있다는 것이 새롭게 느껴졌습니다.
이원상 목사는 수년 전부터 워싱톤 한인 라디오 방송(AM 1310)에서 이른 아침 설교를 하고 있다. 이 목사는 특히 북한동포, 탈북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원상 목사:
물론 제가 아침 방송 하는 게 10년은 넘었는데요. 처음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탈북자들에 대한 고충 또 북한의
사정들을 들으면서 정말 우리가 남다르게 한 민족이라고 그러는데 우리가 언젠가 때가 되어 하나님의 은혜로 통일되고 마음놓고 살 수
있는 날이 왔으면 하는 것은 누구나 다 생각하는 건데 특별히 탈북자들의 고충을 생각하고 북한의 사정을 와서 말씀하는 것들을
들으면서 그래도 한마디의 기도를 통해서 방송을 듣는 사람들의 뜻을 모으고 그런 날이 오기를 하나님 앞에 기도하면 역사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이 이루실 것을 믿기 때문에 그렇게 시작하게 됐는데 얼마나 오래됐는지 저도 기억이 안 나지만 수년이 지난 것
같습니다.
이원상 목사는 7 순이 넘은 지금도 시드 선교회를 이끌고 있다. 시드 선교회에 대한 설명이다.
이원상 목사:
원래 제가 목회하면서 우리 교회 청년들 중에 선교에 뜻을 두고 나가겠다 하는 사람들이 일어날 때 이 청년들을 선교 단체로 보내야
하는데 우리가 미국땅에 와서 교회가 왕성한 것은 하나님의 뜻이 계시다 생각해서 우리 한국 선교단체가 있어야겠다 그렇게 생각해서
우리가 1989년도에 중앙장로교회 자체에서 만든 기관이 CMF(CENTRAL MISSIONARY FOLLOWSHIP)이라는 단체로
버지니아에 등록을 했습니다. 그런데 한 10여년 지나면서 너무 자기교회 중심적이다고해서 뉴욕에 있는 뉴욕 장로교회에서 세운
ROW(RICH OUT TO THE WORLD)라는 단체와 같은 이념이기 때문에 둘이 병합을 해서 2000년부터
시드(SEED)라고 하는 이름으로 선교사를 모집해서 훈련시키고 파송하는 기관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2000년도부터
지금까지 은퇴한 후에도 이 기관을 섬기고 있는데 지금은 시드 USA, 시드 KOREA, 시드 브라질, 시드 캐나다 이렇게해서
나가있는 선교사 수가 한 130가정 한 36개국에 나가서 섬기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 한인 선교기관으로서 미국내에서 유일하게
선교사 연합회인 MISSIO NEXUS기관에 속해 있습니다.
시드 선교회가 북한에 선교사를 파견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물었다.
이원상 목사:
그렇지요. 평양은 한국의 예루살렘이라고 불렀고 1907년에 평양 대 부흥운동으로 인해서 전 한국이 영적으로 깨어나던 때라고
생각이 되는데 지금은 문이 닫혀 있기 때문에 선교사 파송은 못하지만, 물론 북한에 지하교회도 있고 선교활동도 비밀리에 하고 있다고
믿는데 그분들은 생명을 걸고 하는 선교하는 거지요. 우리 시드 선교회에서도 북한선교에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북한에
직접 들어가서 하는 선교사들은 없고 다만----
전 세계 한인들 많이 퍼져 나가 살고 있다. 혹 기독교적 영향 때문이냐고 물었다.
이원상 목사:
한인 디아스포라가 700만명 된다고 하는데 이것은 전혀 우연은 아니라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사회학자들의 설명도 있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건 하나님이 우리 백성을 세계에 보내는거다 그리고 한인들이 가 있는 곳에는 교회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그리고 한인
선교사들도 지금 2만 3천 3백명 정도가 되어서 미국 다음으로 혹은 브라질 다음으로 한국이 선교사 파송 국가로서 전 세계
2위내지는 3위라고 하는데 하나님의 뜻이라고 봅니다.
자유아시아방송 지구촌의 한인들 오늘은 72살에 철학박사 된 이원상 목사의 이야기로 함께했다. 지금까지 기획과 진행에 RFA 이현기입니다.
죠지 뮬러(George Muller, 1805-1898)
프러시아 크로펜스타트(Kroppenstaedt)에서 출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도의 동기 다섯 가지
- 기도는 순수한 동기에서 시작해야 한다.
1. 순수한 마음
- 고아들을 사랑하는 마음
2.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려는 마음
- 주님 생각에 가장 좋은 것으로 하여 주옵소서!
(나의 생각이 아니다)
3. 정직한 마음
-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정직
(죄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허물이 있어도 정직한 삶의 바탕 즉 잘못을 변명하거나 합리롸 하지 않는 것)
4. 말씀의 묵상
- 네 입을 넓게 열라 내가 채우리라(시편 81:10)
- 하나님은 고아의 아버지시며....(시편 68:5)
5. 살아계신 하나님의 증거
- 나의 기도와 삶을 통하여 얼마나 하나님을 잘 나타낼 수 있는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도는 우리가 하나님과 연결될 수 있는 가장 친밀한 방법 중 하나이다.
기도할 때 우리의 감정, 생각, 깊은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감사한 것을 하나님께 공유하게 된다.
또한 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하시는 바를 듣고 성령께서 우리의 걸음을
인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도의 한 가지 매력적인 특징은 세상의 아무도 똑같이 기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 기독교 사이트
바이블스터디툴즈( Biblestudytools)는 성경에 나오는 기도의 10가지 종류를 소개했다.
1. 경배의 기도(시편 148:13)
"다 여호와의 이름을 찬양할찌어다 그 이름이 홀로 높으시며 그 영광이 천지에 뛰어나심이로다"
이런 종류의 기도는 깊은 사랑, 존경, 그리고 감사함으로 주님께 경배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주님이 누구시고 하시는 모든 것에 대한 경외의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
2. 감사의 기도(역대상 16:33-34)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너희는 이르기를 우리의 구원의 하나님이여 우리를 구원하여 만국 가운데서 건져 내시고 모으시사 우리로 주의 성호를 감사하며 주의 영예를 찬양하게 하소서 할찌어다"
어떤 이들에게는 매일 감사 기도로 시작하는 것이 그들이 생활 습관이다.
감사의 기도는 하나님께서 얼마나 선하시고 자비로운 분인지에 대한 인식이자 우리에게 주신 새 생명에 대한 감격에 의해 시작되는 것이다.
3. 고백의 기도(시편 32:5)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고 주께 내 죄를 아뢰고 내 죄악을 숨기지 아니하였더니 곧 주께서 내 죄의 악을 사하셨나이다"
우리 죄를 고백하는 것은 예수님 따르는 크리스천으로 기도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성경에서 우리는 죄에 대한 고백 기도와 하나님께서 이렇게 죄를 고백하는 사람들을 용서하신다는 점을 많이 확인할 수 있다.
4. 서약의 기도(사무엘상 1:10-11)
"한나가
마음이 괴로와서 여호와께 기도하고 통곡하며 서원하여 가로되 만군의 여호와여 만일 주의 여종의 고통을 돌아보시고 나를 생각하시고
주의 여종을 잊지 아니하사 아들을 주시면 내가 그의 평생에 그를 여호와께 드리고 삭도를 그 머리에 대지 아니하겠나이다"
우리가 주님께 드리는 약속은 하나님의 힘과 인도, 그리고 도움이 필요하다고
기도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만한 불경건한 생활을 하지 말 것을 맹세할 것이다.
여기 한나의 서원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하나님께 맹세하는 것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그것은 큰 사려와 확신을 가지고 해야 한다.
5. 조용한 성찰의 기도(시편 63:6)
"내가 나의 침상에서 주를 기억하며 밤중에 주를 묵상할 때에 하오리니"
침묵의
기도는 우리를 말로 가득 찬 기도에서 벗어나 조용히 성찰하고 반성할 수 있는 곳으로 인도한다.
이러한 기도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선하심을 묵상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것을 배우고 그 분이 우리의 걸음을 인도하게
하는 것이다.
6. 치유를 위한 기도(시편 119:25)
"내 영혼이 진토에 붙었사오니 주의 말씀대로 나를 소성케 하소서"
I am laid low in the dust; preserve my life according to your word.
이 기도는 보통 우리가 육체적,
정신적, 또는 감정적 상처를 회복하려고 할 때 나온다.
예수님의 지상 사역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육체적으로 변등이들을
치료하시는 것이었다.
성경은 우리가 모든 종류의 병들로부터 치유될 것을 구하며 하나님께 기도할 수 있다고 단언한다.
7. 구원과 도움을 위한 기도(시편 107:6)
"이에 저희가 그 근심 중에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그 고통에서 건지시고"
Then they cried out to the LORD in their trouble, and he delivered them from their distress.
우리가 도전, 고난 또는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이를 위한 돌파구를 위해 기도하는 우리 자신을 발견한다.
우리가 이런 기도를 하는 이유는 하나님은 다른 누구도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우리를 도우실 수 있는 분이기 때문이다.
8. 중보의 기도(골로새서 1:9-12)
"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주께 합당히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
하시고 그 영광의 힘을 좇아 모든 능력으로 능하게 하시며 기쁨으로 모든 견딤과 오래 참음에 이르게 하시고 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For this reason, since the day we heard about
you, we have not stopped praying for you and asking God to fill you with
the knowledge of his will through all spiritual wisdom and understanding.
And we pray this in order that you may live a life worthy of the Lord and may please him in every way: bearing fruit in every good work, growing in the knowledge of God,
being strengthened with all power according to his glorious might so that you may have great endurance and patience, and joyfully
giving thanks to the Father, who has qualified you to share in the inheritance of the saints in the kingdom of light.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가 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성경은 우리에게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중재할 것을 말한다.
예로 복음서에서 우리는 예수님께서 체포되시기 전 마지막 시간 동안 다른 이들을 위해 기도하셨음을 알고
있다.
9. 변화를 위한 기도(시편 139:23-24)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
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
Search me, O God, and know my heart; test me and know my anxious thoughts.
See if there is any offensive way in me, and lead me in the way everlasting.
이러한 삶의 종류의 변화를 위해 기도하는 것은 분명한 목적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으로서 예수님처럼 살고, 그 길을 따라 행하고, 거룩해지는 과정에 들어가고자 하기 때문이다.
10. 축복의 기도(빌립보서 1:9-11)
"내가 기도하노라 너희 사랑을 지식과 모든 총명으로 점점 더 풍성하게 하사 너희로 지극히 선한 것을 분별하며 또 진실하여 허물 없이 그리스도의 날까지 이르고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의의 열매가 가득하여 하나님의 영광과 찬송이 되게 하시기를 구하노라"
And this is my prayer: that your love may abound more and more in knowledge and depth of insight,
so that you may be able to discern what is best and may be pure and blameless until the day of Christ.
filled with the fruit of righteousness that comes through Jesus Christ--to the glory and praise of God.
축복의 기도는 종종 선교사들, 다른 곳으로 떠나는 교인들,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 등을 위해 행해진다.
이러한 축복의 기도는 성경 곳곳에 나타나 있으며, 하나님의 축복을 간구하는 강력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찌니라”(요 4:24)
기도는 어떤 형식적인 절차를 거치거나 하나님의 말씀을 조금 외우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기도는 말을 따라 하거나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마음을 하나님께 드려야 하고, 하나님과 마음을 나눔으로써 감동받아야 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의 겉치레 행위를 기뻐하시지 않고 입으로만 가까이하는 것을 열납하지 않으시며 신령과 진정으로 기도하고
경배하기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 진실한 기도를 해 봤던 사람이라면 경험했을 것입니다.
예배할 때 혹은
큐티할 때 혹은 어떤 일이 생길 때 마음을 평온히 하고 전념해서 성실하게 하나님께 기도드리면 감동받고 평안과 기쁨을 느낍니다.
기도가 하나님께 상달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많은 경우에 신령으로 기도해 하나님과 가까이하기는커녕 규례를 지키고 형식적으로 몇 마디 하는 등 진심 어린
기도를 드리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무심한 기도가 어찌 하나님의 칭찬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예컨대, 새벽(밤) 기도, 식전(식후)
기도 등은 오랫동안 규례적인 행위가 되어 형식적으로 하지 진심으로 하나님께 기도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가끔은 하나님께
기도할 내용이 없으면서도 신앙인으로서 의식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에 아무 말이나 중얼거립니다.
이러한 기도는 형식적인 것인데
하나님이 들어주실까요?
결코 들어주지 않으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이 규례를 지키는 무심한 기도는 듣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
진심으로 드리는 기도만이 하나님께 상달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께 마음을 평온히 하기를 중요시해 진정으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비유를 하셨습니다. “두 사람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니 하나는 바리새인이요 하나는 세리라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하여 가로되 하나님이여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나는 이레에 두번씩 금식하고 또 소득의 십일조를 드리나이다 하고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 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가로되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옵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였느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사람이 저보다 의롭다 하심을 받고 집에 내려 갔느니라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시니라”(눅 18:10~14)
예수님의 비유를 통해 주님은 세리의 기도를 칭찬하고 바리새인의 기도에는 염증을 내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리새인의 기도는 입에 발린 말이고 자신의 공로와 좋은 행위를 자랑하는 것인데, 하나님의 상을 받으려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기도는 하나님께 상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리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세리는 자신이 죄인이므로 하나님 앞에 천한 존재임을 알았습니다. 그리하여 세리는 기도할 때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마음을 터놓고 자신의 패괴를 인정하며 하나님께 진심으로 용서를 구해서 하나님의 긍휼과 용서를 받았습니다.
우리는 기도할 때 세리와 같은 겸허한 마음을 갖췄나요? 사실, 우리도 마찬가지로 늘 외식하며 자기 자랑을 합니다. 예컨대, 다른 사람이 기도를 길게 했을 때, 나는 하고 싶은 말이 적지만 우습게 보일까 봐 반복적으로 말을 해서 기도 시간을 늘립니다. 일부러 많은 성경 구절을 외운다거나 듣기 좋은 말을 해서 돋보이려고 합니다. 열심히 사역해서 성과를 거두면 스스로를 주님을 사랑하고 충성하는 자로 여기며 기도로 축복과 면류관을 요구하고 천국에 들어가 상을 받으려 합니다. 이렇듯 이러한 기도를 하나님이 들어주실까요?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께 상달되는 기도를 하려면 세리를 본받아 어떤 일이 임하든 겸허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기도하며 하나님 앞에 자신의 실제 정형을 털어놓아야 합니다. 거짓과 꾸밈이 없고 외식하지 않으며, 어떤 패괴를 유로했든지 하나님께 고하며 구원해 달라고 빌어야 합니다. 이것이 정확한 기도법이고 이렇게 기도해야 하나님께 상달됩니다.
성경의 기록을 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 겟세마네라는 곳에서 세 번 기도했습니다. “조금 나아가사 얼굴을 땅에 대시고 엎드려 기도하여 가라사대 내 아버지여 만일 할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 다시 두번째 나아가 기도하여 가라사대 내 아버지여 만일 내가 마시지 않고는 이 잔이 내게서 지나갈 수 없거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고 … 나아가 세번째 동일한 말씀으로 기도하신 후 …”(마 26:39~44)
예수님은 구하는 마음, 순종의 자세로 기도하였습니다. 아버지의 뜻을 구하였지 하늘 아버지께 십자가에 못 박히는 고통을 피하게 해 달라고 간구하거나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세 번의 기도를 마친 후 예수님은 천부의 뜻을 깨달았습니다. 그가 성육신하게 된 이유는 인류를 십자가에서 구원하는 사역을 하기 위함이었기에 예수님은 완전히 순종하였습니다.
예수님은 그리스도이자 하나님 자신입니다. 그러나 피조물의 위치에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기도드리며 그의 뜻을 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예수님은 이성적으로 기도하고, 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기도해 하나님의 뜻을 알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낮추시어 피조물의 각도에서 기도함으로 우리의 모델이 되셨습니다. 이는 우리가 본받아야 할 부분입니다.
반성해 보면 우리는 이성적인 기도를 했을까요? 피조물의 위치에서 하나님께 구하고 순종하는 기도를 한 것이었을까요? 우리는 비이성적인 기도를 드릴 때가 많습니다. 우리의 뜻대로 이렇게 저렇게 해 주세요 하고 심지어는 하나님께 강요합니다. 예컨대, 몸이 아플 때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보다 우리의 병을 고쳐 달라는 기도를 하기에 바쁩니다. 병에 호전이 없으면 하나님을 오해하고 불평하지요. 하나님을 위해 포기하는 것이 좀 있고 헌신하거나 본분을 조금 하게 되면 우리가 평안하고 모든 것이 순조롭도록 지켜 달라고 하나님께 요구하고, 심지어는 가족들의 복까지 구합니다. 또 핍박과 환난이 임했을 때 하나님의 보호를 구하며 그 환경에서 벗어나게 해 달라고 구하는 등 이러한 기도는 다 비이성적인 것입니다. 구하는 자세와 하나님께 순종하는 마음으로 기도드린 것이 아니라 그저 우리의 욕망을 채워 달라고 하나님께 요구하고 우리의 뜻대로 해 주십사 강요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이성적인 기도는 하나님께 상달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에게는 진실한 기도가 아주 적다. 어떤 사람들은 아직도 기도할 줄 모른다. 사실 기도는 주로 마음속의 말을 하는 것인데, 평소에 말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기도하기만 하면 위치를 잘못 선다. 하나님의 뜻에 맞든 맞지 않든, 하나님께 베풀어 달라고 억지로 구하는데, 그 결과 기도하면 할수록 무미건조해진다. 기도할 때 네가 마음속으로 어떤 것을 구하든, 어떤 것을 사모하든, 어떤 것을 얻으려고 요구하든, 혹은 어떤 일을 처리하려고 할 때 꿰뚫어 볼 수 없어 하나님께 지혜를 달라고 하든, 힘을 더해 달라고 하든, 혹은 하나님께 깨우쳐 달라고 하든, 이런 말하는 방식에도 *이지가 있어야 한다. 만약 네가 이지 없이 무릎 꿇자마자 “하나님, 저에게 힘을 더해 주십시오. 제 본성을 보게 해 주십시오. 당신께서 해 주십시오. 혹은 저에게 무엇 무엇을 주십시오. 제가 어떻게 어떻게 되게 해 주십시오…”라고 말한다면, 이 ‘주십시오’ 안에 강박적인 것이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께 반드시 그렇게 해 주어야 한다고 압력을 가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네가 스스로 사전에 다 정해 놓은 것이다. 네가 비록 그렇게 기도할지라도 성령은 그런 기도에 대해 ‘네가 이미 스스로 정해 놓고 그렇게 하려고 한 이상, 그런 기도가 무슨 효과가 있겠느냐?’라고 여긴다. 기도할 때에는 마땅히 찾고 구하고 순복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너에게 일이 임할 때 그 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면 너는 이렇게 말하여라. “하나님, 저에게 이런 일이 임했는데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이 일에서 당신을 만족게 하기를 원하고, 당신의 뜻을 찾고 구하기를 원하며,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원합니다. 저의 뜻대로 하지 않고 당신의 뜻대로 하기를 원합니다. 사람의 뜻은 다 당신의 뜻을 어기는 것이고, 당신을 대적하는 것이고, 진리에 부합되지 않는 것임을 당신께서 아십니다. 저를 깨우쳐 주시고, 이 일에서 인도해 주셔서 당신을 거스르지 않게 해 주십시오…” 이런 어조의 기도는 적합하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상달되는 기도를 하려면 이성을 갖춰 기도해야 합니다. 피조물의 위치에서 기도하며 자신의 선택과 요구와 계획이 없이 하나님께 구하고 순종하는 마음으로 기도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런 기도를 들어 주십니다. 가령 천재지변이나 인재로 인한 사고 등의 예상치 못한 일들이 일어났을 때, 우리의 기도는 하나님께 자기가 원하는 것이나 하나님의 보호를 강요하며, 그런 고난을 옮겨 달라고 요구할 것이 아니라, 피조물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마음을 알려고 간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그런 상황을 마련해 주신 뜻이 우리의 믿음을 단련시키고 온전케 하시기 위함이거나 우리의 증언을 보기 위한 것이라면, 우리는 순종하는 자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러한 자세로 기도해야 하나님께 열납될 수 있고, 우리가 기도하는 문제를 알 수 있도록 깨우쳐 주시고, 나아갈 방향을 가리켜 주실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천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을 아시느니라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 6:31~33),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마 6:9~13)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바람은 하나님 당신의 뜻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이 사탄에 의해 패괴된 후로, 하나님은 계속 구원 사역을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진정 하나님께 순종하고, 하나님께 예배하며 하나님과 마음이 합한 자를 얻기 바라시며, 그리스도의 나라가 땅에 펼쳐지기를 바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기도 또한 자기 소원을 비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알고자 하는 취지가 담긴 기도, 하나님께 순종하는 사람,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사람이 되고자 하는 취지가 담긴 기도, 하나님께서 더 많은 사람을 얻을 수 있도록 힘쓰는 기도, 그리스도의 나라가 땅에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기도를 해야 합니다. 그러한 기도가 하나님 뜻에 합당한 기도입니다.
성경에서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윗 왕의 소원은 모든 백성이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도록 여호와의 성전을 짓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위해 다윗은 항상 그 소원을 가지고 간구하며 기도했고, 하나님은 그 기도를 기뻐해 다윗을 하나님과 마음이 합한 자라 하셨습니다. 솔로몬은 자신의 부귀영화를 위해 제사를 드린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을 잘 다스리고, 그들이 하나님을 잘 예배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지혜를 달라고 간구했습니다. 하나님은 솔로몬의 제사와 기도를 기뻐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지혜만 주신 것이 아니라 솔로몬이 구하지 않은 장수와 부귀영화까지 더해 주셨습니다. 욥은 언제나 악에서 떠나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기도했습니다. 그래서 큰 시련 속에서도 ‘주신 자도 여호와시요 취하신 자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찌니이다”(욥 1:21), “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재앙도 받지 아니하겠느뇨”(욥 2:10)라는 고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고백으로 사탄을 부끄럽게 하고, 하나님 편에 서서 울림 있는 증거를 보이며 후세들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기 위해, 하나님을 흡족게 하고 진리를 실천하기 위해 드리는 기도가 가장 하나님 뜻에 합당한 기도이며, 반드시 하나님께 상달되는 기도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드리는 기도를 살펴보면, 대부분 육의 욕심을 위한 기도일 뿐,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기도가 별로 없습니다. 예를 들면, 자녀의 대학 진학을 위한 기도, 부자가 되게 해 달라는 기도, 가정의 평화와 행복을 간구하는 기도를 비롯해 전부 개인의 이익을 구하는 기도이자 자기 욕심을 채우기 위해 하나님을 이용하려는 기도가 태반입니다. 계속 하나님께 손 내밀며 축복과 은혜를 갈취하려고만 할 뿐, 하나님의 뜻을 알려고 하거나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려 기도를 드리는 경우가 없고,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기 위해 기도를 드리는 것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시겠습니까?
우리의 기도는 자기 욕구를 채우기 위한 기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기 위한 기도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복음을
전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히거나 뒷걸음치게 될 때, 하나님께 힘을 더해 달라고 간구하고, 하나님의 복음을 널리
전파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간구하는 기도가 되어야 합니다. 또 설교하거나 사역을 할 때면, 항상 책임감으로 하나님의 뜻을 제대로
전달하고, 형제자매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하고 체험하는 길로 이끌 수 있게 성령님의 깨우침과 빛 비춤을 간구하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그런 기도가 하나님께 상달되고,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시는 기도입니다. 우리가 늘 이런 문제를 놓고 기도한다면, 언제나
하나님의 인도와 빛 비춤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네 가지 기도법의 실행 원칙에 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도에 관한 올바른 실천 원칙을 파악하면, 기도가 어렵지 않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5-08-2022
Grhard Tersteegen(게르하르트 터스티겐) 기도문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당신의 은혜로운 임재를
우리 안에 새롭게 일깨워 주십시오
그리하여 인생의 순례 길을 가는 동안
우리 안에 평화와 진실함과 용기가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여 주십시오
당신을 사랑하고 경외하는 마음으로
당신을 굳세게 붙들게 하시고
당신에 대한 사랑이 식지 않게 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당신과 연합된 우리의 마음이
살든지 죽든지
우리가 하는 무슨 일에든지
항상 이어지게 해 주십시오
우리에게
마음을 다해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마음속에서 들리는
당신의 목소리를 듣게 해주시고
당신께서 주시는 경고를 묵살하지 않게 해 주십시오
보십시오.
우리의 가난한 마음을
당신께 제물로 드립니다.
오서서 당신의 지성소를 채워 주시고
그곳에 더러운 것이 들어가지 못하게 지켜주십시오
오 사랑의 주님,
당신의 거룩한 영이 우리의 모든 영혼 속에 강같이 흐르게 하시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때까지
우리를 올바른 길로 인도하여 주십시오. 아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자료 / 예수님의 중보기도 / 워렌 위어스비 지음, 조은주 역. 은성출판사
01-9-2022(제2주)
허버트 록키어(Herbert Lockyer. 영국 1886-미국 1984)박사는 "성경에는 650편의 기도들이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신앙생활은 곧 기도생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영국 침례교회 목사이었던 찰스 스펄전(Charles Haddon Spurgeon. 1834. 6. 19-1892. 1. 3)은 "진정한 기도는 길이가 아니라 무게에 의해서 측정됩니다."라고 합니다.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이 일생동안 예수를 믿으며 수 많은 기도를 했을 때 그 모든 기도가 하늘에 상달되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만일 하늘에 상달되지 않는 기도를 했다면 무게가 없는 기도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의 기도(요한복음 17장)
17:1-5, 예수께서 자신을 위해 기도하시다
17:6-19, 예수께서 제자들을 위해 기도하시다
제자들의 안전(17:6-12)
제자들의 거룩(17:13-19)
17:20-26, 예수께서 전체 교회를 위해 기도하시다
요한복음 17장은 예수님께서 드린 "제사장으로서의 기도"라고 정의합니다.
제사장의 기도를 다른 말로 "왕의 기도"라고도 합니다.
제사장으로서의 기도가 위대한 네 가지 이유를 소개합니다.
첫째,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기도이므로 위대하다
둘째, 기도를 요구한 상황 때문에 위대하다
셋째, 기도에 있는 간구 때문에 위대하다
넷째, 승리 때문에 위대하다
믿음의 기도는 병든 자를 구원하리니 주께서 저를 일으키시리라 혹시 죄를 범하였을지라도 사하심을 얻으리라.
(야고보서 5:15)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아버지!
하나님은 재앙을 내리게도 하시고 거두기도 하십니다.
병들게도 하시고 낫게도 하시는 주님이심을 믿습니다.
간구 하옵기는 김영희권사님이 육체의 질병으로 고통 가운데 시달리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김영희권사님을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알지못하여 답답합니다.
그러나 질병으로 고통 당할 때 세상의 기준으로 판단하여 낙심하지 않게 하옵시고
오히려 고통 가운데 감추어진 하나님의 뜻을 찾아 알게 하옵소서.
질병 중에 있을 때 인생의 모든 것과 바꿀 수 있는 영원한 보물을 찾고 기뻐하며 믿음 위에 더욱 굳게 설 수 있는 믿음만을 주장하게 하옵소서.
언제까지 육체의 고통으로 시달릴지 모르지만 질병으로 인하여 몸은 고통스럽고 불편한 가운데 있을지라도 하나님의 강한 빛을 받아 성령의 기쁨을 누리게 하옵소서.
또한 육신이 건강한 사람과 비교함으로 낙심하지 않고
고통 가운데서 십자가의 아픔을 몸소 겪으셨던 주님을 바라보며 그 사랑을 깊이 깨닫는 은혜가 넘쳐나게 하옵소서.
몸의 불편함을 불평하는 대신 이미 허락하신 은혜로 인하여 주님을 뜻을 나타낼 수 있는 은사를 찾게 하옵소서.
질병도 그 가운데서 주님의 영광을 나타낼 수 있다면 불행이 아니라 복이요, 재앙이 아니라 주님이 주신 은사임을 깨닫습니다.
이제 의사를 통하여 치료를 받을 때에 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은혜를 베푸시고, 장기적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일이 없도록, 병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 주시옵소서. 만병의 의원이시고, 치료자 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야고보서 1:25
자유하게 하는 온전한 율법을 들여다보고 있는 자는 듣고 잊어버리는 자가 아니요
실행하는 자니 이 사람이 그 행하는 일에 복을 받으리라.
스가랴 12:10a
내가 다윗의 집과 예루살렘 거민에게 은총과 간구하는 심령을 부어 주리니.
I will pour out on the house of David and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a spirit of grace and supplication.
로마서 8: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with groans that words cannot express.
기도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는 "기도는 영혼의 호흡" 이라고 합니다.
호흡이란 생명이 있는 증거입니다.
죽은 사람은 호흡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람이 살아있다는 것은 영혼과 육이 하나로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살아있는 사람에게 호흡이 필수적인 것처럼 또한 영혼이 육체와 함께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도를 영혼의 호흡이라고 정의한 것은 그리스도인에게 기도는 생명과 같은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생명이 있는 사람이 호흡을 하는 것처럼
살아있는 사람은 육체와 영혼이 하나가 된 것처럼
기도는 살아있는 그리스도인의 생명의 흔적과 같습니다.
죽음을 준비하는 기도를 합시다!
나의 하나님이여
그리스도를 보사
나의 작별의 순간을 평안하게 하옵소서!
내 비록 흙에 지나지 않사오니
하나님 앞에 서서 기도하옵기는
쾌락을 구함도 아니오며
금을 요구함도 아니오라
그보다 더 큰 것을 구하오
하나님이 내게 주실 가장 큰 선물
내가 누를 영원한 생명일세.
내 마음 이제 기도와 찬송으로 넘치네
그리고 부드러운 그의 마음에
내 마음 가까이 끌어올리는
그 한 숨결 한 숨결을
내 하늘 아버지는 알고 계시네
내 기쁨과 평안 여기 있고
내 구원 당신 안에서 보니
아, 내 영혼을 지키시는 이여.
* 기도의 영 p. 180, 181, 182
- 기도(오 할레스비)
허버트 록키어 박사
성경에는 650편의 기도들이 기록되어 있다.
기도 중에서 요한복음 17장의 주님의 제사장으로서의 기도가 가장 으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
기도는 항상 하나님과의 역동적인 대화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이것을 깨달을 때 주기도문은 우리가 매일 하나님께 이야기하는데 도움이 되는 모범이 됩니다.
여기 도움이 될 만한 여섯 단계 기도 가이드가 있습니다.
하나님께 다시 집중하세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깊이 숨을 들이 마시고 다음 단어에 집중해 보세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천천히 숨을 내쉬며 다음과 같이 말해 보세요.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여러 번 반복하고 마음에 떠오르는 하나님의 성품에 주의를 기울여 보세요. 그리고 또 하나님의 위대하심에 초점을 맞추어 보세요.
여러분의 뜻을 다시 맞추어 보세요.
“나라가 임하시오며…”
하나님은 늘 그 분의 뜻을 이 땅에 이루고 계십니다. 이것을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의 뜻을 그분의 뜻에 맞추는 것은 그분의 나라를 찾는 일입니다.
주변의 소음으로부터 벗어나세요. 그리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일에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보여주시기를 기도해 보세요.
염려를 내려 놓으세요.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무언가를 받기 위해 손을 내밀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이 하나님께 여러분의 염려를 드릴 때 그분은 여러분께 무엇을 주실까요?
여러분의 염려를 적어보세요. 그리고 하나씩 읽어 보세요. 염려를 소리 내어 읽을 때마다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라고 마음 속으로 기도하세요.
이 단계를 필요한 만큼 계속하세요.
회개하고 응답하세요.
사하여 준 것 같이.. 사하여 주시옵고
여러분이 주님께 내려 놓지 않고 붙들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지금 주님께 고백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깊은 상처, 좋지 않은 행동, 어쩔 수 없는 중독, 반복되는 실수 등등일 까요?
하나님은 여러분이 있는 모습 그대로 나오길 원하십니다. 여러분의 마음 속 생각을 그분께 말씀 드리고 그분의 음성을 들어 보세요.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구하세요.
“악에서 구하시옵소서…”
우리는 모두 무언가로부터 구원을 얻었습니다. 하나님은 여러분을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셨나요?
주님의 신실함에 감사 드리세요. 그리고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말씀해 보세요. 주님의 보호가 필요한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해
보세요. 상황이 절망적으로 보일 때에도 하나님이 하실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기억 하세요.
기뻐하며 돌아보세요.
하나님께서 여러분의 삶 속에서 행하신 일을 기뻐하고 오늘 하루를 보내며 그분을 예배 할 방법을 찾으세요.
그리고 잠시 하나님과 함께 한 이 시간을 곰곰이 돌아 보세요. 그분이 여러분에게 무엇을 보여 주셨나요? YouVersion기도 목록에 생각나는 것을 적어 보세요
예수님처럼
기도를 시작하면 예수님이 그러셨던 것처럼 여러분도 하나님과의 친밀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도가 우리 삶의 방식을 바꿀
때, 우리는 언제든지 확신, 의뢰함, 신뢰를 가지고 하나님께 다가 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합니다.
"일용할 양식"에 대한 헬라어는 τὸν ἄρτον τὸν
ἐπιούσιον(톤 아르톤 톤 에피우시온)이다.
아르톤ἄρτον은 "빵"이다.
신약의 사람들이 주식으로 먹던 음식이다.
여기서 빵은 부분으로 전체를 대표하는 제유법으로 사용되어, "양식" 일반 혹은 더 나아가 "물질" 일반을 의미한다.
“일용할”로
번역되어 있는 헬라어 단어 “에피우시온"ἐπιούσιον은 주의 기도에 사용된 전체 헬라어 중에 가장 해석하기 어려운 단어이다.
이 단어를 해석하기 어려운 이유는 성경에 이 단어가 오직 주기도문에만 나오기 때문이고, 성경 밖에서도 그 용례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잘 안쓰이는 단어이기 때문에 정확한 뜻을 알기 어렵다.
예수님께서 기도를 가르치시면서 상당히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신
셈이다.
이렇게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셨을 때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을테니, 더 세심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에피우시온”이 무슨 뜻인지를 밝히기
위한 많은 학문적 연구가 있었다.
초대교회 시절부터 문제가 되었으니 긴 논란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성경 안에 용례가
없으니, 성경 밖 문서나 비문을 다 뒤져서 이 단어가 사용된 흔적이 있으면 그것에 근거해서 뜻을 찾아내려 하였는데, 노력에 비하여
결실이 적다.
이 단어가 쓰여있는 비문이 그리스의 어느 섬(Rhodes)에서 새로 발견되었을 때 거기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쏟았고, 이 단어가 쓰여있는 파피루스가 런던의 어느 대학 도서관에서 발견되었을 때에도 학계가 들썩 하기도 했다.
그런데
아직도 그 뜻을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말 주기도문이 “일용할”이라고 에피우시온을 번역했는데, 그건
기본적으로 에피우시온의 뜻을 “오늘”이라고 본 것이다. 영어로 daily bread라고 번역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새로운
발견을 반영하면 에피우시온은 "다음"이라는 뜻이 된다.
에피우시온에 "날"을 뜻하는 헤메라가 붙여써진 파피루스가 발견되었는데,
문맥에서 볼 때 "다음 날 곧 내일"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발견을 주의기도 해석에 적용하면 τὸν
ἄρτον τὸν ἐπιούσιον(톤 아르톤 톤 에피우시온)은 "다음 먹을 빵"이 된다.
그리고 이것을 의역하면 "생존에
필요한, 삶을 꾸려가는 데 필요한” 빵이 된다.
에피우시온(ἐπιούσιον)이라는
단어 자체에 집중한 해석 역시 이런 해석과 궤를 같이 한다.
에피우시온은 "에피"라는 전치사와 "우시온"이라는 명사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에피(ἐπί)는 "~위에"를 뜻하는 전치사로 영어의 on이나 upon에 해당한다.
"우시온"이 나온 "우시아(οὐσία)"는
그리스 철학은 물론 삼위일체 교리에도 사용된 단어인데 그 기본 의미는 "존재(being, existence)"이다.
그러므로
에피우시온은 "존재를 떠받치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고, 이는 에피우시온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맥이 통한다.
이런
이해를 고려한다면, 주의 기도를 통해 주님께서 우리에게 구하라 하신 "일용할 양식"이 하루 먹을 양식이 아닌 것으로 조심스레
해석할 수 있다.
"일용할 양식"은 문학적 표현으로 참 좋다.
그러나 그 의미는 단지 하루치 양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떠받치는 물질",
"우리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물질 전반"을 뜻한다.
그런 의미에서 "일용할 양식"을 구하는
것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하라 하셨다.
주기도문은 예수님께서 공생애를 보내시면서 제자들이 어떻게 기도해야하는지를 묻자, 친히 가르쳐주신 기도문이다.
기도드리는 사람들의 눈을 고치어 하나님의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주기도문은 하늘에 속한 사항 3가지(여호와의 이름, 하나님의 나라, 아버지의 뜻)와 땅에 속한 사항 3가지(일용할 양식, 죄의 용서, 악에서 보호)를 합하여 6가지를 담고 있다.
인간 삶에 관한 대부분을 포괄하는 것으로 기도하는 사람이 직면하는 삶의 모든 것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새롭게 보게 해준다. 즉, 신이 행한다는 신위(神爲)의 차원에서 보게 되는 것이다.
순종과 청종
여호와께서 번제와 다른 제사를 그 목소리 순종하는 것을 좋아하심같이 좋아하시겠나이까?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사무엘상 15:22절)
기독교란 ?
기독교(Christianity)는 로마가톨릭교회(Roman Catholic Church)와 동방정교회(Eastern Orthodox) 그리고 개신교회(Protestantism)의 3교회를 합하여 일컫는다.
세계의 모든 교회가 함께 추구하는 주제이며, 기독교의 신학으로나 교회 현장에서 공통되게 추구하고 있는 주제는 ;
첫째 올바른 영성(Spirituality)이다.
둘째 건강한 공동체(Community)이다.
셋째 병들어가는 지구 공동체에 대한 치유(Healing)이다
하나님의 형상
미국의 여류신학자인 Betty Russel은 하나님의 형상을 4가지로 설명한다.
첫째 영적인 하나님이다.
둘째 사랑의 하나님이다.
셋째 창조적인 하나님이다.
넷째 공동체로 계시는 하나님이다.
그곳의 젊은 크리스천들의 모임을 접하면서 중국 기독교의 밝은 미래를 보는 듯 했다.
생각해 볼 점은 중국교회 지도자들이 한국교회를 벤치마킹하려는 마음이 절실하다는 점이다.
감사와 기도
제일동포 3세인 의사 하루야마 시게오(春山茂雄)박사가 “뇌내혁명(腦內革命)”(3권)을 출간하여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됬다.
조선에서
한의원을 했던 할아버지로부터 어린 시절부터 침술, 지압술 등을 배웠고, 8세에 이미 일본정부로터 침술사의 자격증을 받았다.
동경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후 의사가 되었고, 한의학과 양의학을 융합하여 치료와 건강지도에 활용하였다.
“뇌분비 호르몬이 당신의 인생을 바꾼다”는 부제(副題)가 붙어있다.
원래 사람은 자신의 체내에 모든 질환에 대한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잘못된 생활습관과 삶의 방식으로 인해 걸리지 않아야 할 질병에 걸린다.
하루야마 시게오 박사는 자신의 병원에서 ‘음식, 운동, 기도’의 3가지 방법으로 각종 질병을 치료한다.
화를 내거나 누군가를 미워할 때 뇌 속에서 아드레날린(Adrenalin) 혹은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 호르몬은 강한 독소를 지니고 있어 사람을 병들게 하고 늙게 한다.
그러나, 감사하거나 기뻐할 때 그리고 기도와 명상에 깊이 빠져들 때 엔돌핀(Endorphin) 이나 베타엔돌핀(β-Endorphin) 호르몬이 분비되어 병을 낫게 하고 젊어지게 하며 행복감을 누리게 한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감사하는 생활습관과 기도·명상에 젖어드는 영성의 삶에 통해 건강과 장수 그리고 행복과 행운을 동시에 붙잡을 수 있게 된다.
가난 (Poverty)이란?I realize, of course, that it's no shame to shame to be poor.
But it's no (great) honor, either.
가난은 창피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위대한) 명예도 역시 아니다.
Luxury Shame
전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때를 만나게 되니 사람들의 의식이 다소 변해간다.
그동안 일부 지각없는 인사들이 부(富)를 뽐내기 위해, 또는 빈자(貧者)의 삶을 한탄하며 허파에 바람만 잔뜩 집어넣은 허영의 속물(俗物)들이 고가의 명품을 사서 온 몸에 휘감고 다녔다.
주체할 수 없는 부(富)를 가진 Super Rich 계층에서 고가의 명품을 소비하는 행태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바람직한 인사들이 생겨났다. 이때 느끼는 부끄러움을 Luxury Shame이라 한다. 신조어(新造語)다.
시대가 바뀌면서 인간 의식의 전환의 때가 왔나보다.
인생은 B to D
B는 Birth(태어남)이고, D는 Death(죽음)이다.
즉 인생은 태어났다가 죽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럼 B와 D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C가 있다.
C는 무엇인가?
바로 Choice(선택)이다.
즉 인생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선택하는 대로 되는 것이다.
하나님은 ‘알파’와 ‘오메가’시다.
모든 일들이 그분의 선택의 역사다.
거룩한 하나님께서 거룩한 백성을 선택하시고지극히 사랑하시어서 천국으로 이끄신다.
B는 주님의 창조의 역사이고, D는 주님이 선택하신 백성들이 가는 목적지이다.
즉 영생(永生)의 삶을 사는 부활의 현장이요, 승리의 종착역인 것이다.
C는 주님의 선택이다.
주님은 범죄 하면서 사는 우리 모든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셨다.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혀 죽게 하시고, 부활하는 역사(役事)를 통해 우리 인류 전체의 죄를 값없이 용서해 주셨다.
우리 인간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 없다면 어느 누구도 할 수 없는 위대한 선택을 하신 것이다.
왜냐하면 죄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인간을 천국의 영생의 삶으로 이끌 수는 없기 때문이다.
(사자에 의한 리빙스턴의 부상 - 토마스 벤느 作)
(주님께서 동행하는 자도 시련과 고난을 당하지만, 능히 극복해 낸다)
우리 죄 많은 인간에 대한 그분의 지극한 사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주님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이를 거부하고 헛된 우상을 만들고 이생의 자랑과 교만에 취해 스스로 드러내려고 애쓰면서 살아간다.
주님께서 이미 행하신 위대한 사랑의 선택을 망각하거나 거부하면, 살아있어도 죽은 자가 될 뿐이다.
한탄하다(창 6:6,7), 후회하다(삼상 15:11,35, 렘4:28), 위로받다(삼상 13:39, 겔 14:22,시 77:2), 회개하다(욥 42:6), 뜻을 돌이키다(시 106:45, 렘 18:8, 욜 2:14), 뉘우치다(렘 31:19, 슥8:14), 변개하다(삼상 15:29), 돌아오다(시 90:13), 변하다(시 110:4), 보응하다(사 1:24), 위로하다(룻 2:13, 사 51:3, 렘 16:7), 안위하다(창 5:29, 슥 1:17), 조상하다(삼하 10:2, 대상 19:2), 긍휼히 여기다(시 135:14),풀다(창 27:42). [명] 위로(창 24:67, 겔 16:54),위안(시 119:76), 조객(삼하 10:3), 조문사절(대상 19:3), 위로자(욥 16:2, 전 4:1),
안위(사 54:11), 후회(민 23:1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님의 후회에 대해서 언급하는 두 개의 본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노아 홍수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창세기 6:6과 불순종하는 사울을 향한 하나님의 실망감을 담고 있는 사무엘상 15:11
창세기 6:6절을 보도록 하자.
개역이나 개역 개정판은 “(하나님이) 땅 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사 마음에 근심하시고”(창 6:6)라고 번역한다.
그런데 영어 번역은 조금 다르다:
“And the LORD was sorry that He had made man on the earth, and He was
grieved in His heart”(NASB);
“The LORD was grieved that he had made man
on the earth, and his heart was filled with pain”(NIV);
“And the LORD
was sorry that He had made humankind on the earth, and it grieved him to
his heart”(NRSV).
이 세 가지 영어 번역에 기초한다면,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뉘우치고 후회(한탄)하신 것이 아니라 땅 위에 인간을 창조하신 일을 유감스럽게 생각하셨다는 얘기가 된다.
인간의 행동에 대하여 섭섭하게 또는 안타깝게 생각하셨다는 얘기다. 슬픔이나 배신감을 느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 점은 본 절의 후반부에 있는 “마음에 근심하시고”또는 “마음 아파하시고”(표준새번역)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된다.
사무엘상 15:11도 마찬가지이다.
개역과 개역 개정판은 하나님이 사울을 왕 삼으신 것을 후회하신다고 번역하나, 영역본들은 히브리어 원문에 충실하게 하나님이 사울을 왕 삼은 일을 유감으로 생각하셨다고 번역한다:
“I regret that I have made Saul king”(NASB); “I am grieved that I have
made Saul king”(NIV); “and it grieved him to his heart”(NRSV).
앞의 홍수 관련 본문에서처럼 하나님은 사울이 한 일들로 인하여 슬퍼하시고 그러한 일을 행한 사울을 안타깝게 생각하셨다는 얘기가 된다. 결코 하나님이 인간처럼 이랬다저랬다 하는, 변덕스러운 분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두 구절은 주님 말씀에 불순종하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근심과 걱정, 그리고 그러한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유감스럽고 서글프고 안타까운 마음을 인간적인 언어로 실감나게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후회에 대해 언급하는 본문들을“이전의 잘못을 뉘우치신다”는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후회 개념으로 읽는다는 것은 너무도 부당한 것이다.
질문 / 하나님께서 '후회'를 하시는가?
"땅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 하사 마음에 근심하시고 가라사대 나의 창조한 사람을 내가 지면에서 쓸어 버리되 사람으로 부터
육축과 기는 것과 공중의 새까지 그리하리니 이는 내가 그것을 지었음을 "한탄" 함이니라 하시니라(창 6:6-7)."
하나님께서 사람 지으셨음을 후회하셨다고 들었거든여..
하나님께선 이미 창세 전에 후회하실 것을아시고 사람을 지으셨나여? 좀 이해가 안되네여!
민수기 23:19
하나님은 인생이 아니시니 식언치 않으시고 인자가 아니시니 "후회"가 없으시도다. 어찌 그 말씀하신 바를 행치 않으시며 하신 말씀을 실행치 않으시랴.
신명기 32:36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을 판단하시고 그 종들을 인하여 "후회"하시리니 곧 그들의 무력함과 갇힌 자나 놓인 자가 없음을 보시는 때에로다.
사무엘상 15:11
내가 사울을 세워 왕 삼은 것을 "후회"하노니 그가 돌이켜서 나를 좇지 아니하며 내 명령을 이루지 아니하였음이니라 하신지라. 사무엘이 근심하여 온 밤을 여호와께 부르짖으니라.
"사무엘이 죽는 날까지 사울을 다시 가서 보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가 사울을 위하여 슬퍼함이었고 여호와께서는 사울로 이스라엘 왕 삼으신 것을 "후회" 하셨더라(삼상 15:35)."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멸하러 사자를 보내셨더니 사자가 멸하려 할 때에 여호와께서 보시고 이 재앙 내림을 "뉘우치사" 멸하는
사자에게 이르시되 족하다 이제는 네 손을 거두라 하시니 때에 여호와의 사자가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 곁에 선지라(대상
21:15)."
예레미야 4:28
이로 인하여 땅이 슬퍼할 것이며 위의 하늘이 흑암할 것이라 내가 이미 말하였으며 작정하였고 "후회하지 아니하였은즉" 또한 돌이키지 아니하리라 하셨음이로다.
렘 20장 16절에서 "그 사람은 여호와께서 훼파하시고 "후회치 아니하신" 성읍 같이 되었더면, 그로 아침에는 부르짖는 소리, 낮에는 떠드는 소리를 듣게 하였더면..."
예레미야 42:10
너희가 이 땅에 여전히 거하면 내가 너희를 세우고 헐지 아니하며 너희를 심고 뽑지 아니하리니 이는 내가 너희에게 내린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킴이니라"
하나님께서도 후회를 하시나요?
1. 한 나라 말을 다른 나라 말로 번역하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이러한 일은 히브리어나 헬라어로 된
성경을 우리 말로 번역할 때에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질문하신 예를 보면 우리가 성경을 번역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2. "후회한다"는 말은 히브리어 "니함"이란 단어를 번역한 것입니다.
우리 말 성경에서는
이 단어를 대부분 "후회한다"는 말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단어는 한 가지 뜻이 아니라, "가엾다, 동정하다,
위로받다, 후회하다, 슬퍼하다, 안심하다, 편케하다, 한탄한다, 뜻을 돌이킨다"는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문맥을 잘 살펴서 이 단어가 그 문맥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분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 말 성경의 경우 이
단어를 대부분 후회로 번역함으로 때로 문맥의 흐름을 어색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질문하신 구절에서 이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고있는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1) "땅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 하사(창 6:6-7) 이
구절에서는 니함이란 단어를 "한탄하셨다"(심히 슬퍼하다)는 의미로 사용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총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끝까지 하나님을 거역하였으며, 그 결과로 사람들의 죄악은 더 이상 손쓸 수 없을 정도로 타락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이러한 인간의 모습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끼고 한탄하셨습니다.
2) "하나님은...인자가 아니시니 "후회"가
없으시도다(민 23:19)." 이 구절에서는 "니함"이란 단어가 "후회"라는 뜻으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신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택한 백성에 대한 언약을 철회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발람 선지자는 궤계를 써서 이스라엘을 우상숭배로 몰아
멸망시키려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상 숭배에 빠진 이스라엘 백성들을 징계하기는 했지만, 그들과 맺은 언약을 취소하지는
않았습니다.
3) "여호와께서...그 종들을 인하여 "후회"하시리니 곧 그들의 무력함과 갇힌 자나 놓인 자가
없음을 보시는 때에로다(신 32:36)." 이 구절에서는 "니함"이란 단어가 "가엾게 여기다, 동정하다"란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나님은 자비가 많으신 분이시기 때문에, 자기 백성을 죄로 인해 징계하신 후에 그들을 가엾게 여기고 동정하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이 징계로 인해 무력해지고, 포로가 되어 갇히고, 종이 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보시고 그들에 대해 깊은
동정심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결국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다시 구원해 주실 것입니다.
4)
"내가 사울을 세워 왕 삼은 것을 "후회" 하노니(삼상 15:11)..." "여호와께서는 사울로 이스라엘 왕 삼으신 것을
"후회" 하셨더라(삼상 15:35)..." 이 두 개의 구절은 니함이란 단어가 "슬퍼하다, 한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
경우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뜻을 안 사무엘 역시 슬퍼하며 근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여호와께서 보시고 이 재앙 내림을 "뉘우치사"(대상 21:15) 이 구절에서 니함은 고통 받는 자기 백성을 보고 하나님께서 징계를 철회하시기로 작정하셨다는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6)
"내가 말하였으며 작정하였고 "후회하지 아니하였은즉" 또한 돌이키지 아니하리라 하셨음이로다(렘 4:28 ." "여호와께서
훼파하시고 "후회치 아니하신(렘 20:16 " 이 구절들은 니함이 "후회하다, 돌이킨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니함은
하나님의 언약과 관계되어 나타날 때는 항상 그 언약이 불변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7)
"내가 너희에게 내린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킴이니라(렘 42:10)." 이 구절에서는 니함이란 단어가 우리 말 성경
번역대로 "뜻을 돌이킨다"는 의미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이 경우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그들의 죄로 인해 징계하신 후에 그들이 받는
고통과 부르짖음을 보고 징계를 거두기로 작정하셨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성경에서는 니함이란 단어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으며,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각 문맥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의미를 선택해야 합니다.
1. 나함이 인간의 완악함과 타락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이 말은 크게 슬퍼하다, 탄식한다는 의미로 해석해야합니다.
이 경우는 하나님께서
죄인들을 참고 기다려 주시다가 결국 그들을 징계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을 때에 한탄하고 슬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나함이 이미 징계를 받고 고통하는 하나님의 백성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고통받는
자기 백성을 보시고 그들에게 "동정심을 느낀다"는 경우
두번째는 그들의 고통이 극심한 것을 보고 징계를 철회하기로 "뜻을
돌이키신"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1번과는 반대로 징계를 받던 백성이 징계의 기간이 끝이 나고 다시 은총의 때가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나함 하나님의 언약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우에는 하나님의 언약의 불변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을 옳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단어를 후회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님의 백성의
패역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그들과 맺은 언약은 무효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사람마다 지난 삶을 돌이켜 볼 때 후회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후회(後悔)란 이전의 잘못을 깨닫고 뉘우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무지한 존재이다.
따라서 살아오면서 판단미숙과 계산착오로 씻을 수 없는
실수를 하므로 후회스런 과거를 갖고 있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신 분이기 때문에 결코 후회를 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민수기 23:19
하나님은 인생이 아니시니 식언치 않으시고 인자가 아니시니 후회가 없으시도다 어찌 그 말씀하신 바를 행치 않으시며 하신 말씀을 실행치 않으시랴.
사무엘상 15:29
이스라엘의 지존자는 거짓이나 변개함이 없으시니 그는 사람이 아니시므로 결코 변개치 않으심이니이다.
시편 110:4
여호와는 맹세하고 변치 아니하시리라 이르시기를 너는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영원한 제사장이라 하셨도다.
예레미야 4:28
이로 인하여 땅이 슬퍼할 것이며 위의 하늘이 흑암할 것이라 내가 이미 말하였으며 작정하였고 후회하지 아니하였은즉 또한 돌이키지 아니하리라 하셨음이로다.
에스겔 24:14
나 여호와가 말하였은즉 그 일이 이룰찌라 내가 돌이키지도 아니하며 아끼지도 아니하며 뉘우치지도 아니하고 행하리니 그들이 네 모든 행위대로 너를 심문하리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하셨다 하라.
히브리서 7:21
저희는 맹세 없이 제사장이 되었으되 오직 예수는 자기에게 말씀하신 자로 말미암아 맹세로 되신 것이라 주께서 맹세하시고 뉘우치지 아니하시리니 네가 영원히 제사장이라 하셨도다.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시기 때문에 사람처럼 이전의 잘못을 깨닫고 뉘우쳐야 하는 후회가 없으시다.
그런데 성경에는 ‘하나님께서 후회하시고 뉘우치셨다’(Lord repented: “여호와께서 후회하셨다”, “주께서
유감스럽게 생각하셨다”, “야훼께서 뉘우치셨다”, “주께서 회개(悔改)하셨다”)라고 무려 열 번이나 말씀하셨다(창 6: 6, 출 32: 14, 삿
2; 18, 삼상 15: 35, 삼하 24: 16, 대상 21; 15, 시 106: 45, 렘 26: 19, 암 7: 3-6, 욘
3: 10).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고 여섯 번이나 말씀하셨는데, 열 번이나 “여호와께서
후회하셨다”고 했다면 성경이 잘못되거나 성경기록이 잘못된 것인가?
야훼 하나님이 후회하셨다는 말씀은 하나님의 비통하고 안타까운 심정을 인간의 언어로 설명했을 때에 표현이지 결코
하나님이 계산착오나 판단력부족으로 실수를 하셔서 그 일을 후회하셨다는 말씀은 아니다.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신 후에 후회하실 정도로
지혜나 지식이 부족한 분이 아니다.
그래서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후회와 뉘우치심’은 하나님의 통탄(痛歎)탄식과 통초(痛楚)를
인간의 언어로 표현한 것일 뿐이다.
성경에 열 번이나 “야훼 하나님이 후회하셨다, 주께서 뉘우치셨다”고 하신 것은 크게 네 가지
후회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천사와 인간의 타락 때에 후회하심(창세기 6:6)
둘째, 주의 종들의 중보기도를 보실 때에 후회하심(출애굽기 32:14)
셋째, 개인이 회개하고 슬피 부르짖으며 악한 길을 떠날 때(사사기 2:18, 시편 106:44-46, 삼하 24:16, 대상 21:15, 렘 26:19, 욘 3:10)
넷째, 사울의 불순종과 멸망을 보실 때(사무엘상 15:35)
첫째, 천사와 인간의 타락 때에 후회하심(창세기 6:6)
창세기에서 모세는 하나님께서 도덕적으로 타락한 인간들을 홍수로 심판하실 당시에 하나님의 심정을 “땅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恨歎)하사 마음에 근심하셨다”고 했다.
아담하와가 선악과를 따먹고 타락할 때도 한탄하거나 근심하거나 후회하지 않으셨던
하나님이 노아 600세 때인 아담 창조 1656년, 지구촌을 홍수심판하시기 바로직전, 지구에 인간들을 창조하신 것을 후회하셨다고
하신 것이다.
우리말로 표현한다면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한 것을 땅을 치며 통곡하셨다’는 말인데, 이것은 사랑하는 자식이
살인죄나 국가반역의 중죄를 짓고 부모가 보는 앞에서 사형을 당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것을 보아야 하는 부모의 참담한 심정처럼
하나님의 마음이 ‘차라리 인간들을 만들지 말았어야 했다’며 마음을 아파하며 후회하셨다는 표현이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께서 인간창조를 한탄하시고 근심하셨는가?
하나님이 사람 지으심을 후회하신 이유가 무엇인가?
창세기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자기들의 좋아하는 모든 자로 아내를 삼음으로 그들이 육체가 됐기
때문이라”(Because(For that) he also is flesh: “그 이유는 그(천사들)가 육체가 됐기 때문이다”; 창
6: 2-3)고 했다.
성경은 ‘하나님의 아들들’(The sons of God)을 하늘에 있는 천사(天使)들로 세 번이나 기록했다(욥 1: 6, 2:
1, 38: 7) 그래서 하나님이 인간 창조를 후회하시고 근심하시며 한탄하신 것은 하늘에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높여야할 천사들이
지상으로 내려와 지상의 여인들과 성적방종을 탐닉하여 네피림 거인들을 낳으므로 천사의 본분을 잊어버리고 그들이 육체가 됐기 때문에
천사들과 인간들을 홍수심판으로 멸망시켜야 했으므로 후회하셨다는 말씀이다.
훗날 베드로는 이 사건을 “하나님이 범죄한 천사들을 용서치 아니하시고 지옥에 던져 어두운 구덩이에 두어 심판 때까지 지키게
하셨으며 옛 세상을 용서치 아니하시고 오직 의를 전파하는 노아와 그 일곱 식구를 보존하시고 경건치 아니한 자들의 세상에 홍수를
내리셨다”(벧후 2: 4-5)고 첨가하여 설명했고, 예수님의 친 동생이며 속사도인 유다는 “자기 지위를 지키지 않고 자기 처소를
떠난 천사를 큰 날의 심판까지 영원한 결박으로 흑암에 가두셨으며 소돔과 고모라와 그 이웃 도시들도 저희(천사들)와 같은
모양으로(About them in like manner) 간음(姦淫)을 행하며 다른 색을 따라가다가(*Giving
themselves over to fornication, and going after strange flesh) 영원한 불의
형벌을 받으므로 거울이 되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다른 색(Strange flesh)의 헤테로스는 자연스러운 남자와 여자의 결합 같은 것에 반대되는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또는
천사와 여자의 성교(性交)같은 “별스럽고 이상한 종류의 다른 색욕”을 의미함; Another of a different
kind: Men with men and women with women and angels with women, all
living contrary to nature)
이렇게 베드로와 유다는 모세가 기록한 ‘천사타락’의 사건기록을 더 충실하게 보충해서 설명했다. 그렇다. 천사들의 타락은 ‘원천지의
루시퍼 타락’이 아니라 또 다른 천사들의 타락이다. 루시퍼가 아닌 또 다른 높은 지위의 천사가 자기 졸개 무리를 데리고 자기
지위를 지키지 않고(The angels which kept not their first estate) 자기 처소인 하늘을
무단이탈하여 지상으로 내려와서 세상의 여인들을 보고 무차별로 그 몸을 탐닉하며 성적으로 타락했던 천사였다. 사도 요한은 그때
타락한 천사의 우두머리를 아바돈이라고 했고, 아바돈을 추종해 땅으로 내려와 여인들과 타락에 빠졌던 천사들을 황충 귀신이라고
했다(계 9: 1-11)
이 말씀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천사들과 여자들의 다른 색을 탐닉한 성적인 타락이었고, 더 중요한 것은 오늘날도 다른 색을 따르는 것은 육체적 타락과 영적타락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색을 따르는 육체적 타락
남자와 남자, 여자와 여자 사이에 있는 동성연애와 인간과 짐승사이의 있는 수간(獸姦)이다.
이제 미국의 동성애문제는 14개주가 동성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수준을 지나 오바마가 이것을 전적으로 지원하는 연방정부지원
수준까지 올라왔고, 이것을 미연방대법원이 확인해 주는 사법절차를 밟은 상태고, 유럽이나 한국 일본 중국 세계 모든 나라에
숨어있었던 동성애자들이 공개적으로 Coming out하는 시대가 됐고, 유럽에서는 고등학생들에게 성교육을 가르치기 위해 공공연하게
사람과 짐승의 성교를 시연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제 지구촌은 노아시대처럼 천사들이 지상에 내려온다면 여자뿐 아니라 남자들까지도
서슴없이 ‘다른 색’에 빠져버릴 음란하고 더러운 시대가 됐다. 남은 것은 하나님의 불 심판뿐이다.
다른 색을 따르는 영적타락
베드로의 가르침
1. 예수의 피로 자기들을 사신 것을 부인하는 종교다원주의에 빠지는 것과 멸망케
할 각종 이단에 빠지거나 이단을 받아들이는 것
2. 많은 사람 특히 목사들까지 음탕과 호색하는 것을 좇는 것(Many shall
follow their pernicious; “많은 사람들이 해롭고 사악한 음탕함과 호색을 좇을 것이다”. ‘좇으리라’,
엨사콜루데수신: “대단히 밀접하게 따라가는 것”)이라고 했다.
유다의 가르침
1. 영적인 직분을 맡은 자들이 자기 지위(Their
first estate; 제 일급 되는-으뜸 되는 자기들의 신분과 처지)를 떠나고 지키지 않는 것
2. 이성 없는 짐승 같이 본능의
욕구를 따라서 동성연애로 자기육체를 더럽히는 것(Defile the flesh)
3. 하나님과 예수님의
권위(Dominion-통치권, 퀴리오테타: “주권”)를 업신여기는 것
4. 영광을 훼방하는 것(Speak evil of
dignities; 영광(榮光, Dignity): “거룩함, 품위, 고귀함, 존엄”, 돜사스는 “천사들을 지칭”함)이라고 했다.
모세의 율법을 사람들에게 전달했고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질서를 유지시키는 존재(행 7: 38, 53, 히 2: 2)인 천사들을
멸시하고 비방하는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을 분리시키고 율법을 악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영광을 훼방하는 행위’였는데, 유다
당시 거짓 교사들은 천사들을 멸시하였다(유 1: 9, 10)
하나님은 아바돈 천사가 자기 졸개 천사들을 데리고 몰래 하늘을 탈출하여 지상으로 내려와서 사람의 딸들을 보고
무분별하게 성적으로 타락한 것을 보시고 그들을 홍수로 심판하실 것을 계획하시면서, 땅위에 사람 지으셨음을 한탄하고 마음에
근심하시며 후회하셨다. 그리고 21세기 오늘날, 세상뿐 아니라 교회까지도 동성애로 타락한 것과 ‘예수 밖에도 구원이 있다’는
종교다원주의에 미혹된 현대교회와 영적지도자들이 자기 지위를 벗어나 있는 것, 그리고 주의 종들과 성도들이 하나님의 권위를
업신여기는 것과 하나님의 영광을 훼방하는 것을 보시고 지구촌 인류의 심판을 생각하시면서 하나님은 후회하시고 계신다. 이런 때에
하나님의 아픈 마음을 헤아리는 우리만이라도 하나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자성도가 되고 충성된 종과 성도가 되어 하나님을 잘 섬기다가
홍수심판에서 구원받은 노아 가족처럼 심판의 날에 구원받는 축복들이 있기를 축원한다.
둘째, 주의 종들의 중보기도를 보실 때에 후회하심(출애굽기 32:14)
여호와께서 뜻을 돌이키사 말씀하신 화를 그 백성에게 내리지 아니하시니라.
아모스 7:3, 6에서 “여호와께서 이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고 가라사대 이것이 이루지 아니하리라 하셨다”
모세를 향해 하셨던 하나님의 후회는 모세가 40일을 금식하면서 하나님의 율법을 받고 있을 동안에, 아론을 충동질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었던 이스라엘을 진멸하고, ‘모세를 통해 큰 나라가 되게 하겠다’ 생각하시고 그 계획을 모세에게 전했을 때, 모세가 범죄한
백성들의 죄를 대신 회개하며 중보기도를 할 때 하셨던 후회였고, 아모스를 향해 하셨던 후회는 하나님이 황충 메뚜기를 보내서 자라고
있는 풀을 다 먹어버리는 환상을 통해 이스라엘의 멸망을 보여주셨을 때, 하나님의 용서를 간구하고 이스라엘을 위하여 중보 기도할 때
그리고 거대한 불이 큰 바다를 삼키고 육지까지 삼키려는 환상을 통해 이스라엘의 멸망이 가까운 것을 보고 하나님께 중보기도로
부르짖어 간구할 때 하셨던 하나님의 후회이다.
그렇다. 하나님은 범죄한 이스라엘을 진멸하고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는 그들을 없애버리고 싶었을 때, 하나님의 종들, 모세와
아모스가 범죄한 이스라엘을 위해 대신 회개하고 그들을 위해 중보하며 기도할 때 하나님은 파멸계획을 후회하시고 뜻을 돌이키셨다.
그러한 주의 종들의 중보기도를 통한 하나님의 후회는 지금도 유효하다. 그런데 주의 종, 목사들 가운데는 자기가 사는 도시의 파멸을
막는 중보기도의 종이 있고, 카운티의 파멸을 막는 종도 있으며, 자기가 살고 있는 주(State)에서 나라의 멸망까지 막는 주의
종들이 있고, 반대로 자기 가정이나 가문의 비극은 물론 자신에게 밀려오는 저주까지도 막아내지 못하는 무능한 목사도 있다. 당신의
중보기도의 능력은 과연 어느 정도인가?
그래서 이스라엘 왕 요아스는 전쟁의 위기 때마다 기도로 나라를 건져준 선지자 엘리사가 죽을병에 걸려 임종을 앞두고 있을 때, 더
이상 나라를 지켜줄 방패가 사라지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여, 구국의 대부 엘리사를 찾아가 그 얼굴에 눈물을 흘리며 “내 아버지여,
내 아버지여, 이스라엘의 병거와 마병이여”(My father, my father, the chariot of Israel and
the horsemen thereof; 왕하 13; 14)를 처절하게 외쳤던 것이다. 메대 파사의 아하수에로 왕비가 됐던
에스더가 “내 민족을 내게 달라”(에 7: 3, 8: 6)고 요청함으로 70만 디아스포라를 구원한 것을 보자. 그리고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신앙과 독립을 지켜낸 청교도의 선구자 존 낙스(1513-1572)가 “스코틀랜드를 내게 달라”며 하나님께 기도한 것을
보자. 그만큼 존 낙스의 중보기도는 나라까지 지키고 보호할 능력의 기도였던 것이다.
야훼하나님은 선지자 에스겔에게 당시 선지자들의 배역과 제사장들의 패역과 방백들과 백성들의 죄까지 이스라엘의 총체적인 타락을
통렬하게 책망케 하면서 “이 땅을 위하여 성을 쌓으며 성 무너진 데를 막아서서 나로 멸하지 못하게 할 사람을 내가 그 가운데서
찾다가 얻지 못한 고로 내가 내 분으로 그 위에 쏟으며 내 진노의 불로 멸하여 그 행위대로 그 머리에 보응하였다”(겔 22:
20)고 외치게 하셨다. 하나님의 심판으로 파멸하는 이스라엘을 위해 중보기도 하는 선지자나 제사장이나 방백이나 백성을 찾지
못했다는 하나님의 준엄한 말씀이다.
그렇다. 하나님이 당신을 천에 하나, 만에 하나로 선택해 주의 종, 목사로 만드신 것은 백성들의 파멸과 저주와 징계채찍을 막아서서
중보 기도하라고 세운 것이다. 직업이 없어서 목사를 직업으로 세운 것도 아니고, 감투가 좋아서 목사직을 감투로 씌어준 것도
아니며, 아무도 간섭하지 않는 편안한 직업이니 잠만 자라고 목사 되게 한 것이 아니다. 당신의 기도로 성도들을 살리고 가정들을
살리며 성도들의 사업도 살리고 나라와 민족을 살리라고 목사로 세우신 것이다. 당신의 중보기도로 성도들에게 내리고자 하셨던 심판을
하나님이 후회하시고, 저주를 후회하시며 파멸의 손을 거두시는 역사들이 일어나길 축원한다.
셋째, 개인이 회개하고 슬피 부르짖으며 악한 길을 떠날 때(사사기 2:18, 시편 106:44-46, 삼하 24:16, 대상 21:15, 렘 26:19, 욘 3:10)
1. 지은 죄를 뉘우치고 슬피 부르짖을 때(사사기 2:18, 시편 106: 44-46)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사사를 세우실 때에는 그 사사와 함께 하셨고 그 사사의 사는 날 동안에는 여호와께서 그들을 대적의 손에서 구원하셨으니 이는 그들이 대적에게 압박과 괴롭게 함을 받아 슬피 부르짖으므로 여호와께서 뜻을 돌이키셨음이어늘.
그러나 여호와께서 저희의 부르짖음을 들으실 때에 그 고통을 권고하시며
저희를 위하여 그 언약을 기억하시고 그 많은 인자하심을 따라 뜻을 돌이키사
저희로 사로잡은 모든 자에게서 긍휼히 여김을 받게 하셨도다.
2. 인구조사를 한 후 하나님이 진노로 내리신 염병으로 7만 명이 죽게 되자 죄를 뉘우치고 부르짖어 기도했을 때(사무엘하 24:16,
역대상 21:15)
천사가 예루살렘을 향하여 그 손을 들어 멸하려 하더니 여호와께서 이 재앙 내림을 뉘우치사 백성을 멸하는 천사에게 이르시되 족하다 이제는 네 손을 거두라 하시니 때에 여호와의 사자가 여부스 사람 아라우나의 타작마당 곁에 있는지라.
하나님이 예루살렘을 멸하러 사자를 보내셨더니 사자가 멸하려 할 때에 여호와께서 보시고 이 재앙 내림을 뉘우치사 멸하는 사자에게 이르시되 족하다 이제는 네 손을 거두라 하시니 때에 여호와의 사자가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 곁에 선지라.
3. 히스기야가 여호와께 간구할 때(예레미야 26:19)
유다 왕 히스기야와 모든 유다가 그를 죽였느냐 히스기야가 여호와를 두려워하여 여호와께 간구하매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선고한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지 아니하셨느냐 우리가 이같이 하면 우리 생명을 스스로 크게 해하는 일이니라.
4. 니느웨 성이 죄를 회개하며 기도할 때(요나 3:10)
하나님이 그들의 행한 것 곧 그 악한 길에서 돌이켜 떠난 것을 감찰하시고 뜻을 돌이키사 그들에게 내리리라 말씀하신 재앙을 내리지 아니하시니라.
그들을 향했던 진노와 저주를 후회하시고 돌이키셨다고 했다.
하나님은
인간의 눈물 앞에 마음이 약하신 분이다.
잘못을 뉘우치며 회개하고 부르짖어 기도하면 언제라도 들어주시는 사랑의 아버지이다.
우리 아이들이 어렸을 때, 서로 싸우거나 잘못을 저지르면 세 아이 모두 회초리나 가죽 벨트로 손바닥이나 종아리를 때려서 싸우는
것을 화해하게 만들었고, 잘못들을 고쳐주었다.
하나님도 죄와 실수를 핑계하거나 남에게 전가하는 사람에겐 죄를 물으시고 죄 값을 치르게
하시지만, 회개하며 하나님의 긍휼을 부르짖어 구하는 사람에겐 한없는 은혜와 자비를 베풀어 주신다.
하나님은 개인이 자신의 죄를 깨닫고 뉘우쳐 회개하며 부르짖어 기도할 때, 그들을 향했던 하나님의 진노 계획, 저주와
재앙계획, 몽둥이 계획을 철회하셨다.
오늘도 하나님은 아담이 하와에게 하와는 뱀에게 죄를 전가하고 변명했듯 자신의 죄와 실수를
변명하거나 남에게 전가하지 않고 솔직하게 회개하는 사람, 그리고 자신이 지은 죄와 실수를 슬퍼하며 야훼하나님께 부르짖어 기도하는
사람을 보실 때, 쏟아 부으려던 분노와 저주를 후회하시고 마음을 돌이키신다.
넷째, 사울의 불순종과 멸망을 보실 때(사무엘상 15:35)
사무엘이 죽는 날까지 사울을 다시 가서 보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가 사울을 위하여 슬퍼함이었고 여호와께서는 사울로 이스라엘 왕 삼으신 것을 후회하셨더라.
아이가 잘 생겼든 못 생겼든, 첫째 아이를 향한 부모의 사랑과 관심은 유난히 크다.
그래서 대부분의 엄마들은 둘째 셋째보다도
첫째에게 관심이 더 많아서 첫아이는 날 때부터 젖을 떼는 때까지 육아일기도 쓰고, 아이 사진도 많이 찍으며, 첫째를 먹이고 돌보는
것이 유별나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기 혈육의 시작인 첫째 아이에게 관심이 많다.
사울은 하나님이 세우신 이스라엘의 첫째 왕이었다.
그래서 사울을 향한 하나님의 관심은 유별했다.
그런데 사울은 너무 빨리 교만했고 하나님을 쉽게 떠나므로 하나님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성경대로 사울은 이스라엘 초대왕으로 40년간 나라를 다스렸다(행 13: 21).
그런데 그의 통치 2년 만에 어려움을 참지 못하는
조급한 마음과 교만으로 사사요 선지자인 사무엘이 번제를 드리기 위해 기다리라고 했는데 자기가 번제를 드리고 하나님의 눈 밖에
난다.
그래서 사무엘은 번제를 드린 사울에게 “왕이 야훼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지 않고 망령되이 행하므로, 야훼하나님이 왕의 나라를
이스라엘 위에 영영히 세우시려고 했었지만 지금은 왕의 나라가 길지 못할 것이라. 하나님께서 그 마음에 맞는 사람을 백성의 지도자로
삼으셨다”고 통보하였다(삼상 13:13-14).
"사무엘이 사울에게 이르되 왕이 망령되이 행하였도다 왕이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왕에게 명하신 명령을 지키지 아니하였도다 그리하였더면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위에 왕의 나라를 영영히 세우셨을 것이어늘. 지금은 왕의 나라가 길지 못할 것이라 여호와께서 왕에게 명하신 바를 왕이 지키지 아니하였으므로 여호와께서 그 마음에 맞는 사람을 구하여 그 백성의 지도자를 삼으셨느니라."
기독교 신앙과 상징
- 우리는 무엇으로 하나님을 알게 되는가?
기호와 상징의 차이
1. 상징(das Symbol. symbol)
본래 가지고 있는 뜻을 정확히 부연 설명하거나 의미 전달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기호로 표현되어지는 것.
2. 기호(das Zeichen. sign)
상징을 주기 위한 하나의 신호적인 의미이므로 그 안에 아무런 의미나 뜻이 들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십자가는 예수의 고난을 상징한다.
십자가 그 자체는 하나의 예수의 고난을 상징하기 위한 하나의 기호(Zeichen)에 불과하다.
왜 기독교는 상징이 필요한가?
- 상징이 주는 신앙적 의미
신앙은 참된 하나님의 상징성을 통하여 우리가 바라보는 믿음의 대상을 의지하고 바라볼 수 있다.
우리가 하나님을 어떻게 확실히 알 수 있겠는가?
하나님을 의지하는 신앙의 대상은 상징적 요소를 통하여 하나님의 실재를 대변하게 된다.
기독교 상징을 통한 의미부여 :
우리가 하나님의 실재를 확인할 수 없기에 우리는 상징적인 요소를 가지고 하나님의 일부분을 투영하며 그 본체에 가깝게 의미부여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요소
1. 하나님에 대한 거룩성 수용
2. 타자로서의 하나님 이해
3. 하나님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의 가능성
부정적인 요소
1. 인간의 이해 방식에 따라 자의적 해석가능
2. 인간의 경험과 이성의 한계로 인한 하나님의 사고에 대한 고착화 우려
우리의 삶에 있어서 신앙의 상징적인 요소가 있는가?
인간의 신앙의 자율성과 지속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특별히 신앙의 폐쇄성을 탈피하고 상징을 통하여 하나님에 대한 이미지와 투영을 가깝게 이해하게 하려는 것이다.
개신교는 상징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가?
가톨릭은 상징을 절대화하여 우상적인 요소가 있고, 개신교에서는
본질적 상징마저 잃어버린 현실의 상황이다.
나는 신앙에 대한 어떤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참된 기독교의 상징의 회복은
예배의 회복, 신앙의 회복, 삶의 회복이다.
우리 각자의 마음속에 참된 신앙의 자리를 갖기 위하여 상징의 의미를 회복하여야 한다.
상징이 고착화가 되면 우상이 될 수 있지만 상징이 사라지면 우리의 마음속에 하나님의 자리를 잃어버릴 수 있다. 특히 개신교는
상징의 신학이 회복되어야 한다. 예배, 찬양, 기도, 말씀에 대한 상징의 본질이 회복되어야 한다.
성서는 과학적인 근거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의 근거를 위한 텍스트로서
하나님을 믿고자 하는 신앙인 들에게 부여하는 하나의 상징적인 의미의 토대로서의 말씀이다.
자신을 어떤 대상물이나 상징적인 의미로
표현하고자 할 때, 대부분 그 자신이 투영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미와 정신이 반영되어져 있음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이기적인 마음과 그릇된 편견 또는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자신을 마음대로 신앙을 판단하고 해석하고는 있지
않는가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신앙은 소유가 아니라 개방이자 열림이다.
신앙은 자신의 삶만을 보호하는 방어막이
아니라 장애물과 난관을 헤쳐나가게 해주는 원동력이다.
신앙을 그러한 참된 의미를 각성하게 하고 자신의 나태한 모습을 새롭게
받아들이려는 믿음의 근거이다.
2. 기호(das Zeichen. sign)
상징을 주기 위한 하나의 신호적인 의미이므로 그 안에 아무런 의미나 뜻이 들어 있지 않다.
기독교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우선 십자가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십자가를 보면 무엇이 떠오르십니까? 적십자나 병원이 떠오르는 분도 계시겠지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회를 생각할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십자가는 고대 근동의 앗수르,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고 로마에서 죄수를 처형하기 위해 나무로 만든 형틀입니다. 십자가 형벌은 죄수의 양팔을 사람의 키보다 약간 큰나무에 못박아 고정 시켜 매달려 있게 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피가 몸의 밑으로 몰리게 되고 혈액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호흡이 빨라지며 심한 고통을 격게 됩니다. 십자가 형벌은 사람을 한번에 죽이는 것이 아니고 3-5일간을 고통 속에서 서서히 죽이는 매우 가혹하고 치욕적인 형벌로써 로마시대에는 정치범이나 반역자들에게만 적용했던 사형법입니다. 그러기에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던 강도들은 단순한 좀도둑들이 아니라 정치범이거나 반정부세력의 테러리스트였다고 보아야 합니다. 이처럼 십자가는 죄와 형벌의 상징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이런 잔인하고, 끔직한 십자가를 교회의 상징으로 여기게 된 원인이 무엇입니까?
우리의 죄를 위해 대신해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셨다는 말씀을 많이 들으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왜 하필이면 그 고통스러운 십자가에서 죽으셨을까요? 차라리 사도바울처럼 참수를 당하시거나, 사도 도마처럼 창에 찔려 죽으시면 간단할 텐데 왜 하필 십자가에서 죽으셔야만 했을까요? 이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신명기 21장 23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23)그러나 너희는 그 주검을 나무에 매달아 둔 채로 밤을 지내지 말고, 그 날로 묻어라. 나무에 달린 사람은 하나님께 저주를 받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너희는 주 너희의 하나님이 너희에게 유산으로 준 땅을 더럽혀서는 안 된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십자가를 포함해서 나무에 매달려 죽는 것은 매우 치욕스럽고 ‘하나님게 저주를 받았다’는 상징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나무에 매달려 죽으신 것입니다. 우리의 죄 때문에 그냥 죽으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저주를 받아 죽으셨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주님이 대신 짊어지신 우리의 죄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으셔야 했을 만큼’ 크고 심각한 죄였습니다.
그러기에 이 은혜를 경험한 우리들은 십자가에서 형벌과 저주를 보기 전에, 우리가 받아야할 형벌과 저주를 대신 짊머지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것이 우리가 십자가를 보면서 눈물 흘리는 이유입니다. 십자가는 바로 주님이 죽으시고, 대신 내가 살게 된 은혜의 상징인 것입니다.
기독교의 오랜 역사와 전통에는 Icon (아이콘) 또는 Symble (심볼) 로 불리는 여러가지 신앙적 상징들이 있습니다.
1. 익투스 (ἰχθύς)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
Ιησους (예수)
Χριστος (그리스도 - 크리스토스)
θεου (데우) 하나님의
Υιος(휘오스) 아들
Σωτηρ (소테르) 구원자
'익투스'라는 단어는 '물고기'라는 뜻입니다.
초대 교회에서는 이 물고기라는 단어를 상징적으로 생각했으며 위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익트스가 되었다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박해를 받았던 초대 기독교인들은 피아식별의 방법으로 물고기 그림을 암호처럼 그려서 활용했고, 물고기를 그린 사람의 뒤를 따라가면 기독교인들의 은신처 '카타콤'에 찾아 갈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익투스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 또는 '주는 나의 그리스도시요 하나님의 아들이시라' 라는 뜻으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Χριστοσ) 라는 헬라어의 단어 첫번째와 두번째 알파벳
영어 스펠링 PX 를 겹합한 것 처럼 보이는 이 아이코은 그리스도 Χριστοσ (크리스토스) 라는 헬라어의 첫번째와 두번째의 알파벳을 결합시켜 놓은 것 입니다.
X 를 헬라어로 [ㅎ키], P 를 [로ㅎ-] 로 부르기 때문에 키로 십자가 입니다.
이 아이콘은 기독교를 로마의 공인 국교로 삼은 '콘스탄틴 황제'가 꿈에서 본 것을 깃발로 삼아 전쟁터에 나갔다고 해서 널리 알려진 문장입니다.
키노문자는 가톨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표식인데 '그리스도'의 헬라어 표기 'Χριστοs'의
첫째자와 둘째자를 겹친 것입니다. 이 글자는 헬라어이므로 '키로'(Chi Ro)로 읽어야지 '엑스 피'가 아닙니다. 이 표식의 유래는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를 공인한 콘스탄틴 대제에서 시작이 됩니다. 콘스탄틴은 312년 로마의 티버강 너머 밀비안 다리에서 막센티우스와 격전을 벌이기
전날 밤 하늘에 십자가가 보였는데 십자가에는 “이 부호를 가지고 정복하라 In this sign, conquer”고 적혀 있었다고 합니다. 이
부호가 바로 키로문자였습니다. 그래서 콘스탄틴은 자신의 헬멧과 군기에 이 키로문자로 장식을 했고, 실제로 전투에서 정말로 승리해서 로마제국의
유일한 황제로 군림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이듬해인 313년 그 유명한 밀라노 칙령을 내려 로마에서 기독교의 박해에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그러기에 키로문자는 이제 로마가 기독교 제국으로 바뀌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똑같은 기독교의 상징이지만 물고기와 키로문자는 서로 완전히
상반된 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전자는 숨어있는 기독교를, 후자는 제국을 점령한 기독교입니다.
(라틴어 :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 예수님의 십자가 명패
'빌라도'가 패를 써서 십자가 위에 붙이니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I.N.R.I.) 이라 기록되었더라
예수의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와 로마와 헬라 말로 기록되었더라
유대인의 대제사장들이 빌라도에게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라 말고 자칭 유대인의 왕이라 쓰라 하니
빌라도가 대답하되 나의 쓸 것을 썼다 하니라
[요한복음 19:19~19:22]
라틴어 성경 요한복음 Evangelium Secundum Ioannem 19:19~19:22
scripsit autem et titulum Pilatus et posuit super crucem erat autem scriptum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hunc ergo titulum multi legerunt Iudaeorum quia prope
civitatem erat locus ubi crucifixus est Iesus et erat scriptum hebraice graece et latine dicebant
ergo Pilato pontifices Iudaeorum noli scribere rex Iudaeorum sed quia ipse dixit rex sum
Iudaeorum respondit Pilatus quod scripsi scripsi
위 라틴어 성경에 나타난 바와 같이 INRI는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 붙인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는 글의 라틴어(로마어) 첫글자만을 딴 것입니다.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 영어 / Jesus of Nazareth, King of the Jews)
고대 그리스어로 예수 'Ιησους' 의 첫번째, 두번째, 마지막 스펠링의 약자
또는 라틴어라 'Iesus Hominum Salvator'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
HIS 는 예수(Jesus) 를 뜻하는 약어 입니다.
희랍어는 'Ιησους'라고 표기하며 ...η (에타)는 라틴어로 표기할 때 대문자로 'H' , σ(시그마) 는 대문자 'S' 가 되며, 양피지로 필사하던 시대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주요단어들을 약자로 기록하던 시절의 유래입니다.
그후, 라틴어로 새로운 의미가 부가되었는데 옮겨쓰는 과장에서 새로운 의미를 더했다고도 추정되며 뜻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Iesus
Hominum
Salvator'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
라틴어에서 I J는 종종 구별되지 않고 혼용됩니다.
예수Iesus 를 지저스Jesus라고 부르게 되는 과정이 이 I와 J가 구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IHS라는 글은 JHS로 표기되기도 했습니다.
[계 1:8] 주 하나님이 이르시되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라 하시더라
[계 21:6] 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을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
[계 22:13]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
알파와 오메가는 헬라어 알파벳의 처음과 마지막 입니다.
세계와 인류의 처음이시고 마지막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단어입니다.
그리스어 알파벳 기호 θ (세-타) theta; 를 하나님으로 표기합니다.
이는 헬라어 '테오스' (하나님 θεοs =Θεου) 의 머릿 글자와도 같으며 세계 각국의 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 국 : 하나님
일 본 : 神
중 국 : 上 帝
미 국 : God
독 일 : Gott
터 키 : Tanrı
프랑스 : Dieu
그리스 : θεός
러시아 : бог
이태리 : Dio
스페인 : Dios
폴란드 : Bóg
아랍어 : الله
페르시아 : خداوند
포르투갈 : deus
우크라이나 : Бог
인도네시아 : Tuhan
마지막으로 소개할 기독교의 상징물은 ‘닭’입니다. 상징에는 긍정적인 기억을 위한 상징물도 있지만 부정적이고, 부끄러운 의미를 가진 상징물도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닭’이라고 생각됩니다. 닭은 예수님의 수제자였던 사도 베드로와 관련이 있는데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기 전날밤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에게 “너희가 모두 나를 버릴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상징에 대한 예시 여행
의심의 여지없이, 라틴 십자가 - 소문자, t 자 모양의 십자가는 오늘날 기독교에서 가장 인정받는 상징입니다. 그러나 수세기 동안 많은 다른 표식, 식별자, 구별되는 표식들이 기독교 신앙을 대표합니다. 이 기독교 상징의 수집은 가장 쉽게 확인 된 기독교 상징의 그림과 묘사를 포함합니다.
라틴 십자가는 오늘날 기독교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인정 받고있는 상징입니다. 어쩌면 예수 그리스도 가 십자가에 못 박힌 구조의 형태 였을 것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십자가가 있었지만 라틴 십자가는 두 개의 나무 조각으로 이루어져 네 개의 직각을 만들었습니다. 오늘날 십자가는 십자가 위에서 자신의 몸을 희생함으로써 죄와 죽음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를 나타냅니다.
십자가의 로마 가톨릭 묘사는 십자가에 아직도 그리스도의 몸을 계시합니다. 이 형태는 십자가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도의 희생과 고통에 중점을 둔다. 개신교 회는 부활 한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강조하면서 빈 십자가를 묘사하는 경향이있다. 그리스도를 믿는자는 예수의이 말씀을 통해 십자가를 식별합니다 (마태 복음 10 장 38 절, 마가 복음 8 장 34 절, 누가 복음 9 장 23 절).
예수 께서 제자들에게 말씀 하셨다. "너는 내 추종자가되기를 원한다면, 네가 이기적 인 길에서 돌아 서서 네 십자가를지고 나를 따라야한다." (마태 16:24, NIV )
예수 물고기 (Jesus Fish) 또는 이시스 (Ichthys)라고도 불리는 기독교 물고기는 초기 기독교에 대한 비밀의 상징이었습니다.
Ichthys 또는 물고기 상징은 예수 그리스도의 추종자로 확인하고 기독교에 그들의 친화력을 나타내는 초기 기독교인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이시스 (Ichthys)는 그리스어로 "물고기"라는 단어입니다. "기독교 물고기"또는 "예수 물고기"기호는 물고기의 윤곽을 따라가는 두 개의 교차 호로 구성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왼쪽으로 "수영"합니다). 그것은 신원을 밝히는 비밀의 상징으로 초기 핍박받은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사용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스어로 물고기 (Ichthus)라는 단어는 " 예수 그리스도 , 하나님의 아들, 구주"라는 약어를 형성합니다.
기독교의 추종자들은 흔히 물고기가 그리스도의 사역에 나타 났으므로 물고기를 상징으로 식별합니다. 그들은 성경 시대의 필수품이었고 물고기는 종종 복음서에 언급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리스도께서는 마태 복음 14 장 17 절에 있는 두 개의 물고기와 다섯 개의 빵 덩어리를 곱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마가 복음 1:17 절에 "와서 나를 따라 오너라. 내가 너를 사람 낚는 어부가되게 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NIV)
비둘기는 기독교에서 성령 또는 성령을 나타냅니다. 성령 은 요르단 강에서 침례받을 때 비둘기처럼 예수님 께 내려 왔습니다.
... 그리고 성령은 비둘기 같이 육체적 인 형태로 그에게 내려 왔습니다. 하늘에서 소리가났다.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이요, 너와 함께하면 나는 기쁘다." (눅 3:22)
비둘기도 평화의 상징입니다. 창세기 8 장 홍수 후에 비둘기가 그 부리에 올리브 가지를 가진 노아 에게로 돌아와 하나님의 심판의 종말과 인간과의 새로운 언약의 시작을 나타 냈습니다.
기독교의 가장 생생한 상징 중 하나는 예수님 이 십자가에 못 박으시기 전에 입었던 가시관의 면류관입니다.
... 그리고 나서 가시관을 뒤틀어 머리에 씌워 라. 그들은 오른손에 스탭을 배치하고 그 앞에 무릎을 꿇고 그를 조롱했습니다. "우박, 유대인의 왕!" 그들은 말했다. (마태 복음 27:29)
성서에서 가시는 종종 죄를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가시 면류관은 적합합니다 - 예수 께서 세상의 죄를 담당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왕관은 기독교의 고난의 왕인 예수 그리스도, 왕의 왕, 그리고 주님의 군주를 상징하기 때문에 왕관도 적합합니다.
기독교에는 삼위 일체의 상징이 많이 있습니다. Borromean Rings은 신성한 삼위 일체를 상징하는 세 개의 연동 서클입니다.
" 삼위 일체 "라는 단어는 라틴어 명사 "trinitas"에서 유래했습니다. "trinitas"는 "three is one"을 의미합니다. 삼위 일체는 하나님이 하나라는 믿음을 나타냅니다.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 님 과 동등하고, 영원한 교제 속에 존재하는 세 분명한 인격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음 구절은 삼위 일체 개념을 표현합니다 : 마태 복음 3 : 16-17; 마태 복음 28:19; 요한 복음 14 : 16-17; 고후 13:14; 행 2 : 32-33; 요한 복음 10:30; 요한 17 : 11 & 21.
Triquetra는 그리스도교의 삼위 일체를 상징하는 3 부분으로 구성된 연상 기호입니다.
성경에서 하나님이 "빛"이신 것에 대한 언급이 너무 많으므로 양초, 불, 램프와 같은 빛의 표현은 기독교의 공통된 상징이되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그에게서들은 메시지이며, 여러분에게 선언합니다. 하나님은 가볍습니다. 그에게는 전혀 어둠이 없다. (요일 1 : 5, NIV)
예수 께서 백성들에게 다시 말씀하실 때, "나는 세상의 빛이며, 나를 따라 오는자는 결코 어두움에 다니지 않을 것이나, 생명의 빛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한 복음 8:12)
여호와는 나의 빛 이요 나의 구원 이시라. 내가 누구를 두려워 할까? (시편 27 : 1)
빛은 하나님의 현존을 나타낸다. 하나님은 불타는 덤불 과 모세 에게 불꽃의 기둥으로 나타나 셨습니다. 하나님의 임재의 영원한 불꽃은 예루살렘에있는 성전에서 항상 켜져 있어야했습니다. 사실 유대인 의 헌신 축제 또는 "빛의 축제"에서 우리는 마카비의 승리와 그레코 - 시리아의 포로 생활 속에서 신성 모독을당한 이후의 성전 재 헌법을 기억합니다. 비록 그들은 단지 하루 동안 충분한 성스러운 기름을 가지고 있었지만, 하나님은 기적적으로 더 많은 정화 된 기름이 처리 될 수있을 때까지 8 일 동안 그의 존재의 영원한 불꽃을 기적적으로 일으켰습니다.
빛은 또한 하나님의 지시와 인도를 나타냅니다. 시편 119 편 105 절은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의 발에 등불이고 우리의 길에 비춰 진다고 말합니다. 사무엘 하 22 장은 주님은 등불 이시며 어둠을 빛으로 변하게하십니다.
데이비드 스타는 두 개의 연동하는 삼각형에 의해 형성된 여섯 개의 별 모양의 별입니다. 하나는 위로 향하고 하나는 아래로 향하게됩니다. 그것은 다윗 왕의 이름을 딴 것으로 이스라엘의 국기에 나타납니다. 유대교와 이스라엘의 상징으로 널리 인식되고있는 반면,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데이비드 스타와도 동일시합니다.
다섯개의 별은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 의 탄생 과 관련된 기독교의 상징이기도합니다. 마태 복음 2 장에서 동방 박사 (또는 현자)는 신생아 왕을 찾아 예루살렘을 향한 별을 따라 갔다. 거기에서 그 별은 베들레헴 으로 예수님이 태어난 바로 그 위치로 인도했습니다 . 그 아이가 어머니와 함께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 그들은 절하고 경배하며 선물로 선물했습니다.
계시록 에서 예수님은 아침 별 (계 2:28, 요한 계시록 22:16)이라고 불립니다.
빵과 포도주 (또는 포도)는주의 만찬이나 성만찬을 상징합니다.
빵은 생명을 상징합니다. 그것은 생명을 유지하는 영양입니다. 광야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날마다 마나를 저장 하시거나 "하늘에서 나는 빵"을 주셨습니다 . 예수님은 요한 복음 6 장 35 절에서 "나는 생명의 떡 이니 나에게 오는자는 결코 주 리지 아니 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NIV)
빵은 또한 그리스도의 육신을 나타냅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께서는 빵을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말씀 하셨다. "이것은 내 몸이 너에게 주어 졌음 이니라."(눅 22:19).
포도주는 인류의 죄값을 지불하기 위해 쏟아 부은 피의 하나님 언약을 나타냅니다. 예수님은 누가 복음 22 장 20 절에서 "이 잔은 내 피의 새 언약 이니 너희를 위하여 부어진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NIV)
믿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희생과 그의 생애와 죽음과 부활에서 우리를 위해했던 모든 것을 기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성찬을 취합니다. 주의 만찬은 그리스도의 몸에 대한 자기 점검과 참여의 시간입니다.
그리스도교의 무지개는 하나님의 신실 하심에 대한 상징이며 다시는 홍수로 지구를 파괴하지 않겠다는 그의 약속입니다. 이 약속은 노아와 홍수에 관한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홍수가 있은 후, 하나님께서는 하늘에 무지개를 놓아 노아 와 언약을 맺으셔서 땅과 모든 피조물을 홍수로 다시는 결코 멸망시키지 않으 셨습니다.
지평선 위로 높이 솟아 오르기 때문에, 무지개는 은혜의 일을 통해 하나님의 충실 함을 완전히 포용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예수 그리스도 를 믿는 신앙을 통한 하나님의 은혜는 일부 소수 영혼들만을위한 것이 아닙니다. 무지개처럼 구원 의 복음 은 모든 것을 포괄하며 모든 사람은 그것을 보도록 권유받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 하사 독생자를 주 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을 것임 이니라. 하나님은 아들을 세상에 보내셔서 세상을 정죄하지 않으시 고 세상을 구원해 주셨습니다. (요한 복음 3 : 16-17, NIV)
성경의 저자들은 무지개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묘사했습니다.
비가 오는 날에 구름 속에있는 활 모양처럼, 모든 주위에 밝기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그러한 것은 주님의 영광을 닮은 모습이었습니다. 그리고 내가 그것을 보았을 때, 나는 내 얼굴에 떨어졌고, 나는 말한 사람의 목소리를 들었다. (에스겔 1 장 28 절, ESV)
계시록 에서 사도 요한 은 하늘 에 계신 하나님 보좌 주위에 무지개를 보았습니다.
즉시 나는 성령 안에 계셨고, 나 앞에 하늘에 앉은 누군가가 앉아있는 보좌가있었습니다. 그곳에 앉은 사람은 재스퍼와 카네 리안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에메랄드를 닮은 무지개가 왕좌를 둘러 쌌다. (계시 4 : 2-3, NIV)
신자들이 무지개를 볼 때, 그들은 신의 충실 함,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은총, 그의 영광스러운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의 삶의 보좌에 거룩하고 영원한 존재가 있음을 상기시킵니다.
끝이없는 원이나 결혼 반지는 영원의 상징입니다. 기독교인 부부 의 경우, 결혼 반지 교환은 내재적 인 유대의 외적 표현입니다. 두 개의 마음이 하나로 결합되고 서로를 영원히 충실히 지키겠다고 약속합니다.
마찬가지로 결혼 계약과 남편과 아내의 관계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신부 인 교회 사이의 관계를 묘사 한 것입니다. 남편은 희생적인 사랑과 보호를받으며 목숨을 바칠 것을 촉구합니다. 그리고 사랑하는 남편의 안전하고 소중한 포옹에서 아내는 자연스럽게 제출과 존중으로 응답합니다. 끝이없는 순환계에서 상징되는 결혼 관계 가 영원히 지속되도록 설계된 것처럼 그리스도와의 관계도 모든 영원을 위해 견디게됩니다.
하나님의 어린 양은 사람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하나님 께서 주신 완전하고 죄가없는 희생 인 예수 그리스도를 대표합니다.
그는 압제 받고 괴롭힘을 당했지만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그는 도살장에 어린 양 같이 인도되었다. (사 53 : 7)
그 다음날 요한은 예수님 께서 자기에게 다가와서 "보라, 세상 죄를지고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 이로구나!"하고 외쳤다. (요한 1시 29 분, NIV)
그리고 그들은 큰 소리로 외쳤다. "구원은 보좌에 앉으 신 우리 하나님, 어린 양에게 달려있다." (계시 7:10, NIV)
성경 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이것은 기독교인의 생활 수첩입니다. 인류에 대한 하나님의 메시지 - 그의 연애 편지 -는 성경의 페이지에 들어 있습니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을받은 것이며의를 가르치고, 책망하고, 교정하고, 훈련하는 데 유용합니다 ... ( 디모데 둘째 3:16)
나는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사라질 때까지, 하나님의 율법의 가장 작은 부분조차 그 목적이 성취 될 때까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마태 복음 5:18, NLT )
십계명 또는 율법은 이집트에서 그들을 이끌어 낸 모세 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율법입니다. 본질적으로, 그들은 구약의 법에서 발견 된 수백 가지 법칙을 요약 한 것입니다. 그들은 영적 및 도덕적 생활을위한 행동의 기본 규칙을 제공합니다. 십계명 의 이야기는 출 20 : 1-17과 신명기 5 : 6-21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십자가와 왕관은 기독교 교회에서 친숙한 상징입니다. 그것은 믿는 자들이 지상에서의 삶의 고통과 시련 (십자가) 후에 받게 될 하늘 (크라운)에서 기다리고있는 보상을 나타냅니다.
시련을 견디는 사람은 복이 있습니다. 시험을 치른 후에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약속하신 삶의 면류관을 받게 될 것입니다. (야고보서 1:12)
알파는 그리스 알파벳의 첫 글자이고 오메가가 마지막 글자입니다. 이 두 문자는 함께 예수 그리스도 의 이름 중 하나 인 "시작과 끝"을 상징하는 모노그램 또는 상징을 이룹니다. 요한 계시록 1 장 8 절에 나오는 용어는 "나는 알파와 오메가 다"라고 주 하느님이 말합니다, "전능하신 분이 누구 시며 누구이며 앞으로 올 것인가?" 요한 계시록 에서 예수님에 대한이 이름이 두 번 더 나옵니다 .
"나는 끝났어. 알파와 오메가, 시작과 끝이야. 목이 말린 사람에게는 생명수 샘물을 마시지 않고 마실 것이다."(계 21 : 6 , NIV)
"나는 알파와 오메가, 처음과 마지막, 시작과 끝이다." (요한 계시록 22:13)
예수님에 의한이 진술은 그리스도교에있어 결정적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분명히 예수님 께서 창조 전에 존재 하셨고 모든 영원 토록 존재할 것임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어떤 것도 창조되기 전에 하나님과 함께 있었기 때문에 창조에 참여했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처럼 창조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영원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의 상징 인 알파와 오메가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영원한 본질을 상징합니다.
치로 (Chi-Rho)는 그리스도를위한 가장 오래된 알려진 모노그램 (또는 문자 기호)입니다. 어떤 이들은이 상징을 "크리스 그램 (Christogram)"이라고 부르며 로마 황제 콘스탄틴 (Constantine) (AD 306-337)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이야기의 진실은 의심 스럽지만, 콘스탄티누스는 결정적인 전투가 있기 전에 하늘에서이 상징을 보았고, 그는 "이 표식으로 정복하십시오."라는 메시지를 들었습니다. 따라서, 그는 그의 군대에 상징을 채택했다. Chi (x = ch)와 Rho (p = r)는 그리스어로 "Christ"또는 "Christos"의 처음 세 글자입니다. Chi-Rho에는 여러 변형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두 글자의 겹침으로 구성되며 종종 원으로 둘러 쌉니다.
Ihs는 1 세기로 거슬러 올라간 고대 모노그램 (또는 문자 기호)입니다. 그리스어 "Jesus"의 처음 세 글자 (iota = i + eta = h + sigma = s)에서 유래 된 약어입니다. 서기관은 문자 위에 줄을 쓰거나 줄을 써 약어를 나타냅니다.
가. 상징으로 가득 찬 예배 :
우리가 예배드리는 자리에는 각 종 상징물들이 놓여져 있다. 십자가, 설교대, 성찬상, 세례대, 촛대와 헬라어 알파와 오메가(Α Ω) 혹은 키로(☧) 등이 그것들이다. 예배 봉사자들은 회중과는 다른 복장(vestment)을 하고 있으며, 설교자는 설교대에 올라선다. 그러면 회중들은 선포될 하나님의 말씀을 기대하며 조용히 앉아서 귀를 기울인다. 함 께 신앙을 고백하고 주기도를 드린다. 그리고 찬송을 부를 때면 회중은 일어선다. 또 한 기도 인도자가 기도를 드릴 때면 마지막에 반드시 “아멘!”이라는 화답을 하기도 한다. 이런 모든 예배의 내용과 행위들이 사실은 상징들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상징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 하다. 어떤 의미에서 모든 종교적인 내 용과 행위들은 상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상징이 아니고서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듯 상징은 우리 예배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 런데 불행스럽게도 이런 상징이 갖는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예배나 신앙생활에서 상징자체를 애써 외면하려고 한다. 그 리고는 상징이 우상처럼 될까 염려가 된다는 엉뚱한 해석을 한다. 상징과 우상을 구 별하지 못한다면, 거기엔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바로 교육이 부재하다는 현 실이다. 잘못 이해하고 잘못 행동할 수 있는 것은 상징 이외에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해서 눈을 딱 감고서 살아갈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가? 중요한 것은 상징의 의미를 제대로 배우는 일 밖에 없다고 하겠다.
나. 예수님과 성경 그리고 역사는 상징을 창조해 나갔다
예수님은 상징적인 용어들을 많이 창조하셨다.
가령 자신을 <선한 목자>(요 10:11), <양의 문>(요 10:7), <세상의 빛>(요 8:12)과 <포도나무>(요 15:1-5)로 말씀하셨다.
제자들에게 대부분 비유로 가르치셨음을 알 수 있다(막 4:34).
이런 비유들은 대체로 상징들로 가득 찬 내용들이었다. 천국에 관한 비유들은 상징어들이다. <밭에 숨겨진 보화>(마13:44)나 <진주 장사꾼>(마14:45-46), <씨 뿌리는 농부>(마13:2-8), 그리고 <가만히 자라는 씨>(막4:26-29)와 같은 이야기들이다. 천국을 일상의 말로 소개하거 나 설명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우리들이 땅에서 상상할 수 있는 그 어떤 것과도 다른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득불 땅에 있는 것들을 가지고 말씀하 셨던 것이다.
역시 성경 안에는 상징 언어가 풍부하다. 역사의 여명기에 하나님의 백성들은 자신들 들의 신앙을 상징을 창조해서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에게는 아직 성전도 없었 고,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도 없었다. 오직 그들은 상징 언어를 만들어 하나님을 만났 고 관계를 맺었다. 가령, 야곱은 하나님을 만난 후 거기에 돌단을 쌓았다. 그리고 거 기에 “하나님의 집” 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창28:10-19). 가령 보통 일반인과 구별 되는 하나님의 사람을 일컫는 <나실인>이라는 사람을 세웠는데, 그들은 머리털을 깎 지않고, 독주를 마시지 않으며, 사체에 손을 대지 않음으로 <나실인>의 지위를 유지 하였다(민6:1-21). 그렇게 함으로 누구든지 그를 보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인정하고 두 려워하였다. 또한 예배를 섬기는 제사장들에게는 특별한 예복(에봇)을 입도록 규정하 였다(출28:1-4).
이런 상징의 발전은 기독교 역사 속에서 풍부하게 이루어졌다. 가장 오래된 예전이라고 할 수 있는 로마 교회의 성직 서품의식도 7세기 후반기에서야 나타나는데, 거기에 보면 특별한 예복(vestments)이나 목사의 목에 두르는 영대(stole) 같은 것이 없었다.
이렇듯 상징은 우리로 영적인 것들에게로 눈을 돌리게 만드는데 크게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상징들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일들이고, 위대한 하나님의 일꾼들 의 관심사, 그리고 중요한 기독교의 가르침들을 기억나게 해 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상징들은 예배드릴 마음을 갖도록 도와준다. 이런 의미에 있어서 상징들은 예배 자들의 순례생활에 있어서 필수인 이정표와 같은 구실을 한다고 하겠다.
다. 상징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 :
일반적으로 상징이란 의사표현의 한 도구로,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하거나 나타내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그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제한적이다. 이렇듯 언어는 무엇인가를 말하지만, 상징은 그것을 나타내 보여준다. 언어가 한계에 부딪히게 될 때, 상징은 말하기 시작한다. 상징이 말하기 시작하면 언어는 침묵을 지킬 수 있다. 우리는 고개를 끄덕이거나, 손을 흔들거나, 반갑게 누군가를 포옹할 수 있다. 물론 이런 행동을 대신해서 언어로 전달한다고 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아마도 우리의 삶에서 많은 아름다움이나 색채를 잃게 될 것이다. 말보다는 이상과 같은 상징적인 행동들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주고 있는 것이다. 가령 우리는 ‘존경’이라는 말을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전달 하고 있는지를 생각할 때, 왠지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느낄때가 있다. 그러나 만일 존경의 표시로 <큰 절>을 올려드릴 수 있다. 그 때 언어가 주는 의미보다 훨씬 더 분명하고 깊은 감동을 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상징들이 신앙생활에 사용 될 때, 얼마나 풍부하고 심오한 신앙으로 이끄는 도구가 되는지 모른다. 우리가 하고 있는 신앙생활이란 무한하고 영원하신 절대자와의 관계맺기 이기 때문에 상징은 가 장 적절한 대화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신앙적인 표현 가운데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 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며, 이런 경우에 상징보다도 더 적합한 도구가 없다고 하겠다.
어느 예배당 제단 뒤 벽면에는 알파와 오메가란 희랍어 글자가 선명하게 조각되어 있었다. 만일 그 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는 교인이라고 한다면, 예배당에 들어섰을 때, 그는 처음이 되실 뿐 아니라, 끝이 되시는 하나님이 여전히 자 신을 사랑하고 계시다는 생각에(계1:8), 그가 조금전까지 자신을 사로잡고 있었던 온 갖 근심과 걱정들이 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라. 예배와 관계된 상징의 종류들 : 상징에는 다양한 종류들이 있다.
첫째, 시간의 상징
생활의 리듬을 암시해 주는 한 주간(레 23:3),
언제나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주일(계1:10),
작은 창조로써 아침(창1:1-31),
활동과 구별되는 시간인 저녁(창1:1-31),
수면과 침묵 그리고 죽음으로써 밤(요9:4)이 그런 것들이다.
둘째, 장소의 상징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임인 교회(행2:46-47),
세상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나그네의 집(시119:54, 고후5:1-3, 벧전2:11),
주님의 살고 피를 겸격으로 나누는 제단(마26:26-28),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는 설교단,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들의 자리 찬양대석, 등이 그런 것들이다.
셋째, 상징적인 사람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인 성도(고전1:2-3),
하나님의 사자(使者)인 목사(딛1:7-9),
천국 음악으로 섬기는 찬양대원(대하29:25-28),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서 직분자들(고전4:1-2),
하나님의 집인 교회를 돌보는 관리인(대상9:17-27), 등이 그런 사람들이다.
넷째, 거룩한 용어
하나님과 대화인 기도(마6:5-15),
마음으로 고백하는 신앙고백(막8:29),
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부르는 찬송(시95:1-2),
말없는 기도인 묵상(시19:14, 119:97),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설교(잠30:5-6, 롬3:2, 벧전4:11),
하나님의 은총에 응답하는 봉헌(시96:8),
하나님의 은총을 비는 인사(삿6:12, 눅1:28) 등이다.
다섯째, 거룩한 행동
세례를 기억하는 십자성호,
화해와 용서로써 악수와 포옹(벧전5:14),
천국으로 향하는 순례로써 행진(시95:2),
권위와 하나님의 능력의 임재로서 안수(막10:16),
하나님의 은총을 선포하는 강복의 손(민6:22-26) 등이다.
여섯째, 예배를 돕기 위해 준비된 상징
두 개의 촛대와 촛불은 주님의 두 성품인 신성과 인성(마16:16, 요1:1-14),
촛불은 세상을 밝히는 빛이신 주님의 임재(시27:1, 요1:4-5),
생명의 근원인 세례대의 물(요한7:37, 행8:38),
승리를 말하는 깃발(렘50:2),
예배를 섬기기 위해서 입는 예복(출28:2-43, 삼상2:18),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돕는 오르간-악기(대하29:25-28),
주님의 사랑의 결정체인 십자가(고전1:18-24) 등이다.
일곱째, 경건한 자세들의 상징
하나님을 높여 드리기 위한 일어 섬(수7:10, 삼상9:26, 사60:1),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하기 위한 앉음(대상17:16-27, 막3:34-35),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구하는 무릎꿇음(시95:6, 엡3:15),
목적지를 향한 걸음(사40:31, 행3:6),
사람 사이의 교량으로서 인사(눅1:28) 등이다.
여덟째, 거룩한 의미를 전하는 글자의 상징
신앙고백을 요약한 물고기란 글자(Ιχθυς는 물고기라는 희랍어인데, ‘예수 그리스도 는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란 신앙고백의 첫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과 나중 되시는 하나님을 의미하는 Α Ω(알파와 오메가)
우리의 구주가 되신 주님을 의미하는 ☧(희랍어 크리스토스의 처음 두 글자)
사람으로 세상에 오신 예수님을 의미하는 ΙΗΣ(희랍어 예수의 줄임말) 등이다.
상징의 특징
모든 상징은 본질적으로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과 관계하는 매체요, 그것이 바라보는 주체를 섬기는 매체이다. 그런데 이런 상징들은 외적이고 내 적인, 그리고 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징의 외적 특징이라함은, 십자가나 어떤 의식을 집례하면서 행동하는 동작과 같은 유형적인 실재를 말하며, 내적인 특징은 한 집단이 그 상징에 부여하는 해석을 말하며, 영적인 특징이란 개인이나 집단이 외적인 상징과 내적인 의미와의 관련 속에서 만들어내는 에너지를 말한다. 가령, 십자가는 고 난과 죽음을 외적으로 암시하는 외적 상징과,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는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해석하는 내적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로써 십자가는 모든 믿는 자들에게 구원의 확신과 기쁨을 주는 영적 에너지를 발산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상징은 이런 특징 외에도, 역설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징은 어떤 사람들 에게는 의미를 분명히 드러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깊은 의미가 감추어진다는 것이다. 마치 예수님의 비유가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진 의미가 아닌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이런 상징들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상징은 의미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상징들 속에서 살고 있는지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우리들의 실제 신앙생활에 있어서도 상징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저런 상징들로 인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고, 우리의 신앙이 자라날 수 있다. 어떤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깊은 영적 의미를 전달해 주는 상징이라는 점에서 더욱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상징은 이렇듯 간결하면서도 심오한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수단이 아닐 수 없다(마13:13-43).
그런데 문제가 있다. 우리 교회가 가지고 있는 많은 상징들 중에는 잘 알려지고 이해 되는 것들이 있는 반면에 그렇지 못한 상징들이 많이 있다는 현실이다. 다시 말하면 상징이 갖는 본래적인 의미를 알지 못할 때 심각한 괴리 현상이 일어난다는 말이다. 상징은 공감대가 형성된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가면서 그 처음 상징의 의미를 바르고 분명하게 이해하지 못할 때, 자칫 우상을 섬긴다는 오해를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징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 다. 그리고 그 상징들을 신앙과 삶에서 나눌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 신앙의 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을 여행할때, 대부분의 교회당 지 붕에 큰 장닭 한 마리가 앉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옆에 앉은 아이가 물을 수 있다. “엄마, 저게 뭐야?” 그 때 “저건 말야,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씩이나 모른다고 부인 했거든(마26:69-75). 그 때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장닭이 세 번 울었지. 엄마는 저 장 닭을 볼때마다, 나는 지금 예수님을 모른다고 부인하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자신을 돌아본단다.” 이렇게 대답할 수 있다면, 그 아이는 그 장닭을 예사롭게 쳐다보지 않을 것이다.
예배에서 말과 상징의 균형과 전망 :
예배에서 말과 상징 사이에 균형이 깨지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예배에서 필요이상으로 말을 많이 하려고 하지만, 실제로 전달되는 의미는 그리 많지 못하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모국어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에 상징이 서 있을 자리를 잃은 것이다.
그리스도인도 아니요, 종교인도 아닌 에리히 프롬은 이런 말을 하였다.
“나는 상징적 언어를 우리 각자가 배워야 할 외국어라고 생각한다.
만일, 우리가 그것을 배우면, 지혜의 의미심장한 출처 가운데 하나인 신화와의 관계에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진실로 그것은 내용과 형식에서 전인류에게 공통적이기 때문에 특히 인간적이라고 하는 체험분야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악수와 인사말이 서로 상충되지 않으면서, 서로의 따스함과 의미를 강화시켜 주듯, 언어와 상징행위는 서로를 보완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현대 기독자들이 말의 홍수속에서 살지만 실제로 그들의 마음에 오랫토록 남아있는 말이란 과연 얼마나 될 까?
오히려 이와같은 우리의 빈약한 언어를 보완해 주기 위해서 상징언어를 사용한다고 하면서 함께 공유하고 익히도록 할 때, 지금보다 훨씬 더 풍성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상징의 의미는 마음속에서 잘 보존될 뿐 아니라, 말보다는 훨씬 더 용이하게 기억되는 장점도 있기 때문이다.
예배에서 말과 상징이 균형을 이루므로 더욱 풍성한 신앙의 의미를 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오늘 교회 지도자들에게 달린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 자료출처 : https://lutherfriend.tistory.com/6246 [lutherfriend.tistory.com]
성경은 믿는 자에게 따를 표적이라고 하셨습니다.
은사자에게 따를 표적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마가복음 16:15-20
또 가라사대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
믿고 세례를 받는 사람은 구원을 얻을 것이요 믿지 않는 사람은 정죄를 받으리라.
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저희가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
뱀을 집으며 무슨 독을 마실찌라도 해를 받지 아니하며 병든 사람에게 손을 얹은즉 나으리라 하시더라.
주 예수께서 말씀을 마치신 후에 하늘로 올리우사 하나님 우편에 앉으시니라.
제자들이 나가 두루 전파할쌔 주께서 함께 역사하사 그 따르는 표적으로 말씀을 확실히 증거하시니라.
믿는 자에게 따를 표적
믿는 자에게 따를 표적이라고 하셨습니다.
은사자가 아닙니다.
여러분은 정말 예수님을 믿습니까?
예수님을 믿는다면 귀신을 쫓아낼 수 있습니다.
믿습니까?
예수님을 믿는다면 새 방언을 말할 수 있습니다.
믿습니까?
예수님을 믿는다면 뱀을 집을 수 있습니다.
뱀은 동물에 속한 뱀이 아니라 사탄을 잡을 수 있습니다.
믿습니까?
예수님을 믿는다면 무슨 독을 마실지라도 해를 받지 않습니다.
믿습니까?
예수님을 빋는다면 병든 사람에게 손을 얹으면 즉시 나음을 얻습니다.
믿습니까?
그렇다면 이제부터 마가복음에서 증언하신 그 말씀을 직접 증거하며 보여주는 믿음의 사람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첫째, 귀신을 쫓아내며
둘째, 새 방언을 말하며
셋째, 뱀을 집으며
넷째, 무슨 독을 마실지라도 해를 받지 아니하며
다섯째, 병든 사람에게 손을 얹은즉 나으리라
귀신(鬼神)을 쫓아내며
민간신앙은 귀신이란 죽은 조상의 혼(넋)이라고 합니다.
특별히 자기 수명을 다 살지 못하고 죽은 사람의 혼이 귀신이 되어 자기 수명만큼 활동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죽은 조상의 혼이 아니라 사탄의 수하에서 활동하는 보이지 않는 악마와 같은 존재를 말합니다.
귀신은 거짓된 말씀을 들고 등장합니다.
진리가 들어오면 거짓된 말씀은 내 안에서 사라집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야 합니다.
다른 어떤 이름이 아니라 예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야 합니다.
귀신(φάντασμα) :
예수 : 죄에서 구원할 이름
이름 : 오노마(όνομα)
- 말씀
이름 = 말씀 = 오노마 4번
귀신 = 비진리의 영(다이모니온) 5번
새 방언을 말하며
거짓 방언(비진리)은 내 입에서 나오지 않고 오직 그 새 방언(진리)만 내 입에서 흘러 나옵니다.
새 방언(새로운 소리 = 진리) 7번 카이노스 글롯사
뱀을 집으며
예수를 장대에 높이 올려 죽이고 진짜 그리스도이신 예수를 진리로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율법으로 오신 예수 상징 = 뱀(오피스는 옵타노마이에서 유래) : 표피적을 보는 것
- 뱀을 집다에서 집다는 들어올리다의 아이로라는 단어를 씀.
-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자기부인으로 산자가 되면...
무슨 독을 마셔도 해를 받지 않음
-> 이제 사망이나 적신이나 곤고나 그 어떤 것도 나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을수 없게 되며
- 독은 율법으로 죽고 진리로 사는 거듭남을 말함. 다나시모스
- 다나시모스는 다나토스에서 유래
;진리로 보고 듣고 말하게 되면 피조세계의 모든 것을 통해 그 율법적 행위는 결국 사랑으로 완성되기
때문에 진리를 가진 자에게 무엇이 그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을 수 있겠습니다.
병든자에게 손을 얻으면 나음
나를 통해 그 진리가 다른 사람에게 흘러가면 눈먼자 , 앉은뱅이, 귀머거리였던 그 이웃들까지도 회복의 은혜를 누릴 것이다.
첫째는 나자신과 그 생수에 강이 내 배에서 흘러 넘침으로 비진리속에서 허우적되던 영적으로 병든 자들이 낫게되는 기적이 내 주변에서 일어납니다.
- 병든자 : 론뉘미(4517)는 강하게 하다,강하다
신약성경 행 15:29에 한 번 나오는데 ‘우상의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멀리 할찌니라 이에 스스로 삼가면 잘되리라 평안함을 원하노라 하였더라’(브니엘 사전 참조)
진리안에서 안녕과 평안을 가지지 못한자.
- 손 : 케이르로 능력, 진리, 군대, 하나님의 사랑과 구속행위 등
- 얻으면 : 위에 것으로 덧입다. 에피티데미.
- 나으리라 : 칼로스 에코. 참선으로 마음에 간직하게 되다.
세대주의(dispensational)란 용어는 세대 혹은 시대를 뜻하는 dispensation이란 말에서 나왔는데 이 말은
헬라어의 οικονομαι(오이코노마이)란 말에서 나왔다.
οικονομαι는 οικοs (오이코스;집)와
νομοs(노모스;법)을 합쳐서 된 말로서 번역하면 집을 다스리는 법 이란 뜻이다.
이 세계를 하나님이 운영하는 집으로
본다고 할 때 세대주의는 시대에 따라 하나님이 집을 운영하시는 방법을 달리 했다고 믿는데, (마치 아버지가 자식을 다루는 방법이
유년기 장년기 청년기 등 성장 과정에 따라 다르듯이) 이 구별되는 시대를 세대(dispensation)라고 부르며 세대주의는 이
세대 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세대주의자들은 세대의 구분이 세대주의 본질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세대주의는 언약신학이나 오순절 신학처럼 하나의 신학 체계이기는 하지만, 스코필드 이후 많은 교리적 발전을 이루고 있는 오늘날
상황에서는 세대주의가 어떤 신학인가를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세대주의자란 용어는 세대 주의를 주장하는 자신들까지도 여러 용어로
사용할 정도로 그 의미는 혼란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대주의 역사가 잘 나타난 현대 미국 복음주의와 근본주의에 잘 나타나고
있는데 그들은 모두 동일한 점을 가지고 있다.
그 신학적인 공통적 특징을 요약한다면, 1)성경의 권위에 대한
확신 2)교회의 독특성 주장 3)우주적인 교회의 실재 강조 4)하나님 구속의 계획에 있어 성경 예언의 중요성 강조 5)종말론에
있어 전천년설 지지(환난전 휴거설) 6)이스라엘의 미래 믿음 7)세대에 따라 하나님께서 인간을 다루시는 방법이 다르다는 사실 강조
등이다.
이들은 세대를 나눈다는 의미에서 세대주의(dispensationalism)라고 불리지만, 세대주의의
최초 주창자 이름을 따서 다비주의(darbyism)라고도 하고, 이스라엘과 교회의 운명을 별개로 본다는 의미에서
이중운명주의(dual destinationism)라고도 하고, 이스라엘과 교회를 위한 의의를 분리하여 해석한다는 의미에서
이분수신자주의(addressee bifurcationism)이라고도 한다.
세대주의의 발전과 동향, 세대주의의 성경 해석 방법, 세대주의의 종말론, 세대주의 신학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등 더 자세한 내용을 보기 원하면 이단자료 실에 있는 세대주의에 대한 소고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뉴 에이지 운동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다. 사람들은 서로의 행복을 위하여 함께 모여 살게 되었는데 이러한 결합체를 사회(社會) 라고
부르며, 사회가 더 발전한 것이 곧 국가(國家) 이다. 사회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것은 문화(文化) 와
문명(文明) 이다. 문화 는 사회의 정신적인 영역을 말하며, 문명 은 사회의 물질적인 영역을 가리킨다. 문명은 돌이나 불을
사용했던 원시 사회로부터 컴퓨터와 인공위성을 사용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기술적이며, 물질적인 발전을 말한다.
그러나 문화 는 그 사회의 정신적인 상태의 표현으로서 전통적인 풍속과 예술, 음악, 시, 춤, 문학, 건축, 철학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그 사회의 구성원들의 정신세계에 담겨진 중심 내용의 표현이라 하겠다. 어느 한 사회의 문화를 보면 그
사람들의 정신영역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인간들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진다. 가치관은 인생관, 세계관, 국가관,
가족관에 따라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가치관은 종교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다.
종교(宗敎) 는 신(神)과
인간과의 관계를 말하는데 그 사회가 갖고 있는 종교에 따라 가치관이 형성되며, 그 가치관은 문화를 낳고, 문화는 문명을 지배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신(神)과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이나 불행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모두
종교인이다. 세계의 대표적인 종교로는 힌두교의 다신론으로부터 불교의 부처신과 유교의 조상신 그리고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의
유일신이 있다. 여기에 수없이 많은 미신과 같은 무속신앙까지 합치면 종교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혹, 신(神)이 없다 고
생각하는 무신론자(無神論者)가 있다면, 그는 자기 스스로 자신이 신(神)의 자리에 앉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며, 그가 갖고
있는 가치관이나 문화의 배경은 이미 그의 조상이나 여러 사람의 종교에 영향을 받은 또 하나의 잡(雜) 종교인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 모든 종교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는데 그것은 조물주(造物主) 즉,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종교와 피조물(被造物)을
신격화(神格化)한 종교(사실상 이것은 피조물에 대한 숭배로서 종교라고 할 수 없음)이다.
뉴에이지(New
Age) 란 영어로 새 시대 란 뜻이다. 이것은 새로운 신흥 종교 운동으로서 겉으로는 세계의 평화를 외치며 모든 종교의
통합(이는 피조물 숭배종교의 결합으로 하나님을 대적하는 종교적 쿠데타임)을 주장하고 있는데, 뉴에이지는 현대판 무신론 사상으로써,
나도 하나님, 너도 하나님, 우리는 모두 하나님이다 라고 인간 스스로를 신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그들의 신(神)은
창조주 하나님을 대적하는 타락한 천사인 사탄으로서 사탄의 지배를 받아 사탄의 가치관을 형성하여 사탄의 타락한 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문명을 지배하고 결국에는 그의 목적인 인간과 가정의 행복, 사회, 국가, 세계 모든 것을 파괴시키는 것이다.
종교다원주의
『종교 다원주의』 <정승원교수의 현대신학해설> 종교 다원주의나 타종교간의 대화 문제는 최근에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포스 트모던 시대에 들어와서 어느 때보다 더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 전에는 타종교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하느냐 혹은 어떤 것이 다르고 어떤 것이 비슷하냐 식의 생각을 해 왔다. 즉 한 쪽 종교 입장에서 다른 쪽을 바라보았다. 그러나 종교 다원주의에서는 한 쪽 입장에서 다른 입장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들 입장에서 자신의 종교만을 보는 것을 요구한다. 즉 다른 종교를 판단할 권리가 없다는 것이다. 나름대로의 모든 종교들의 정당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 종교의 관점에서 다른 종교들을 보는 것은 스스로 우월성 내지는 절대성 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 다른 종교들은 그 한 종교처럼 돼야 한다는 것이 전제된다. 그것은 바로 다원성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포스트 모던이즘의 특징 중 하나는 어떤 한가지 절대적 진리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다. 또한 텍스트에 내재하는 고유의 의미를 부정한다. 어떤 초-설화적(meta- narrative) 의미를 부정한다. 이러한 특징은 바로 종교 다원주의에도 연결이 된다. 한 종교의 절대적 진리란 있을 수 없고, 한 종교의 고유의 의미란 없고, 다른 종교들이 따라야 할 초 설화적 혹은 초 신학적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의 유일성 혹은 하나님 되심은 종교 다원주의의 No. 1 敵인 것이다. 한마디로 다원주의는 어떤 동질성(consensus)을 찾는 것이 아니라, 이질성(dissensus)을 인정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tolerance)을 주창하는 것이 종교 다원주의인데 이 관용이 란 한 쪽 편에서 다른 쪽을 관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둘 다 관용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절대적 진리로 관용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 어 하나님이 참 신이라는 기독교의 가르침과 알라가 참 신이라는 이슬람의 가르침은 둘 다 관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두 주장은 절대적 진리는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는 종교 다원주의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보다는 다원주의라는 것이 절대적이라는 일종의 교조주의적 색채가 있다고 하겠다. 종교 다원주의 대표 주자인 죤 힉(John Hick)은 기독교의 성육신의 교리야말로 다원주의의 최대의 걸림돌이라고 말한다. 그는 주장하기를 모든 종교가 궁극적 실재 (ultimate reality), 즉 신을 추구하고 있다고 한다. 단지 문화적 역사적 배경만 달랐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모든 종교가 정당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예수-중심의 모델에서 하나님-중심의 모델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윌리암 스미스 (William C. Smith)는 진리란 객관적이 아니라고 한다. 더욱이 진리란 명제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어떤 객관적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이란 의미는 단지 각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또한 인격적으로 다가오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는 주장하기를 종교의 진리 혹은 실재가 무슨 뜻이었냐 라는 역사적 질문은 현재의 진리와 실재에 대한 신학적 질문과 다르다고 한다. 즉 역사적 질문을 버리게 되면 참다운 종교 다원주의가 성립할 수 있으리라고 주장한다. 그는 또 주장하기를 만약 하나님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 나타났다면 그것은 하나님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내게 나타난 것이라고 한다. 데이비드 트레이시(David Tracy)는 주장하기를 인간의 모든 지식은 제한적이며 다각적(perspectival)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대화는 이러한 제한적이고 다각적인 특징을 인지한 포스트모던 지식 소통이며 취득 방법이고 대화는 언어와 역사의 애매성을 해석하는 하나의 방편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종교가 대화에 있어서 우월한 입장에 있던지 대화를 일방적으로 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종교 다원주의를 실재로 받아들이고 그 실재를 텍스트로 놓고 대화를 해석의 방편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종교의 해석을 절대적인 것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웨슬리 아리아라자(S. Wesley Ariarajah)는 주장하기를 기독교를 다른 종교보다 우월하게 보는 것은 영적 테러리즘이라고 한다. 그는 배타적 성경 구절들을 재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절대적 의미의 진리란 어느 누구도 알 수 없는 것이니, 단순히 바울이나 성경이 그렇게 말했다고 예수가 절대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도 자신들이 믿는 기준에 의해 비슷한 주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경의 절대적 주장은 단순히 상대적일 뿐이라고 아리아라자는 주장한다. 그러나 종교 다원주의가 풀어야 할 두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는 여러 종교가 어떻게 다 정당 혹은 타당(legitimate)할 수 있는가? 즉 다원성을 위하여 각 개체성 (particularity)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둘째로 어떤 개체성이 주어진다고 해도 상호 연관성이(consensus)가 없으면 상대주의에 빠지게 될 수 있지 않은가? 즉 서로간의 아무런 관계없이 개인적 특수성만을 가지면 페쇄적이 될 수 있고, 아니면 너도 맞고 나도 맞고 하는 무관심적 상대주의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떤 절대적 기준이나 추구하는 바가 있어야 하거나, 아니면 모든 종교가 중립적인 열림(openness)을 순수하게 유지해야 한다. 다원주의는 결코 어떤 절대적인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순수한 열림이 가능한 것인지 의심할 만하다. 왜냐면 그 열림을 유지하는 데는 어떤 기준이나 조건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종교 다원주의는 모든 종교가 관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절대적이지는 않아도 나름대로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legitimacy)을 모든 종교들이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어떤 모양이든 각 종교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다원주의가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각 종교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은 다른 종교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나 허용되는 것이다. 각 종교들의 유일성 혹은 절대성은 불허한다 하면서도 다원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각 종교들이 어떤 식으로든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성을 부정하지만 한편 상대적 차원에서 자기 종교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다원주의를 위해 각 종교의 상대적 진리성 내지는 정당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 진리성 혹은 정당성이 가능한지 의심스럽다. 즉 모든 종교들이 다원주의 아래에서 나름대로의 진리성 혹은 정당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사실 ‘상대적 진리성’이라는 말 자체가 모순인 것이다. 왜냐면 진리성이란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당성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종교 다원주의자들은 이러한 모순을 탈피하기 위해 각 종교들의 진리성 보다는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도 어떤 근거가 있어야 한다. 만약 근거가 없다면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다’라는 말이나 ‘다원주의는 진리가 아니다’라는 말의 차이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 다원주의 자체가 진리라는 것을 어떤 식이든 증명해 보였다 하더라도 그것 자체는 많은 종교적 신념들 중에 한가지 일 뿐이다. 이러한 신념은 상대적 신념이 아니라 절대적 신념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다원주의가 정죄한 절대주의를 스스로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 다원주의도 일종의 한 종교의 모습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종교 다원주의가 진리이기 위해서는 그것의 절대성이 주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이 상대주의를 주장하는 다원주의도 어떤 절대적 기준이나 신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다원주의가 원하는 ‘100% 순수한 열림’이란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종교가 다 옳을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다원주의는 무의미한 상대주의에 빠지던가 아니면 다원주의를 포함해서 각 종교들이 자신들만의 절대성을 주장함으로 서로간의 어떤 반위성(antithesis)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기독교와 불교가 반위적이고 불교와 이슬람교이 반위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다원주의가 ‘궁극적 실재’ 혹은 진리라고 주장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반위적 특징을 지닌 종교적 신념 일 뿐이다. 혹 다원주의적 발상에서 모든 종교는 진리라고 주장한다면 굳이 진리를 위한 대화를 할 필요 가 있겠는가? 즉 다원주의를 굳이 주장할 필요가 있겠는가? 어떤 면에서는 반위적 종교의 모습이 더 종교적이라 할 수 있다. 다원주의라는 미명아래 모든 종교를 사로잡으려는 것은 오히려 나름대로 절대성을 추구하려는 각 종교들의 진지한 종교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또한 종교들의 고유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물론 우리가 믿는 신앙은 다른 종교들과 같은 범주에 속한 것이 아니다). 종교 다원주의는 새로운 사상이 아니다. 이것은 일종의 다신론주의이며, 구약이나 신약 당시 사회에서도 다원주의적 종교의 세계였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성경은 이러한 것을 우상으로 정죄하고 있다. 또한 다원주의에서 추구하는 궁극성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어떤 나름대로의 ‘초월적 절대성’이다. 이러한 절대성은 인간이 추론(postulate)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다원주의는 모든 것을 관용하는 것 같지만, 다원주의를 믿지 않는 자는 가차없이 정죄한다. 기독교에서처럼 사랑이라는 것이 없다. 기독교는 절대적 진리를 주장하는 동시에 모든 자를 사랑한다. 그러나 다원주의는 다른 모든 종교가 다원주의가 되기를 원하면서 그 다원주의(즉 다원주의라는 종교)는 다른 종교가 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는 독단을 갖고 있다. 다원주의는 ‘상생(相生)’이 아니라 사실은 ‘독생(獨生)’인 것이다. 이런 독단적인 발상은 인간의 자율성을 기초로 한 인본주의에 근거한 것에 불과하다. 고후2:14-16에 “항상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우리는 구원 얻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 이 사람에게는 사망으로 좇아 사망에 이르는 냄새요 저 사람에게는 생명으로 좇아 생명에 이르는 냄새라 누가 이것을 감당하리요”라고 말씀한다. 복음은 구원 얻는 자들에게만 향기가 아니다. 망하는 자들에게도 향기가 된다. 그리스도의 복음은 다른 종교들에게는 악취요 우리에게만 향기가 아니라 모두에게 향기가 되는 것이다.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이 향기가 사망에 이르는 냄새가 되는 것이다. 우리 기독교 진리 자체가 타종교를 망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기독교 진리는 그들에게도 구원의 소식인 것이다. 단지 그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그들 스스로 멸망을 쌓고 있는 것이다. 모든 종교들의 희망은 종교 다원주의가 아니다. 복음뿐이다. 참 진리의 향기를 맡는 길 뿐이다. 진리 자체가 동시에 악취이며 향기일 수가 없다. 진리는 언제나 향기일 뿐이다. 문제는 종교 다원주의자들에게 있는 것이지 기독교 진리에 있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과 벨리알이 동시에 참 신이 될 수 없다. 동시에 둘이 참 신이라고 하는 것은 참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과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향기를 타종교에도 전해야 한다. 이것만이 그들이 살길인 것이다. 이것이 없다면 상생(相生)이 아니라 전멸(全滅)인 것이다. 기독교는 우리만 살자는 것이 아니다. 다 같이 살자는 것이다. 그리스도만이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
|
라브리공동체(L'Abri, 쉼터)
복음주의 기독교 공동체조직이다.
1955년 6월 5일 프란시스 쉐퍼와 그의 부인 에딧이 스위스 휴모즈 수르 올온에 세운 공동체이다.
여행자를 위한 사역지로 또 철학적 종교적 믿음을 논의하기 위한 포럼으로서 자신들의 알프스 집을 개방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오늘날 전 세계 여러 지역의 라브리공동체는 사람들이 여행할 때 머물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라브리 국제 주소록
https://www.labri.kr/etc/international
1.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
일찍이 창세로부터 계시되어온 하나님의 구원은 “여자의 후손”으로 태어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원의
정점이 되는 예수 그리스도가 성 육신 하는 데에는 한 여인의 희생적인 순종이 있었다. 한 때는 세상을 풍미하던 다윗 가문 출신으로
벽촌에서 가난하게 살고 있는 순박한 처녀로써 수 천년 동안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열망하며 기다리던 메시야를 잉태하게 된
마리아인 것이다.
남자와 장래를 약속하고 새로운 생활에 대한 꿈에 부풀어 있는 마리아에게 있어 임신이란 모진 수모와 불행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더욱이 간음한 자는 돌로 쳐 죽이는 율법의 시대에 처녀가 잉태한다는 것은 곧 죽음을 각오하여야 함을 뜻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을 알면서도 마리아는 자신의 잉태 사실을 하나님의 은총으로 받아들인다. 자신의 유익을 포기하고 하나님의 영광만을 구하는 마리아의 겸손한 태도는 죽음까지도 불사하는 확고한 신앙의 결단이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마리아는 무사히 약혼자 요셉과 결혼하고 아기 예수님을 낳아 평범한 생활을 하게 된다.
예수님이 메시아 이심을 알고 있었던 마리아는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인간적인 요구를 하는 조급함을 보인다. 또한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건강을 돌보지 않고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예수님을 염려하여 집으로 데리고 가려는 불신앙의 모습도 보인다. 육신에 속한 자로서의 본능적인 모성과 메시아에 대한 신앙이 교차하고 있는 마리아의 마음에 갈등과 혼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세상 만민을 구원할 메시아를 낳았지만 마리아 역시 율법 앞에 죽을 수밖에 없는 죄인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러한 마리아에게 일생 최대의 사건이 발생한다. 사랑하는 아들 예수가 사형을 당하게 된 것이다. 삶의 한 기둥이었던 아들이 처형되는 광경을 지켜보는 그 시간은 마리아에게 가장 처절한 순간이었다. 그러나 이 최악의 상황은 최상의 축복의 문으로 들어서는 첫걸음이었다.
갈보리 십자가에 달린 예수를 보는 마리아의 마음에는 자신의 아들이 아닌 구세주의 모습이 새겨진다. 그녀의 아들 예수의 육신은 처참하게 죽어갔지만 그녀의 심령 속에 영원한 메시아로 살아있게 된 것이다.
그 후 오순절날 마가의 다락방에서 기도하던 마리아는 성령 충만함을 받고 새 사람이 되어 참으로 “하나님을 기뻐하는 삶”을 살았다. 하나님을 위하여 믿음으로 선택한 고난의 길은 영광으로 이어진다. 선한 것이라고는 날 것 같지 않던 나사렛에서 보잘 것 없는 존재로 묻혀 있던 마리아가 선택한 고난의 길은 영생의 문으로 들어서는 입구였다.
겸손한 자를 높이시는 하나님의 은혜로 마리아의 이름이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올랐듯이 오늘날 주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우리도 주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실천할 때 생명책에 그 이름이 더욱 선명해질 것이다.
2. 마가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
성경에 그 이름을 남긴 수 많은 사람들 중에서 자신은 물론 명단 속에서 그의 온 집안까지 구원으로 인도한 신앙인들이 있다.
그들의 명단 속에서 우리는 마가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이름을 찾을 수 있다. 성경에는 마리아에 대하여 오직 한 번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행12:12). 그러나 우리는 단 한 군데에 농축되어 있는 마리아의 신실한 삶을 어렵지 않게 그려볼 수 있다. 마리아는 그녀의 가족은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구원의 장을 제공하고 아들 마가를 주님의 종으로 키움으로써 초대 교회의 숨은 공로자 역할을 한 여인이다. 바울의 동역자인 바나바의 누님이기도 한 마리아는 남편과 사별하고 예루살렘에서 홀로 자녀를 키우며 살았다. 재산은 많았으나 과부로서 쓸쓸히 살 수밖에 없는 처지인 마리아는 하나님께서 함께 해 주심으로 조금도 외롭지 않았다.
또한 마리아에게는 무엇보다도 주 안에서 신앙으로 양육하는 아들 마가가 있었기에 오히려 보람과 기대에 찬 나날들을 보낼 수 있었다. 경건한 마리아는 일찍이 하나님을 위하여 자신의 소유를 활용하여 드리기를 자원하였다. 집을 개방하고 손님 접대하기에 인색하지 않은 마리아의 [실천하는 신앙]은 예수님의 방문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마리아의 집의 큰 다락방은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만찬을 하시는 장소가 되었다. 마리아 스스로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예수님께 장소를 제공하고 후하게 대접하던 그녀의 행위가 주님의 성만찬을 예비한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또한 그 다락방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약속하셨던 성령 강림이 실현된 역사적인 장소가 되기도 하였다. 그 후에도 계속 마리아의 집은 모일 장소가 없던 성도들에게 예배처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오직 그리스도만을 바라보는 마리아의 믿음과 용기는 모든 이해타산과 생사를 초월할 수 있었다. 마리아의 집에는 성도들은 물론 사도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고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그녀의 아들 마가는 자연스럽게 하나님의 일꾼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갈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녀의 집안 일을 돕는 하인들에게까지 복음을 접하게 함으로써 식구들 모두가 구원받는 축복을 받게 되었다.
드러내지 않고 겸손히 주님의 말씀을 생활 가운데 실천하며 주님께 모든 것을 드린 마리아의 헌신은 믿음의 결단이었다. 하나님께서는 마리아의 아름다운 믿음에 축복하시어 마리아 자신은 물론 그 자녀와 온 집을 영화롭게 하셨다.
오늘도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주인이 되시고 우리 집의 주인이 되시어 함께 하시고 복 주시기를 원하신다. 마리아가 그러했던 것처럼 주님을 영접하고 하나님께서 내게 허락하여 주신 모든 것을 [내 것]이 아닌 [하나님의 것]으로 돌려 드리는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이 바로 내 삶의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3. 막달라 마리아
[막달라 마리아]는 성경에 등장하는 여러 명의 마리아 가운데 예수님의 사역을 도운 막달라(Magdalene)출신의 마리아를 일컫는다.
갈릴리 호수 서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막달라는 염색업과 직물업이 발달한 도시로서 특히 다른 지역들보다 도덕적으로 부패한 곳이었다. 이러한 곳에서 출생하여 성장한 마리아의 생활에 대하여 성경은 아무런 언급도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예수님을 만날 당시 일곱 귀신에 들린 채 고향을 떠나 방랑하던 그녀의 처지를 통해 그녀의 생활이 결코 평범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많은 괴로움과 고통의 나날을 보내던 마리아의 영혼은 예수님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인생의 장을 펼치게 된다.
그녀를 방탕한 길로 몰아 넣던 일곱 귀신이 다 떠나가고 육신의 병은 물론 정신적인 이상까지 깨끗이 고침을 받아 순수하고 온전한 신앙생활을 시작한다. “마귀의 종”에서 해방되어 “주님의 종”으로 충성을 다하는 마리아의 헌신적인 새 삶이 시작된 것이다.
큰 은혜를 받고 많은 용서받은 사람은 진실 한 사랑으로 보답한다. 예수님을 만난 이후 마리아는 늘 주님의 곁을 따르며 자신의 소유를 모두 바쳐 그 사역을 돕는다. 고향을 떠나 객지 생활을 하고 있는 여자로서 기업이 있을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 반 동안 계속되는 예수님의 사역을 도왔다는 것은 주님을 향한 그녀의 사랑과 충성이 얼마나 컸는가를 보여준다.
예수님께 대한 마리아의 일관된 사랑은 십자가 죽음과 부활 사건을 통해서도 드러나고 있다.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마저 모두 뿔뿔이 흩어져 도망한 위기의 상황에서 마리아는 아무 두려움 없이 “죽음의 자리”에 동참한다. 그러나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은 아직 마리아에게는 사랑하는 한 인간의 죽음이었을 뿐이다.
그 후 예수님의 묘를 지키던 마리아는 부활하신 주님을 최초로 목격하는 영광을 누린다. 다시 살아나시어서 자신의 이름을 정답게 불러주시는 예수님의 음성에 마리아는 놀라움과 기쁨에 어쩔 줄을 모른다. 그러나 죄 중에 잉태되어 죄악 중에 출생한 한 죄인일 뿐인 마리아는 예수님을 알아본순간 “랍오니”(선생이라는 뜻)라고 부른다.
성령 세례를 받지 못한 “육에 거한 인간”은 자신을 구원해 주실 메시야를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예수님의 부활 사건 이후로 마리아에 대한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주님을 향한 뜨거운 사랑을 보인 마리아가 오순절날 성령 강림을 기다리며 기도하던 여인들 가운데 함께 있을 것임을 우리는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여인으로서의 평범한 행복을 추구하기 보다는 좁고 험난한 생명의 길로 택한 마리아의 이름은 예수님을 따르던 여성들 가운데 항상 첫번째로 언급된다. 마리아가 경험한 것처럼 오늘날도 귀신을 쫓아내고 병고침을 받는 신유의 역사는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다.
영혼이 잘 되고 강건해지는 축복을 믿는 자들 모두가 체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리아가 그의 변화된 삶을 통해 보어주듯이 예수님 안에서 새롭게 된 우리들도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주님께 헌신하고 사랑을 실천할 때 생명의 면류관을 받게 될 것이다.
4. 베다니의 마리아
예루살렘에서 약 3km 떨어져 있는 베다니는 문둥병자와 소외된 사람들이 격리되어 사는 강림산 기슭에 위치한 마을이었다.
이처럼 사회로부터 냉대받은 베다니 마을에서 마리아는 마르다와 나사로와 함께 단촐하게 살고 있었다. 언니인 마르다는 실제적이고
활동적이었던 반면 사려깊고 내성적인 성격을 소유한 마리아는 영적으로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 집안 일을 도우며 마음 속에 항상
메시야를 소망하던 마리아의 생활은 예수님을 만남으로 급격히 변화되기 시작했다. 베다니에 오신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가운데 마리아는
메마른 심령에 생명의 생수를 공급받게 된 것이다. 능력있는 천국 복음을 증거하시고 많은 이사와 기적을 행하시는 예수님의 가르침은
마리아에게 인간의 격이 아닌 메시야의 말씀으로 받아 들여졌다.
예수님의 발치에 앉아 영적인 제자로서 신앙을 성숙시켜 가고 있던 마리아에게 그 믿음을 흔들어보는 일이 발생하였다. 집안의 생계를 맡고 있는 오빠 나사로가 중병이 들어 죽은 것이다. 가장 역할을 하던 나사로의 죽음은 마리아에게 큰 충격일 수밖에 없었다. 비탄에 잠긴 채 눈물을 토해내는 마리아의 호소는 예수님의 마음에 깊은 감동으로 다가가서 마침내 죽은 자를 살리는 기적을 낳았다.
이 사건을 통하여 마리아의 마음에는 예수님이 메시야라는 사실과 부활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생겼다. 마리아의 마음 깊이 뿌리 내린 믿음은 현실적인 행동으로 표출된다.
자신의 삶 속에서 구원의 역사를 펼쳐 보여주시는 주님께 마리아는 가장 귀중한 소유를 아낌없이 드림으로 감사와 믿음을 나타내었다. 예루살렘 입성을 앞두고 베다니에 오신 예수님께 마리아는 옥합을 깨뜨리고 향유를 주님의 머리와 발에 부음으로써 신앙고백을 대신한 것이다. 결혼 지참금으로 사용할 향유를 부은 것은 곧 여자로서의 행복한 미래를 포기하고 주님만을 사랑하며 헌신하겠다는 의지였다. 또한 이것은 예수님의 장례를 준비한 것이기도 했다.
예수님과의 교제를 통해 영적 통찰력이 개발된 마리아는 주님의 제자들조차 이해하지 못한 십자가 고난의 의미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마리아의 행위에 대하여 예수님께서는 “온 천하에 어디서든지 이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이 여자의 행한 일도 말하여 저를 기념하라” (마태복음 26:13)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다.
소외받는 비천한 여인 마리아가 그 이름이 영원토록 기억되는 존귀한 신앙으로 남게 된 것은, 믿는 자 모두에게 커다란 교훈을 주고 있다. 우리로 하여금 영의 양식인 생명의 말씀을 늘 대하고 이를 통하여 주님과 끊임없이 교제하여야 함을 깨닫게 한다. 또한 우리의 삶을 주님께 드리고 범사에 감사의 향기를 발하는 생활을 해야 함을 가르쳐준다.
그리스도의 향기가 넘치는 성도를 마지막 날 예수님께서는 기쁨으로 칭찬하며 맞아 주실 것이다
1. 그리스도에게 배우는 사람
2.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사람
3. 그리스도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
안디옥교회는 두 가지 특징을 갖습니다.
첫째는 최초의 이방인 교회
둘째는 최초로 그리스도인이라는 칭호를 들은 교회
"그리스도인" 이라는 말이 신약 성경에서 세 번 사용되었습니다.
첫째는 사도행전 11:26
만나매 안디옥에 데리고 와서 둘이 교회에 일년간 모여 있어 큰 무리를 가르쳤고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
둘째는 사도행전 26:28
아그립바가 바울더러 이르되 네가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도다.
셋째는 베드로전서 4:16
만일 그리스도인으로 고난을 받은즉 부끄러워 말고 도리어 그 이름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예화)
한국의 선교 역사에는 수많은 신앙의 거인들이 있었다.
한국 초기 선교사로서 연동교회의
담임목사였던 게일은 자신이 만난 가장 위대한 신앙인으로 연동교회 초대장로였던 고찬익을 소개합니다.
고찬익은 원래 원산에서 게일
선교사에게 전도를 받아 신자가 되었다.
그때부터 원산에서는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곤 하였다.
가난한 신자들의 방 자리 밑에서 알 수
없는 돈이 나오고, 혹은 뜰에서 쌀자루가 발견되었다.
또 원산 거리에서 거지가 매우 좋은 옷을 입고 다니는 모습도 종종 눈에
띄었다.
사람들은 무슨 일인가 궁금했으나 도무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얼마 후 고찬익이 게일을 따라서 서울로 가게 되었고
그후에는 이런 이상한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제서야 그 사건들이 고찬익이 행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울로
올라온 고찬익은 게일 선교사의 조사가 되어서 연동교회에서 전도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고찬익이 하루는 20세 전후의 청년을 만나서
복음을 전했다.
그런데 이 청년은 “나는 의식이 빈궁해서 예수를 믿을 수 없다”고 대답했다.
고찬익은 “노동을 하면 먹을 것이
나오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 청년은 양반 출신이어서 노동을 천하게 생각했다.
고찬익은 청년에게 “내일 아침 일찍
아침식사 전에 우리집으로 오라”고 말했다.
고찬익은 집에 가서 지게와 수건을 둘씩 준비하고 아내에게 밥을 한 그릇 더 지으라고
했다.
다음날 청년이 약속시간에 고찬익의 집에 왔다.
고찬익은 청년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고 지게를 하나씩 지고 인근 선교사댁 건축
공사장에 가서 함께 종일 일하면서 복음을 전했다.
그리고 일을 마치고 받은 노임을 그 청년에게 주었다.
고찬익은 청년에게 복음을
전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노동의 소중함까지 가르쳐주었다.
길선주 목사는 고찬익 장로를 “경성교회 기초사역에서 가장 유능한
전도자”라고 평했다.
그리스도인이란 말은 예수를 믿는 사람이 나는 그리스도인입니다(I am a Christian) 또는 나는 신자입니다(I am a believer)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이 나를 가리켜 "저 사람은 그리스도인이다(This man is a Christian)" 이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나는 내 주위 사람들로부터 저 사람은 그리스도인이야! 라는 말을 들을만한 믿음생활을 하고 있었는지 살펴야 할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이란?
그리스도의 삶의 방식을 삶의 현장에서 실천하는 사람입니다.
그리스도의 삶은 "기름 부음을 받은 자" 라는 뜻에서 찾아야 합니다.
기름 부음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제사장" "선지자" "왕"에게 기름을 붓습니다.
제사장은 죄를 대신하여 자기의 생명을 내려놓는 믿음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선지자는 혼돈된 세상에서 진리를 위하여 가야 할 길을 찾아가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왕은 적군을 대항하여 싸워서 이겨야 하는 사람입니다.
적군이란 마귀의 유혹을 물리쳐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에게만 집중해야 합니다.
그리스도에게만 배워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파트리스교회 교인들이 비로서 뉴욕에서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
그리스도인이란?
그리스도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
왜냐하면 사람이란 "삶"의 주체가 되기 때문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성경을 읽지 않습니다.
세상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려면 예수를 믿는 내가 성경책이 되어야 합니다.
내가 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살아갈 때 세상 사람들이 성경을 읽게 됩니다.
세상 사람들이 성경을 읽을 때 비로서 복음이 전파될 것입니다.
지난 월요일(7월 26일) 동서데이케어 사모님을 만나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8월 2일부터 구은숙권사님께서 동서데이케어에서 네일 봉사를 시작하게 됩니다.
사모님께서 재료비를 주시겠다고 하여 제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봉사는 권사님이 하실 것이며 재료비는 선교비에서 지출합니다.
재료를 구입한 금액이 $123이라고 합니다.
선교란 복음이 사람을 만나야 전달됩니다.
봉사자가 사람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 것입니다.
더구나 사모님의 경우 예전에는 교회에 출석하였으나 지금은 성당으로 옮겼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교회에서 실망하였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이런 것이 복음이 아닐까요?
또 이런 것이 복음을 전하는 것이 아닐까요?
자유대한민국에서 펼쳐지는 시대적 흐름을 지켜볼 때 꼭 기억해야 할 것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첫째는 "비핵화"
둘째는 "인권 회복"
북한을 돕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북한에 국수 공장을 짓고 국수를 생산할 때 국수는 생산 후 3-4일이 지나면 변질되기 때문에 즉각 분배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생산하는대로 그 지역에 나눠줄 수 있습니다.
더구나 공장의 기계들을 모두 철거하면 교회당으로 사용하도록 계획하고 진행했습니다.
또한 비닐 하우스를 짓고 수경재배를 하는 기술자를 호주의 김은각집사님을 초청하여 사역을 맡겼는데 평신도이지만 모든 재료는 남한에서 가져와야 한다며 주장을 굽히지 않으므로 결국 남한에서 북으로 모든 자재를 실어 운반하는데 북한의 실무진들은 남한의 재료들 비늴, 철재 골조와 같은 것이 남한 상표가 표기되었기에 처음에는 완강하게 반대하였다고 합니다.
만일 곡식을 주면 곡식을 팔아서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돈이 될 수 있는 것들은 모두 중국에 다시 팔아버리고 돈으로 환산할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것도 백성들에게 나눠주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가장 먼저 해결할 과제가 비핵화와 인권 회복이라는 것을 주장하고 이러한 주장에 동의할 때 그만큼 물자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교회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불낙지교회에 대한 목표를 포기하지 않아야 합니다.
어느 교회에서 상처를 받았거나 만족을 얻지 못하여 교회를 옮기는 성장은 공동묘지에 무덤의 수가 늘어가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불신자에게 복음을 전하여 교회로 인도해야 합니다.
교회로부터 상처를 받아 교회를 떠난 낙심한 영혼에게 주님의 치유가 임하여 교회로 돌아오게 해야 합니다.
세상의 재미에 사로잡혀 결단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지체하는 세상 풍조에 흔들리는 사람을 굳게 세워 교회를 찾도록 사랑해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26 교회에 일년 간 모여 있어
바나바는
사울을 애써서 찾은 결과 그를 만나게 되었고 그를 안디옥으로 인도하였다. 그런 후 그들은 일년 간 교회에 함께 모여 있었다.
여기서 '간'으로 번역된 ‘흘론’은 ‘전체의', ‘온(whole)’이라는 뜻으로 그들이 일년 전부의 시간을 온전하게 함께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렇게 일정한 기간을 기록하는 것은 누가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행 18 :11; 19:8,
10 ; 24:27 ; 28:30). 안디옥 교회에서 그들은 함께 머무르면서 교회의 지도자로서 큰 무리를 가르쳤다.
이들이
다른 곳으로 떠나지 않고 무리를 가르쳤던 것은 대부분의 성도들이 이제 막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였기 때문에 기본적인 신앙 교육이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일년이라는 시간을 안디옥 교회 성도들의 신앙 성숙을 위하여 전적으로 헌신하였던 것이다.
아마도
성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죽으심, 부활, 승천, 보혜사 성령의 보내심, 현재의 일과 장래 일어날 일 등에 관한 여러 가지의
사실들과 그에 따른 의미들을 배웠을 것이다. 또한 이 가르침은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들의 삶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방향을
설정하여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희생적인 봉사와 교육의 결과
안디옥 교회는 모범적인 교회가 될 수 있었다. 그들은 마침내 그리스도인이라는 명칭을 얻었을 뿐 아니라 예루살렘 교회에 부조를
보냈으며(29~30절) 후에 이방 선교의 전초 기지가 되었다. 실로 훌륭한 신앙의 지도자에 의한 지속적인 신앙 교육이 얼마나
위대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안디욱 교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11: 26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그리스도인’이란 명칭이 안디옥에서 생겨났음을 보여 주며, 신약 성경에서 처음 등장함을 알 수 있다.
‘그리스도인'에
해당하는 ‘크리스티아누스’는 ‘크리스티아노스’의 복수형이다. ‘크리스티아노스’에서 접미사 ‘이아노스’는 ‘~에게 속한 자',
~의 종’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복수형으로 쓰였으므로 ‘그리스도에게 속한 자들’, ‘그리스도의 종들’ 즉 그리스도의 완전한 추종자들이란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렇게 일컬음을 받은 사람들은 바로 안디옥에 있던 제자들이다.
여기서
‘제자들’은 누구를 지칭하는 것일까? 그들은 '형제들’(행 1:16 ; 9:30), ‘구원받는 사람들’(행 2:47), '주의
도를 쫓는 사람들’(행 9:2), '성도들’(행 9:13), '믿는 사람들’(행 10:45)이라고도 불리워지는 사람들로서 그리스도에게 모든 희망을 두고 그리스도만을 최종 목표로 하고 따르는 자들이다. 이들에게 드디어 그들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새로운 명칭이 주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안디옥의 이 제자들에게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렀던 사람들은 누구인가?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보자.
첫째, 유대인들일 가능성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이 메시야인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예수를 메시야로 인정한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에, 분명 예수의 메시야되심을 거부하는 유대인들이 지어준 것은 아닐 것이다.
둘째, 제자들 스스로가 지었을 가능성이다. 그러나 이것도 가능성에 그칠 뿐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인들은 이미 그들 사이에서 ‘제자들’ 혹은 ‘형제들’이라고 부르면서 서로가 그리스도인임을 확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
안디옥의 불신자들일 가능성이다. 바로 이들이 예수가 그리스도라고 믿고 늘 그에 대해서만 말을 하는 제자들을 그리스도의
사람들(the christ-people)이라는 뜻으로(F. F. Bruce), 그리고 그리스도의 추종자들을 유대인들과 구별하기
위해(Robertson) 그들에게 그리스도인이라는 별명을 붙였을 것이다. 이 세번째 견해가 가장 타당하다.
그러나 그 이름으로 불리우게 된 제자들은 그 이름을 기분 나빠하거나 수치스럽게 여기거나 주변 유대인들 때문에 두려워하지도 않았다. 처음에는 조롱과 야유의 의미로 불리워진 이 명칭이 후대에는 존귀한 이름으로 바뀌었다.
한편,
이와 같은 ‘그리스도인’이란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이는 안디옥의 이방인
신자들이 더 이상 어떤 유대교의 한 종파에 속한 사람들로 인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이 유대교와
구별되는 완전히 새로운 신앙으로 인정받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
당시 로마 시저의 군인들을 시저인이라고 불렀고, 폼페이의 군인들을 폼페이인이라고 부르는 관습이 있었다. 그래서 안디옥에 었던
신자들도 그런 식으로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 그리스도의 군인, 그리스도의 종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워져 그들의
특징을 나타나게 되었던 것이다. 제자들이 이러한 표현을 거절하지 않았던 것은 그들이 정말로 그리스도의 군사로 전신갑주를 입었기 때문이다(엡 6:11-18). 신약에서 이 단어는 행 26:28과 벧전 4:16에 두 번 더 나타난다.
그리스도인에 대해서 '교회용어사전'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헬라어로
'크리스티아노스' 곧 '그리스도에게 속한 (사람)'이란 뜻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소유로서 그분을 믿고 구주로 고백한 자',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 '예수님의 제자', '기독교인', '성도', '하나님의 백성'을 말한다.
이처럼
거룩한 호칭인 '그리스도인'은 초대교회 당시 수리아 안디옥 교회 성도에게 처음 사용되었다(행11:26; 26:28). 즉, 사도
바울과 바나바가 안디옥에서 1년 동안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쳤을 때 주위 사람들이 예수 믿는 사람들을 보고 '그리스도인'이라 부른
것이다. 처음 그 호칭은 경멸의 뜻, 멸시의 뉘앙스로 사용되었다(행24:5). 바울이 아그립바 왕에게 전도할 때에 아그립바가
바울이 자신을 그리스도인으로 만들려고 한다고 할 때도 분명 홀대의 호칭으로 사용하였다(행26:28).
그러나
이 호칭은 점차 영광스럽고 복된 이름으로 쓰이게 된다. 사도 베드로는 고난받는 성도를 향해 그리스도인으로 고난받는 것을 부끄러워
말고 오히려 그리스도인이라는 영광스런 이름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라 권면하면서 그리스도인이란 이름이 얼마나 영광스런 것인지를
강조한 바 있다(벧전4:16).
말라기 1:1-5 이 시대의 거울
구약의 마지막 책 “말라기”에는 마지막 시대의 특징을 일곱 가지로 말씀합니다. “어떻게”라는 부사를 관찰합니다.
1. 불평(1:2b),
2. 원망(1:6b),
3. 합리화(1:7),
4. 정당화(2:17),
5. 핑계(3:7),
6. 자기방어(3:8),
7. 자기 칭의(3:13)
I.한 시대의 끝이 왔다.
A.말라기 선지자에 대하여
1.그는 파사나라에 포로로 잡혀 갔다가 돌아와 에언을 하였다.그의 전임 학개나 스가랴와는 약 100년의 기간이 경과한 후였다(주전432- 424사이).
2.말라기의 활동은 구약의 시대를 마감하는 마무리 작업이었다.말라기는 변혁의 시대에 활동하던 에언자였다.
3.어느 시대나 변혁기에 활동하는 지도자는 불행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옛 시대도 아니고 새 시대도 아닌 시기이면서 과거를 청산해야 하고 새 것을 받아 들여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다.
B.말라기의 멧세지.
1.말라기선지자는 과거와 더불어 미래도 봐야만 했다.그래서
마태17:10절에 "엘리야가 먼저 와야 하리라"는 말씀이 있다.여기서 엘리야란 말라기 3:1에"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보라 내가
내 사자를 보내리니 그가 내 앞에서 길을 에비할 것이요"의 '내 사자"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2.말라기 선지자는 엘리야의 심장을 가지고 오는 요한을 기다리면서 에언을 마쳤다.말라기는 과거만 본 것이 아니라 현재의 입장을 보면서 우리에게 말씀하고 있다.그래서 우리가 이 시대를 보려면 말라기서를 보면될 것이다.
3.말라기서에는 시대의 모습이 거울에 비춰지듯 나오는데 여기서 "어떻게"라는 말이 일곱번 나온다.
II.마지막 시대의 일곱가지의 특징이 있다.
1.쓴 원망(1:2하).
1)주께서 어떻게 우리를 사랑하셨나이까?라는 말은 감사의 말일까?원망의 말일까?이것은 원망의 소리였다.
2)하나님의 사랑은 선택적 사랑이다.하나님이 에서와 야곱 중에서 하나를 선택 하시듯이 우리를 택하여 사랑하신다.
2.큰 원망(1:6하).
1)너희가 이르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이름을 멸시 하였나이까?
2)때로는 눈먼 짐승을 바 고,때로는 저는 것을 바쳤다.그럼에도 이들은 우리가 언제 그랬느냐는 것이다.
3)말로 하나님을 괴롭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돼이 일컫는 행위다.하나님의 이름을 내세웠다고 모두 하나님께 영광이 아니다.
3.거짓을 합리화(1:7).
1)우리가 어떻게 주를 더럽게 하였나이까?
2)자신들이 더러운 것,하나님이 금하시는 것을 단에 드렸음에도 주를 향하여 대항하는 것은 주님을 멸시함이요,자기행위를 합리화하는 행위다.
4.자기정당성 주장(2:17).
1)우리가 어떻게 여호와를 괴로우시게 하였나이까?
2)말로 자기 정당성을 주장하는 행위는 하나님을 괴롭히는 행위다.
3)가정에서 부부가 서로 자기의 정당성을 주장한다면 그것은 끝장이다.그래서 행복한 가정을 원하는 우리는 자기 정당성을 포기해야 한다.
5.핑계(3:7)
1)너희가 이르기를 우리가 어떻게 하여야 돌아가리이까?
2)돌아가는데는 복잡한 방법과 절차가 필요없다.
3)이유를 대고 핑게를 대는 것은 싫다는 말이요,않겠다는 말이다.
6.자기방어(3:8)
1)이들은 십일조를 도적질하였다.그러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적질 하였나이까?라고 하는 것이다.
2)도적질은 다른 것이 아니다.하나님께 드려야 할 것을 드리지 못햇거나 않았으면 그것이 도적질이다.
7.자기 칭의 주장(3:13)
1)우리가 무슨 말로 주를 대적하였나이까?
2)여기서 무슨말로의 뜻은 "어떻게'라는 말이다.이는 매우 완악한 말이다.
결 론
1.말라기 시대의 특징과 말라기서의 특징을 살펴 보았다.지금의 상황과 어떤가?비슷한 것이 많이 있는 것 같다.
2.이 말씀은 에수님 탄생 400년전의 것만이 아니다.바로 오늘의 문제요,바로 나 자신의 문제다.
3.주의 말씀 앞에서 잃었던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아야 한다.
그리스도인(I'm a believer)
16개월 만에 함께 모여 예배할 수 있도록 인도하신 우리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립니다.
구약의 마지막 책 “말라기”에는 마지막 시대의 특징을 일곱 가지로 말씀합니다. “어떻게”라는 부사를 관찰합니다.
1. 불평(1:2b), 2. 원망(1:6b), 3. 합리화(1:7), 4. 정당화(2:17),
5. 핑계(3:7), 6. 자기방어(3:8), 7. 자기 칭의(3:13)
사도 바울은 이러한 것들이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므로 “고통 하는 때”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딤후 3:1).
예수님께서는 마지막 때에는 “영적 혼란(미혹, 거짓 선지자)” “자연적 징조(난리, 기근, 지진)” “도덕적 징조(불법)”가 나타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마태 24:3∼14).
어려운 시기를 지내면서 마지막 시대를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첫째, 세상을 이기는 믿음(요일 5:1∼5)
둘째,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믿음(히 11:5∼6)
셋째, 영적 성장(고전 2:10∼16)
넷째, 상급을 받을 만한 충성된 삶(계 22:10∼12)
다섯째, 파수꾼의 사명(사 62:1∼7)
여섯째, 말씀으로 무장(벧후 1:19∼21)
어려운 고비를 잘 견디고 모두 건장한 모습으로 함께 모여 예배할 수 있도록 인도하신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립시다. 그리고 마지막 시대를 믿음으로 승리하는 복된 성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P.HS0 {style-name:"바탕글";font-family:"HY Sinmyeongjo"; font-size:13.3px; color:#000000; font-weight:"normal"; font-style:"normal"; letter-spacing:0%; margin-left:0.0px; margin-right:0.0px; margin-top:0.0px; margin-bottom:0.0px; text-align:justify; line-height:21.3px; text-indent:0.0px;}
6.25전쟁은 북한의 남한 침공으로 시작됐습니다.
새벽 4시, 북한 인민군이 242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공격해 온 것이 그
시작입니다.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 1개월 2일 동안 벌어진 전쟁입니다.
먼저 한국군
사망자 13만 8천 여명, 부상자 45만 여명, 실종자까지 모두 포함하면 60만 9천 여명,
북한군 사망자와 부상자 52만 여명,
실종자까지 모두 포함 80만 명,
유엔군 사망자 5만 8천 여명, 부상자 48만 여명, 실종자와 포로까지 포함하면 총 54만
6천 여명,
중공군 사망자 13만 6천 여명, 부상자 20만 8천 여명, 실종자와 포로, 비 전투 사상자까지 모두 포함 97만
3천 여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한국 전쟁은 그러나 군인보다 민간인 사망자가 더 많았던 전쟁으로도 기억되고 있습니다.
남북한의 민간인 사망자 통계 살펴보겠습니다.
남한 민간인 사망자 24만 5천 여명, 학살된 민간인 13만 여명, 부상
23만 명, 납치 8만 5천 여명, 행방불명 30만 3천여 명으로 모두 100만 여명의 남한 민간인들이 피해를 입었습니다.
한국 국방부와 군사 편찬 연구소의 자료입니다.
그러나 한국 전쟁 유족회와 학자들은 학살된 한국인만 10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1953년 북한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북한 민간인 사망자는 28만 2천명, 실종자 79만 6천 명 입니다.
이것은
당시 남북한 전체 인구의 1/5이 피해를 입었으며, 개인별로 보면 한 가족에 1명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6.25 전쟁은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큰 피해를 남겼습니다.
남한의 경우 일반 공업 시설의 40%, 북한은 전력의 74%, 연료 공업 89%, 화학공업의 70%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1950년 1월 10일,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의 비밀회담에 참석한 애치슨은 미국의 극동방위선이 타이완의 동쪽 즉, 일본 오키나와와 필리핀을 연결하는 선이라고 말하였다. 이틀 후(1월 12일), 외교위원장 톰 코널리는 이를 대외에 발표하였다.
애치슨은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열린 전미국신문기자협회에 참석하여 '아시아의 위기'라는 제목으로 연설하면서,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영토적 야심을 저지하기 위한 미국의 동북아시아 방위선을 재확인하는 발언을 하였다. 태평양에서 미국의 지역방위선을 알류샨 열도 - 일본 - 오키나와 - 필리핀을 연결하는 이른바 '애치슨 라인'으로 한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로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인도차이나 반도가 미국의 방위선에서 사실상 제외되었다. 이 선언은 중화민국 정부가 국공내전으로 인하여 타이완으로 천도(국부천대)한 것에 대한 미국 조야의 충격을 반영한 것이다. 더욱이 한반도는 당시까지만해도 전략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한국을 미국의 방위선에서 제외하게 됐다는 것이 후일의 평가다.[2]
애치슨의 이같은 선언 이후, 대한민국의 임병직 외무부장관은 즉시 주한 미국대사인 존 무초를 불러 애치슨 선언의 진의를 해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장면 대사에게 훈령을 보내 애치슨 발언의 경위를 신속히 조사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애치슨은 한국이 미국의 극동방위권에서 제외된 이유에 대해 한마디 회답도 보내주지 않았다.[3] 이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애치슨의 선언에 그 책임이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제1항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제2항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교회는 가장 정의로운 사회를 이룩하고자 정치 투쟁을 할 수는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교회는 국가를 대신할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그러나 동시에 교회는 정의를 위한 투쟁에서 비켜서 있을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교회는 이성적인 토론의 길로 그러한
투쟁에 들어서야 하며, 그 정신적인 힘을 다시 일깨워야 합니다.
그러한 힘이 없으면, 언제나 희생을 요구하는 정의는 구현될 수도
없고 진보할 수도 없습니다.
정의로운 사회는 교회가 아닌 정치를 통해 실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공동선의 요구에 마음을 열고 의지를 불러일으키도록, 교회는 정의 증진을 위한 활동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베네딕토 16세. 회칙 "하나님은 사랑이십니다(Deus Caritas Est), 2005. 12. 25, 28항 중에서
정교분리의 출발은 미국헌법이 만들어질 때 국교를 부인하는데서 시작된다.
정교분리는 자유의 원리이다.
정치와 종교는
분리되어야 한다는 이용어 개념은 원래 미국 헌법 수정 1조 교회와 국가의 분리라는 말로 처음 사용됨으로써 이후 세계적으로
일반화되어 갔다.
하지만 서유럽과 북미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교회 –국가의 분리라는 말보다 ‘정교분리’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교분리란 추상적으로 국가는 국민의 세속적 , 현세적 생활에만 관여할 수 있고 내면적, 신앙적 생활은 국민의 자율에
맡겨 개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국가의 종교적 중립성 내지 비종교성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 개념이 지닌 추상성 때문에
‘정교분리’는 ‘정치의 종교에 대한 불간섭’이 아니라 ‘교회의 정치에 대한 불간섭’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해졌다.
정교분리란 정치와 종교, 국가와 교회 사원과의 분리의 원칙을 말하는데, 이것은 국가는 국민의 세속적(世俗的)· 현세적 생활에만 관여할 일이지 국민의 신앙적·내면적 생활에는 간섭해서는 안 된다.
즉 국가는 종교활동을 행하든가 특정의 종교단체를 지지해서는 안 되며 종교단체도 정치권력을 행사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정교분리의 근거에 대하여서는 대체로 정교 각각의 특질에서 당연히 도출(導出)된다고 하는 견해이다.
정치의 목적은
국민에게 현세적(現世的) 행복을 부여하는 것이나 종교의 목적은 국민에게 영적(靈的) 자유를 부여하는 것이다.
양자는 각자의 본질에
따라서 명확하게 구별되고 또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교관계는 정교 쌍방의 본질에서 곧장 추론(推論)되는 것과 같은 모범적 형태를 갖고 성립한 것은 아니다.
정교분리는 인류사(人類史)의 시작에서부터 행해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각종의 정교일치 또는 정교결합이 굉장히 오랜 기간 행해졌으나, 근대의 도래와 함께 거기에는 갖가기 약점이나 폐해가 있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이것이 인류로 하여금 정교결합을 버리고 정교분리를 채용시켰다.
같은 정교분리라 하더라도 그 내용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미국과 프랑스의 정교분리에서 엿볼 수 있다. 미국의 정교분리는 우호적 분리이나, 프랑스의 그것은 비우호적 분리이기 때문이다.
미국 정교관계의 우호성(友好性)은 예를 들면 독립선언에서 볼 수 있는 종교적 이상주의나 연방의회의 의사(議事)가 목사의 축도로써 시작되는 것 등에서 잘 나타나 있다. 미국은 종교에 대하여 우호적인 정교분리를 독립선언 11년 후에 만든 연방헌법(聯邦憲法, 1887)에 명문화 했다.
그 이유의 첫째는 당시 미국에는 종교나 교파(敎派)의 수가 많고 더욱이 그것들 중에 하나의 신도(信徒)를 갖고 전 국민의 과반수를 제압할 수 있는 유력한, 따라서 국교로서 정할 수 있는 유력한 종교·교파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둘째 이유는 헌법기초자(憲法起草者)가 연방을 구성하는 각 주의 단결의 강화에 최대의 관심을 갖고, 그 때문에 이 과제에 종교투쟁을 끌어넣어 문제의 혼란을 증대시키는 것을 피하려고 한 것이다.
종교투쟁이 얼마나 사회질서를 어지럽히는가를 그들은 경험을 통하여 잘 알고 있었다. 또 혁명의 상대인 영국과 결부된 영국 국교회(英國國敎會)에 대한 국민의 반감이 정교분리를 낳게 했다는 설도 있다. 프랑스의 정교분리는 공화주의(共和主義) 정권과 가톨릭 교회간의 장기간의 대립의 격화, 즉 양자의 싸움과 결별에 원인이 있다.
이런 공화정은 당연히 군주정 부활의 방지에 중대한 관심을 표시하여 온 데 반하여 프랑스 군주제는 수세기 동안 가톨릭, 따라서 바티칸 당국과 친밀히 결부되고 있었다. 또 가톨릭은 국민의 종교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하는 공화파와 대립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양자의 대립은 여러 가지 현실적 조건과 얽혀서 격화하였으나 제3공화정 정부는 1905년에 정교분리법(영어: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the Churches and the State)을 제정하였다.
정교분리는, 국가와 교회·사원이 절대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되는 것까지를 주장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구체적인 인간생활이 단순히 내면적인 것도 아니고, 또 단순히 외면적인 것도 아니기에 당연한 것이다. 셸러(Max Scheler, 1874-1928, 독일의 철학자)는 인간의 내면적 생활과 외면적 생활과는 밀접한 공속성(共屬性)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 종교단체가 스스로의 입장에서 정치를 윤리화하고 정치에 생명을 부여하기 위하여 정치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종교의 정치로부터의 절대적 초월을 주장하는 전세기적(前世紀的) 종교관을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당연하다. 이 문제는 서독의 기독교민주동맹(CDU)이나 일본의 공명당과 같이 일정한 종교를 창당의 이념으로 하는 종교정당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정교분리의 원칙은 거기에도 역시 타당하다. 즉 거기에서도 종교는 권력의 장악자(掌握者)나 널리 정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격의 내면을 통하여, 말하자면 간접적으로만 정치에 감화를 미치도록 작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정교분리에서 최소한도로 요청되는 것은 특정 종교단체가 자기의 이름으로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것을 그 신도에게 명하는 것은 피하라는 것이다.
신도는 일체의 정당 선택의 자유를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교분리의 원칙이 방해됨과 동시에 특정 종교에 대한 신앙상의 열의(熱意)가 신앙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정 정당에의 충성에 의하여 정해진다는 묘한 결과를 초래한다. 서독의 기독교민주동맹의 강령 전문(綱領前文)의 "하느님은 역사와 제국민과의 주(主)이고, 그리스도는 우리들 생활의 힘인 동시에 법이다"라는 생각은 좋다 하더라도, 1945년의 당대회에서 "우리 당은 이 신앙고백에 의하여 개개의 정책을 정하는 원칙적 지표(指標)가 주어져 있다"라고 말한 것은 정교분리의 원칙에 위배된다. 그 이유는 그것은 신앙이 국민의 인격의 내면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정치에 개입하는 것을 요청하고 시인하기 때문이다. 거기에서는 기독교민주동맹의 정책을 비판할 자유가 보장되어 있을 뿐이고 정당 선택의 자유는 보장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이미 서독내에서도 다음과 같은 비판이 있다. 즉 그리스도 교도는 다만 기독교민주동맹만이 아니라 독일사회민주당(獨逸社會民主黨, SPD)을 포함한 모든 정당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또 모든 압력단체나 노동조합에서 활약할 수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기독교민주동맹은 신자를 독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신교의 자유'는 다른 시민적 자유와 상호관계(相互關係)의 운명에 있고, 정치의 민주화에 의하여 추진되는 것이나, 신교의 자유는 정교분리에 의하여서만 실현된다는 것을 부언(附言)할 필요가 있다. 정치와 종교가 결탁(結託)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국민의 신교 자유의 보장은 반드시 불충분한 것이 된다. 그리고 그 자유의 보장의 범위는 결탁의 정도에 반비례한다. 신교의 자유를 목적으로 하면 그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은 정교분리이다.
그러나 정교분리는 신교의 자유에 봉사하는 수단이라고 하여 목적인 신교의 자유보다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는 없다. 목적을 실현하는 구체적 수단이 그 목적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그것 없이는 목적은 언제까지나 단순한 추상적 관념(抽象的觀念)으로서 그치고 말기 때문이다. 신교의 자유는 정교분리에 의하여 보장된다는 원칙에도 예외로 보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영국에서는 영국국교회(Anglican Church)가 국교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국민 일반은 현재 충분한 신교의 자유를 향유하고 있다.
헤랄드 라스키(Harold Joseph Laski, 1893-1950, 영국의 정치학자·사회주의자)
태가 원활히 거기까지 진전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특히 17세기의 엄격한 종교적·정치적 체험, 18-9세기에 있어서의
비국교도(非國敎徒) 중심의 관용(寬容)을 목표로 하는 싸움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인구가 미국의 60%에 불과한 파키스탄은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무슬림 인구를 가진 국가이다. 전 세계 무슬림의 10% 이상이 파키스탄에 살고 있다. 2억명의 인구 중 96.28%가 무슬림이다.
파키스탄에는 많은 수의 미전도종족이 살고 있지만 사실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음에 가려져 있고 선교할 수 있는 여건도 안되어 소수의 선교활동만이 이루어 지고 있다. 전도자도 부족하고 교회 성장도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예수님께서 씨뿌리는 비유에서 말씀하신 ‘돌밭’ 같은 땅이 파키스탄일 것이다. 그러나 이 땅의 영혼들도 예수님께서 보시기에는 ‘희어져 추수하게 될’ 추수밭이다. 주님께서 보내시는 일꾼들은 이 밭에 가서 성실히 섬기고 일하여 영혼들을 주님께 돌려 드려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인 상황은 모든 선교 활동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지금까지 그랬다. 그래서 그렇게 많은 미전도종족이 살고 있다. 그럼 어떻게 이 땅을 위해 선교적 접근을 해야할 것이며 기도해야 할까?
공식적으로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알려진 파키스탄은 인도(동쪽), 아프가니스탄(서쪽),이란(남서쪽), 중국(북동쪽)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이다.
파키스탄은 영국 식민지 당시 인도등과 같은 인도 대륙국가였지만 이슬람때문에 이곳으로 이주하여 만들어진 국가이다.그리고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라는 역사적 유산과 힌두교, 불교와 같은 고대 종교의 전통에 뿌리를 둔 문화를 가졌지만 지난 수백 년 동안 이슬람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전통에 의하면 주후5 세기경에 예수님의 제자 도마가 파키스탄의 탁실라 (Takshashila) 지역에 처음으로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당시에 세워진 교회의 유적은 없다. 지금 남아있는 교회들은 15세기 식민지 확장 시대에 들어와 사역하던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은 서구교회 스타일을 따른 교회만 남아 있다.
그리고 파키스탄에 있는 교회는 개인적인 회심에 의해 모인 공동체라기 보다는 특정 카스트와 인종에 의해서 구분된다고 할 수가 있는데 기독교인들의 상당수가 19세기, 20 세기 인도에서 있었던 대규모 선교 운동 기간동안 개종한 천민들의 후손들이 대부분이다 . 그리고 또다른 부류는 펀잡 지방의 펀잡인들이 주를 이루는 펀잡 교회인데 그들은 파키스탄 교회라고 부르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펀잡인들의 교회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파키스탄의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상황은 지난 70년 동안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인도와의 지속적인 충돌, 오랜 군사정부 통치, 이슬람의 급진화, 신성 모독법의 악용등으로 파키스탄은 점점 선교가 어려워졌다. 그중에서 신성모독법의 악용은 사회적으로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큰 논란을 불러 일으켰는데 그 대표적인 사건이 ‘아시아 비비 (Asia Bibi)’로 알려진 아시아 노린 (Asia Noreen) 사건이다.
신성모독법은 1885 년 영국이 처음 도입한 법이지만 1927년에 개정이 되었다. 처음 영국이 이 법을 도입한 의도는 각 종교간의 증오범죄를 막기위한 것이었는데 인도와 분리 독립한 이후 이것은 이슬람 샤리아법을 정착시키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법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살해를 당하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할 정도로 극단적인 이슬람주의가 뿌리를 내리게 하는 역할을 했다. 대표적인 사건이 개인 경비원에 의해 살해 된 펀잡 주지사 살만 태저(Salman Taseer)와 Tehrik-e-Taliban에 의해 암살된 소수민족 장관이었던 샤바 즈 바티 (Cshahbaz Bhatti)가 있다.
파키스탄의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와 소외는 심각하다. 파키스탄 기독교인의 대다수는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으며 극도로 가난하다. 천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할 때만 해도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탈출의 수단으로 여겨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지금도 그들은 철저히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삶을 살아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정부나 법은 모든 파키스탄인의 동등한 권리와 지위를 약속하지만 실제 그리스도인들은 자기 나라에 살면서도 불안하고 외국인처럼 살아야만 한다. 그들은 2등시민 상태로 주저 앉았다.
경제적 상황도 심각하다. 교회는 기독교 공동체가 경제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교육과 프로젝트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약 25 %만이 사회적으로 안정을 찾고 있고 나머지는 빈곤에 허덕이고 있다. 구원받은 사람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더 소외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사랑의 손길을 내밀 수 있는 위치로 만들려면 이런 기독교인들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실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파키스탄에서는 여성들도 가부장제와 사회 문화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교회내에서는 여성들이 다양한 활동을 하며 여성의 역할을 드러내고 있지만 지도자의 위치나 사역자로서 안수받는 것은 아직도 닫혀 있다. 그것은 지역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선교적 가능성의 문을 열지 못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파키스탄 기독교인 대부분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교회에서 성도들의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려고 교육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눈에띄는 결과는 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기독교가 다양한 계층과 종족에게 확산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람들은 기독교가 하층민, 가난한 자들의 종교라고 오해하기도 한다.
전술한대로 파키스탄은 고대 인더스 문명뿐만 아니라 힌두교, 불교, 이슬람이라는 주요 종교의 영향을 받은 나라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종교적인 것에 익숙하고 각자 나름대로의 신에 대한 의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그런 사람들에게 담대히 접근하여 토론을 하거나 종교적 대화를 하기 보다는 고립되는 길을 선택했다. 이슬람에 대한 두려움, 또는 적대감이 기독교인들 스스로를 막는 담이 되어 버렸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는 길이 장기적으로 파키스탄 선교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파키스탄 기독교인들에게 선교적 의식을 가르치고 그들이 자국민을 선교하는 선교사라는 사명감을 갖도록 도와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슬림과의 종교적 대화에 당당히 응할 수 있는 지식적 훈련도 필요하다. 그런 기회가 있어도 혼합주의나 자기 스스로가 타종교에 물들지 않을까 염려함으로 스스로 피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종교적 벽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시작해야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도 생긴다는 것을 일깨울 필요가 있다.
선교에서 또다른 어려움은 빈부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파키스탄 기독교인의 대다수는 여전히 하층민으로 남아 있으며,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대부분은 일일 노동자로 살아 가면서 쉬는 날이 없이 일을 해야한다.
더더욱 심각한 것은 그들중 상당수가 ‘달러 미션(dollar missions)’의 희생자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서구 교회들이 가난한 교회 사역자나 기독교인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면서 선교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사회적 영향력을 미칠 수가 없어서 선교적인 열매를 거두는데 한계가 있다. 오히려 경제적 의존성만 키우고 스스로 할 수 있는 역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한 현지인 사역자는 ‘선교 전략과 계획은 주로 서구에서 개발하고 파키스탄은 그것을 수입해서 시행하는 기지가 되었다’고 혹평하기도 했다. 자국민 지도자들이 개발되고 훈련되지 않으니 자립적인 사고는 점점 더 할 수가 없고 서구에 종속된 사역만 하는 교회로 전락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그리고 교회는 주로 가난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사역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도 영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구호, 의료 프로그램, 교육, 여성 프로젝트, 청소년 프로젝트같은 것들로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접근하고 사랑을 전한다. 물론 그 사람들에게 사랑을 전하고 복음을 전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러나 파키스탄 교회는 그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 가난한 하층민 뿐만 아니라 사회 지도층, 경제적인 부유층에도 복음을 전할 수 있도록 사역의 영역을 넓혀야 한다. 그것은 파키스탄 교회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어쩌면 한국교회같은 외부 교회가 도울 수 있는 영역인지도 모르겠다.
가난한 교회 사역자나 기독교인중 상당수가 ‘달러 미션(dollar missions)’의 희생자가 되고 있다. 즉 서구 교회들이 그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면서 선교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사회적 영향력을 미칠 수가 없어서 선교적인 열매를 거두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의존적인 기독교인들을 만들어 스스로 자국민 선교를 하겠다는 의지마저 사라지게 만드는 우를 범하는 경우도 있다.
탈레반이 이끄는 근본주의 이슬람 세력이 전국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들은 기독교인등 비무슬림들에 대한 테러를 자행할 뿐만 아니라 시아파 무슬림이나 소수종족까지도 공격을 가하고 있다. 그로인해 국가적인 분열을 극대화시켰고 불안정한 국가라는 오명을 쓰도록 만들었다. 이것은 경제 발전을 저해하여 수백만의 빈곤층을 만드는 결과를 나았다.
북서부 Swat Valley에서는 반군이 마을과 학교들을 공격해 수천명의 희생자들을 낳았다. 무장 세력은 이 지역을 통제하며 정부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있고 그로인해 이동이 어렵고 선교활동 자체가 진행될 수 없도록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정부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이 지역에 강력한 샤리아법을 시행하기로 해 기독교인은 물론 무슬림이 아닌 소수 종족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무장세력들은 이러한 예를 다양한 지역으로 확산하려고 한다. 결국 근본주의 이슬람 무장세력들이 국민가적인 불안을 조성하고 있고 선한 사업들까지도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세력이 전국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상황에서 또하나의 심각한 문제는 학교이다. 이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정규교육을 거부하고 여자 아이들에게 교육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그로인해 일부 지역의 학교들이 습격을 받고 폐쇄되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무장단체들은 전국에 이슬람 학교(madrasas)를 세워 공교육보다는 쿠란을 암송하거나 이슬람 교육만 하는 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이 학교는 장기적으로 차세대 근본주의 무장세력들을 동원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20,000여개로 추정)
이러한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에 탄압당하는 영혼들을 위해 기도해야 하고 정부가 통찰력을 갖고 이런 세력들을 상대할 뿐만 아니라 통제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한다.
국가 전반에 퍼져있는 이슬람 이외의 종교인들에게 대한 차별과 핍박 문제도 기도해야 할 중요한 제목이다. 1980년대부터 이슬람화된 정책을 추구하면서 비무슬림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증가하기 시작했고 사회적 빈부격차와 갈등을 확산시켰다. 무슬림이 아닌 사람은 공무원이 될 수 없고, 교육의 기회나 고용의 혜택에서도 불이익을 당했다. 그러면서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이 이슬람으로 다시 개종을 하면 경제적, 사회적 혜택을 베푸는 식으로 그리스도인들을 이슬람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런 일들이 국가적인 사업이나 공공연한 정책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악명 높은 신성 모독법은 무함마드를 모독한 사람에게는 사형을, 꾸란을 훼손한 사람에게는 무기징역을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극단주의자들이 무고한 기독교인들을 이 법에 엮어 핍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에 대한 지속적인 핍박도 계속되고 있다. 예배중인 교회당을 파괴하거나 성도들을 구타, 살해, 유괴, 강간등의 범죄를 저지르며 개종을 강요하기도 한다. 경찰도 이런 범죄들을 알면서도 대부분 이런 과격파들에게 매수되거나 연루되어 정당한 법집행을 하지 않는다.
공식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인정한다고 하면서도 이렇게 법을 무색하게 하는 폭력적인 사회 구조때문에 기독교인이 복음을 전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법이 제대로 지켜지고 그리스도인들도 담대하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국가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핍박과 학대속에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끝까지 사랑과 용서의 마음으로 이웃을 대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한다.
2020년 7월 25일에는 총선거가 치러진다. 기독교인 가운데 출마자는 없지만
여성(60석)과 소수종족(10명)에게 배정된 의석 가운데 약간이 그리스도인에게 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근본주의 이슬람 세력은 정치 권력을 장악하고 파키스탄을 더욱 강력한 이슬람 국가로 만들려고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기도해야
한다.
1.인도대륙의 이슬람 전개와 이슬람 통치 |
인도대륙의 이슬람 도래는 주로 두 가지 길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하나는 주후 712년경부터 이라크에서부터 동남으로 해안을
거쳐 상인들을 중심으로 들어왔다.
초기에는 평화로운 접근으로 힌두교인과 공존을 하였던 것 같다.
아나마리 쉠밀은 그의
책[인도대륙의 이슬람교]에서 까씸 장군은 그의 인도대륙 점령시기에 힌두교인의 사원을 그냥 두었다고 하였다. 아랍 상인들은
힌두교인들과 함께 인도 남부 해안에 평화롭게 정착하였다고 했다.
다른 길은 주후 1000년경부터 중앙 아시아의 북서쪽에서
아프가니스탄과 캐시미르 가까이 있는 카이바르 고원지대를 통한 것이었다.1)
이 시기에 지하드 정신에 따라 가즈니 지역의 마하무드
왕은 북쪽 푼잡지대를 무력으로 점령하였다. 1750년경에는 인도대륙은 전적으로 이슬람 통치 아래 있게 되었다. 모걸 제국의 마지막
황제는 명목뿐이었지만 1857년까지 왕좌를 지키었다. 그러므로 8세기에서 19세기까지 긴 기간 동안 인도 대륙에서 이슬람 세력은
찬란한 문화를 발전시키면서 증가하였다.
파키스탄이 인도에서 분리할 때 인도대륙의 무슬림 교세는 전체 인구의 25%을 차지하였다 한다. 무슬림은 힌두인과 한 지역에 공존하면서 각각 다른 문화 발전을 이루었고 때로는 평화공존으로 또 때로는 억압된 폭력의 표출로 희생자들을 치르며 지내왔다.
인도대륙에서의 이슬람의 위치와 파키스탄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무슬림 지도층의 서로 다른 두 가지태도로 인한 갈등을 집고 넘어가야 한다. 첫째, 이 갈등은 세속주의와 정통주의와의 마찰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하나의 태도는 안정을 우선 순위에 둔 세속적 정책과 다른 하나는 이슬람적 주장을 한 이슬람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다른 태도는 갈등과 진통으로 이어졌다. 예를 들면 모걸제국의 아크바르 황제는 인도대륙에서 힌두교,불교와 함께 공존을 위한 혼합주의적 국가종교를 시도하였다. 그 반대로 모걸제국의 아루방제브 황제는 순니파의 하나피 학파의 전통적 입장을 그의 정치에 적용하는 강력한 이슬람 주장을 하였다. 아루랑제브 황제 이후 사실상 인도대륙의 이슬람 통치는 쇠퇴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아우랑제브 이후 인도대륙은 서구의 세력에 따르게 되었고 1847년 영국은 인도대륙을 전적으로 통치하게 되었다. 무슬림들은 영국통치하에서 가난과 굴욕을 치르었다. 무슬림들은 이 시기에 드릉의 우루드어 사용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소수의 지식층은 영어를 모어처럼 사용하게 되었다. 무슬림 언어인 우르드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된 것은 무슬림들에게 무슬림 정체성의 포기와 같이 느껴졌었다. 우르드어는 아랍어 다음으로 2억이 넘는 무슬림들이 쓰는 문학어인데,식민정치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었던 것이다. 우르드어는 모걸제국의 쇠퇴시기에 하나의 이슬람 개혁운동이 새왈리 알라에 의하여 전개되었다. 그는 이슬람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대폭적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 대표적 제스처는 코란의 우르드어 번역이다. 이 개혁주의 동향은 알라가대학교에서 영어교육과 서구 학문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우르드어를 가르치는 교육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이에 서구 학문의 도입에 반대하여 엄격한 울라마를 배출하는 무슬림 신학교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2세기 인도대륙의 이슬람은 세속주의와 정통주의가 갈등을 가지게 되었다. 세속주의는 파키스탄의 초대 대통령인 무함마드 지나에 의하여 지속되었고 정통주의는 다수의 올라마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2. 파키스탄 형성 |
파키스탄이라는 새로운 국가형성을 주장한 이들은 다양한 동기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 동기들을 요약해 보면 첫째 인도대륙에서 무슬림이 소수 공동체로 존속할 경우 힌두교인의 경제적 및 정치적 지배를 받게 될 것을 두려워하였다. 둘째 무슬림들은 힌두교가 강제로 무슬림을 개종하게 하여 힌두교의 계층 밖의 사람들과 같이 억합할 것을 우려하였다. 셋째로 무슬림들은 우르드어를 전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무슬림 정체를 위하여 힌두교의 언어인 힌디어 대신에 우르드어 사용이 필연적이라고 보았다. 넷째로 가장 중요한 동기는, 세속주의이거나 정통주의이거나 무슬림들은 다 이슬람의 정체가 무슬림이 절대 다수를 이루는 독립국가 안에서만 표현될 수 있다고 믿었던 데 있다.
무함마드 익끄발의 예언을 옮긴이는 무함마드 지나(1876-1948)였다. 이들의 사상적 교량은 우르드였고 이 언어 사용은 모든 무슬림들을 단합시키고 교육시키는데 절대적 역할을 하였다. 무함마드 지나는 파키스탄의 아버지라고 불리운다. 지나는 1940년 이슬람연맹(Muslim League)정당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을 때 그의 취임사에서 파키스탄이라는 이슬람 국가 형성을 암시하였다. 그는 무슬림과 힌두교인이 서로 같은지역에 있으나 서로 이질적 가치관과 문화 속에 살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구 종교인들은 같은 도시와 같은 농촌에 살지만 서로 같은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같은 상에서 음식을 먹지 않으며 결혼도 같은 종교권에서만 한다.이름으로도 무슬림과 힌두교인은 구별된다. 장례에서도 힌두교인은 화장을 하고, 무슬림들은 시신을 무덤에 묻는다.
영국이 인도대륙의 독립을 선언하자 힌두교인과 무슬림간에 충돌이 심화되었고 힌두교 지도자들은 간디를 위시하여 힌두교를 부흥시키려 하였다. 힌디어를 인도대륙의 언어로 정하며 힌두 문화화하려고 하였다. 무슬림들의 저항과 독립투쟁은 분명해졌다. 무슬림들은 다수 공동체가 아닌 소수 공동체의 열등감 사회적 차별은 이슬람 정신에 위배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종내는 이슬람공화국을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파키스탄은 1947년 8월 15일 1억4천4백만의 인구를 가진 이슬람 공화국이 지나의 지도력으로 힌두교의 인도대륙에서 신생국가로 탄생하였다. 당시 파키스탄은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방들라데시)으로 구분되었고 지리적으로 인도를 가운데 둔 두 지역으로 형성되었다. 1971년에는 내란과 3회에 걸친 인도와의 전재으로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분리 독립하였다.
파키스탄은 선교지리학적으로 볼 때 매우 중요한 나라이다. 북으로는 중국을 경계로 하고 있고 옛 비단길이 통하는 곳이며 히말라야 산맥이 펼쳐 있다. 8125미터의 낭가-파르바드는 세게에서 가장 높은 아름다운 산맥이며 세계 등반가들의 꿈의 지역이다. 서 북쪽으로는 아프가니스탄이 있고 이 지역을 통하여 초기 이슬람 접촉과 전개가 이루어졌던 곳이다. 험한 산악지대로 퍼탄 사람들이 주로 정착하고 있으며 이들은 현재도 자치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곳은 아프가니스탄의 난민들이 모여 있는 지역이며 동북쪽으로는 푼잡지역이다. 인도와의 경계선 때문에 인도와의 분쟁에서 희생자들이 많았던 곳이다. 아열대지역이므로 농사를 많이 짓고 파키스탄에서는 기후조건이 가장 좋은 곳이므로 교육도시들이 발달하였고 인구도 가장 밀접하여 있다. 기독교인들이 가장 몰려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서남쪽으로는 이란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불로찌스탄으로 알려진 이 지역은 가장 살기 어려운 지역으로서 사막과 고지가 섞여 있으며 인구분포가 다른 지역보다 낮다. 동남지역은 씬드지역인데 인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고 인더스 강이 바다로 흐르는 지역으로서 사막이지만 강변은 비옥하고 과수와 목장이 아름답다.운하시설이 잘 되어서 목축뿐만 아니라 농사도 지을 수 있다. 씬드사람들은 북쪽 퍼탄과 푼잡 사람들과는 달리 여유가 있고 동작이 느리고 피부가 덜 까맣다. 그들은 느릿한 몸짓으로 살아간다. 이 지역에는 문명 발상지인 모헨조다로가 있고 기독교가 가장 먼저 들어온 곳이다. 그리고 유일한 항구 카라치가 있다. 씬드는 필자의 선교지였다.
3. 파키스탄정부 |
1) 1947-1971:
1947년 이후 거의 25년간 파키스탄은 새 정부 정비, 난민문제,카쉬미르
문제들로 긍긍하였다. 새 정부는 지나 대통령과 아윱 칸 대통령 그리고 즐르휘카르 알리 부토의 집권을 통하여 헌법재정과 개정으로
진통을 겪으면서 이슬람요소들을 강조하는 공통점을 유지하였다. 새 정부는 세속주의와 정통주의의 갈등은 해소되지 못한 채 동파키스탄의
결별시기까지 지속되었다.
2) 1971-1977:
부토 정권은 사회주의로 평가되었었지만, 실제로는 이슬람요소가 강화된 때다.
그는 모든 기독교 교육기관들을 국유화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기독교인들을 탄압하였다. 교육기관에 아랍어는 필수과목으로 설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반대 정당들은 그를 이슬람에 관하여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집권자라고 비판을 하였고 부터 정권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아하미디아파를 비이슬람공동체로 선포하였고 음주금지,도박과 경마 금지, 나이트 클럽의 금지를 선포하였다. 이러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부토정권의 반대파들은 연합정당을 만들어서 Pakistan National Alliance(PNA)라고 칭하였고 이
PNA는 부토의 정당, Pakistan People's Party(PPP)와 심각한 대립세력이 되었다. 1977년 총선거에서
부토는 부정선거 고발로 인하여 실권하였고 갈등 끝에 투옥되고 처형되었다.
3) 1977-1988 :
1977년 7월 5일 지아 올 학그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정권교체에
성공하였다. 그의 정당의 주 세력은 즈마엇대 이슬람이었고 이것은 "샤리아"에 의한 정치를 의미하였다. 예를 들면 후드드가
강조되었다. 절도범은 오른 손목이 절단되는 책벌을 받는 것이었다. 폭행을 자행하지 않은 고속도로의 약탈은 30대의 태형이
주어졌다. 간음죄는 기혼자일 경우는 돌로 쳐 죽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100대의 태형, 거짓비방은 80대의 태령,음주는 80대의
태형을 책벌로 정한것이다. 지아 올 학그 정권은 부토정권 때보다 강한 이슬람화, 원리주의에 근거한 이슬람화를 목표로 하였다.
이슬람의 다섯기둥은 정부 관리들에게 필수적이었다.
4) 1988- 현재
1988년 12월 즐르휘카르 부토수상의 딸, 베나지느 부토가 정권을 잡았고
여성으로서 파키스탄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 후 1990년 8월까지 집권하였고 실권의 3년을 반대 정당 Pakistan
Muslim League(PML)지도자 주네조 집권하에 지냈으며,다시 1993년 10월 PPP정권을 회복하여다. 베나지르 부토
정권은 그의 부친의 정책과는 달리 모든 교육기관과 기업체들을 국유화했던 정책을 자유자제로
변경하였다.(Nationalization/den-ation-alization).그 밖에도 여성의 인권을 위한 꾸준한 개혁을
시도하고 있다.부토수상은 이미 1971년 여성정치가의 꿈을 가지고 무슬림 여권선언서를 발표한 바 있었다.2) 위의 4시기를 통하여
본 파키스탄 정부는 다양한 정책들을 시도하면서 공통적으로 이슬람 부흥을 목적으로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 이슬람화가 성공인가
아니면 실패인가라는 많은 파키스탄 지성인들의 고민이되고 있다. 그들은 종족간의 내란과 방글라데시의 분리 독립과 파키스탄의 다른
종교인들,특히 기독교인들과 힌두교인들의 불안을 목격하면서 이슬람화의 의미를 묻는다고 본다. 특히 지아 울 학그 정권은 파키스탄
민족주의를 강조하면서 이슬람화를 강조하였고 이것은 실패로 나타났다.3) 국가와 민족간의 차이가 있음을 간과한 것이다. 파키스탄은
170이상의 종족들로 구성되었고 그중 가장 큰 종족들이 자기들의 지역어와 문화를 지키면서 파키스탄 국가 안에 존속하고 있는
것이다. 파키스탄 형성 이후 인도와의 3회에 걸친 전쟁과 불안한 정부의 교체와 군 계엄령 정치, 그리고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권위와 군력의 행사는 파키스탄의 불안한 정세를 더해 주었고 경제발전의 걸림돌이 되었다.
4. 파키스탄의 종교들 |
1) 이슬람
파키스탄 인구는 1990년 122,666,000, 1995년은 141,599,000이다.5)
그중 이슬람은 96.7%의 교세를 가지고 있고 순니가 67.6%,쉬아가 26.1%(이스마일리도 포함함),아하미디아는 공식발표는
0.13% 그러나 비공식 자료에는 3%(줄르휘카르 부토정권 시기에 아하미디아는 비무슬림으로 선포되었다)이다. 아하미디아는 정부
보도에서는 무슬림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다른 소수 종교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박해와 억압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들은 비밀리에 자기들의
소속을 지키고 있다.
2) 힌두교
힌두교인은 1.5%이다.이들은 주로 씬드 사막지역의 계층 밖의 천민으로 바스띠를 이루고
산다. 주로 유랑민들로 인더스 강가를 따라 목축을 하며, 더러 농사로 생계를 유지하는 아주 가난한 사람들이다. 거의 100%
문맹이다. 이들은 꼴리,아오와리,바그리,오드,다트키로 전적으로 미전도종족이다. 북 푼잡 지역에서는 쭈르하가 복음화되어 현재 기독교
교세를 형성한 사례 이외에 아직도 힌두교 계층 밖에 종족들은 문맹, 가난, 소외의 상황에 있다.
3) 기타종교
전체 인구의 0.1%로 정령숭배,바하이,조로아스터교,불교를 들수 있다.
4) 기독교
기독교 교세는 1.7%이다. 그러나 비공식적으로 2.-3%까지 된다고 한다. 기독교
전개는 개신교 선교로서는 1833년부터이다.가톨릭교회와 선교는 별도로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제목이다. 개신교 선교는
미국 장로교 선교사 로우리 목사와 사모가 캘커타에 도착하여 푼잡 지역에 있는 씨크교도들을 대상으로 선교를 시작한 것이 그
출발이다. 로우리 부인은 병으로 선교지에서 세상을 떠났고 로우리 선교사도 말라리아로 시달리다가 귀국하여 장로교 해외선교부를
조직하였다. 1849년부터는 찰스 포먼과 존 뉴톤이 본격적으로 푼잡지역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전개하였고 성공회 대표선교부(CMS)가
씬드지역에,감리교가 카라치 중심으로 사역을 시작하였다.
그후 대부분의 교단들이 들어와 활동을 하였다. 의료선교,기독교 변론선교 등을 시도하였지만 교회개척은 극히 어려웠고 초기에는 교인수가 극히 적었다. 그러나 1890년에서 1930년에는 힌두교의 쭈르하 종족이 거의 전부 집단 개종을 하여 현재 파키스탄 교세의 80%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6) 쭈르하 계층의 개종이야기는 [파키스탄,나의 사랑]에서 이야기로 소개되었다.7) 파키스탄 교회에 관하여 도시교회,농촌교회,변두리교회에 관하여 이야기를 이미 소개해 놓은 것이 있다.8)
교단교회는 51개에서 2,883개의 교회들이 있다.9) 개신교 선교사들은 72선교부에서 736명이 파송되어
있다.대표적인 국제 선교부는 Interserve,TEAM, CMS,SIM,OM등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아직도 서구
선교사들이며,10%미만의 아시아 선교사들이 80년대 후반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 파키스탄 선교에 관심 있고 이슬람권 선교를 중요시하는 교회지도자들과 선교사들이 뜻을 합하여 CCC. 파키스탄기도회,
이슬람연구소 등 선한사마리아선교회를 설치하기 위한 기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선교회는 다음과 같은 사역 목표를 두게 되기를
바란다.
첫째 파키스탄을 비롯한 이슬람권에 파송된 한국선교사들의 선교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와 후원 및 협력을 하는
것이다.
둘째, 파키스탄 교회지도자들과 좋은 관계를 열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선교정책을 세우는 것이다.
셋째 이슬람권
선교사들의 평생선교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넷째 국내 이슬람권 관련자들과 만나고 함께 선교활동을 하는 것이다.
다섯째
이슬람권 선교사들을 위한 선교관을 마련하는 것이다.
요엘서는 어떤 성서인가요?
요엘서는 다른 선지서와 달리 기록시기를 추측할 수 있는 구절이 없다.
대개 1절에 선지자가 활동하던 시기가 기록된다.
그러나 요엘서는 그것이 없다.
학자들은 그가 요아스(주전 830년) 혹은 웃시야 왕(주전 750년) 때 활동했던 선지자로 추측하고 있다.
요엘 선지자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것이 없다.
그의 이름의 뜻은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이다.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을 에언한 요엘서의 내용과 주제는 스바냐서와 비슷한 점이 있다.
두 책 모두 심판에 대한 예언, 회개의 촉구, 구원의 약속이라는 큰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사실 모든 선지서의 주요 내용이기도 하다.
주제는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에 관한 것이다.
본문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날을 ‘여호와의 날(1:15, 2:1, 2, 10, 11, 30, 31, 3:14~16)’이라고 표현했다.
이 날은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에게는 심판의 날이지만 하나님의 백성들에게는 구원의 날이다.
1:15 “오호라 그 날이요 여호와의 날이 가까왔나니 곧 멸망같이 전능자에게로서 이르리로다” 2:2 “곧 어둡고 캄캄한 날이요 빽빽한 구름이 끼인 날이라”
2:10 “그 앞에서 땅이 진동하며 하늘이 떨며 일월이 캄캄하며 별들이 빛을 거두도다”
2:11 여호와의 날이 크고 심히 두렵도다 당할 자가 누구이랴
2:31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2:18 그 때에 여호와께서 자기 땅을 위하여 중심이 뜨거우시며 그 백성을 긍휼히 여기실 것이라
2:27 내가 이스라엘
가운데 있어 너희 하나님 여호와가 되고 다른 이가 없는 줄을 알 것이라 내 백성이 영영히 수치를 당치 아니하리로다
3:16 나
여호와는 내 백성의 피난처, 이스라엘 자손의 산성이 되리로다
심판의 예언(세가지 여호와의 날에 대한 환상)
여호와의 날(the days of the Lord)에 대한 세 개의 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요엘 선지자는 역사의 세 개의 큰 봉오리를 바라 본 것이다.
첫번째 봉오리는 시간적으로 가장 먼저 일어날 일이다. 그것은 메뚜기의 환상이다.
두번째는 메뚜기의 환상을 통해 바라본 이방군대의 침입이다.
세번째는 그 보다 훨씬 먼 훗날 곧 하나님께서 마지막으로 엄정한 심판을 하실 여호사밧계곡의 심판이다. 그것은 최후의 심판에 관한 것이다.
요엘 선지자는 이 세 개의 봉오리를 보았다. 하나님은 요엘 선지자에게 이 세가지 환상을 보여 주시면서 동시에 사람들의 회개를 촉구했다.
이 세가지 환상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점차 그 심판의 정도가 커진다는 특징이 있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일곱 인, 일곱 나팔, 일곱 대접 환상에서도 그 정도가 심해 진다.
메뚜기 환상(1장)
1:4 팟종이가 남긴 것을 메뚜기가 먹고 메뚜기가 남긴 것을 늣이 먹고 늣이 남긴 것을 황충이 먹었도다
4종류의 메뚜기 떼가 연속적으로 침입해서 모든 곡식들을 다 갉아먹었다.
메뚜기의 침입은 모든 사람에게 닥치는 재앙이다. 그것은 술취한 자(1:5)나, 제사장(1:13~16)이나 농부나 할 것 없이 모든 사람이 당하는 고통이다. 이 재앙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1:18~20)과 온 지구(1:17)에 닥치는 재앙이다. 오늘날 천재지변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하나님의 허락 하에 의해 주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모두 하나님의 뜻 아래 일어나는 것이다. 요엘 시대의 사람들은 메뚜기 공격을 단순한 자연재해로 여겼지만 요엘은 그것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보고, 그것을 주의 날, 곧 주님의 심판 중의 하나로 보았다. 그리고 장래 일어날 또 다른 주님의 심판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로 보았다.
오늘날에도 메뚜기 재앙과 같은 하나님의 심판이 계속되고 있다.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하나님의 마지막 심판의 날이 도래하기 까지 계속해서 메뚜기 재앙과 같은 심판은 일어날 것이다.
이방 군대의 침공(2:1~11)
메뚜기 침공을 비유로 한 장래 이방 군대의 침공도 하나님이 허락하신 심판의 하나였다. “The Lord shall utter His voice before His army,” 그것은 유대와 이스라엘의 멸망을 보여주는 예언이다.
이방군대의 침공에 의한 예루살렘의 멸망은 그 후에도 계속되었다. 주후 70년에 로마 군대의 침공을 받아 예루살렘이 멸망 당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로마군대에 의해 포로로 끌려갔다.
마24:21 이는 그 때에 큰 환난이 있겠음이라 창세로부터 지금까지 이런 환난이 없었고 후에도 없으리라
여호사밧계곡의 심판 (3:1~16)
마지막으로 여호사밧계곡에서 있는 심판의 모습이다.
여호사밧은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그 이름이 하나님은 심판이라는 뜻이다.
여호사밧계곡은 예루살렘의 동남쪽에 있는 기드론계곡의 다른 이름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3:1~2 “그 날 곧 내가 유다와 예루살렘의 사로잡힌 자를 돌아오게 할 그 때에 내가 만국을 모아 데리고 여호사밧 골짜기에 내려가서 내 백성 곧 내 기업된 이스라엘을 위하여 거기서 그들을 국문하리니 이는 그들이 이스라엘을 열국 중에 흩고 나의 당을 나누었으며…열국을 동하여 여호사밧 골짜기로 올라올찌어다 내가 거기 앉아서 사면의 열국을 다 심판하리로다
마25:31~46절에 주님의 최후의 심판의 모습이 잘 나와 있다.
인자가 자기 영광으로 모든 천사와 함께 올 때에 자기 영광의 보좌에 앉으리니 모든 민족을 그 앞에 모으고 각각 분별하기를 목자가 양과 염소를 분별하는 것같이 하여… 죄인은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
요엘의 세 가지 환상은 시간적으로는 당장, 조만간, 먼 훗날에 일어날 일들이다. 그리고 그 배후에는 하나님의 통치와 은혜가 자리잡고 있다.
회개의 촉구
하나님은 주의 날에 대한 세가지 심판에 대한 환상과 함께 회개를 촉구하는 회복의 메시지를 함께 주셨다. 각 심판에 대한 환상에 대해 회개를 촉구하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메뚜기 심판에 대해 회개를 촉구하는 내용은 1:14 “너희는 금식일을 정하고 성회를 선포하여 장로들과 이 땅 모든 거민을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전으로 몰수히 모으고 여호와께 부르짖을찌어다”
이방군대를 통한 심판에 대해서는 2:12~13에 회개를 촉구하는 내용이 기록되었다. “여호와의 말씀에 너희는 이제라도 금식하며 울며 애통하고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오라 하셨나니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찌어다 그는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애가 크시사 뜻을 돌이켜 재앙을 내리지 아니하시나니”
주의 날에 구원을 얻는 길은 옷을 찟지 말고 마음을 찢고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가는 것이다.(형식적인 종교생활이 아니라 실제적인 삶을 말한다.)
회개는 교회 공동체 차원에서 정성드려 준비된 마음으로 해야 한다.(2:15~17)
마지막 심판에 대해서는 2: 32절에 회개를 촉구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누구든지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니 이는 나 여호와의 말대로 시온 산과 예루살렘에서 피할 자가 있을 것임이요 남은 자 중에 나 여호와의 부름을 받을 자가 있을 것임이니라
얼마 전에 죤 맥아더 목사님이 릭워렌 목사님이 쓰신 ‘목적이 이끄는 삶’에 대해 비판적으로 하신 설교 말씀을 들었다.
릭 워렌 목사님의 책에는 예수 믿으면 구원을 얻는다는 내용은 있지만 회개가 빠져 있다고 했다. 회개와 믿음은 동전의 앞뒤와 같은 것이다. 예수 믿는다고 하면서도 자신의 죄를 회개치 않는다면 스스로 속이는 것이다. 진정으로 회개한 자는 예수를 믿는 자들이다.
예수를 믿는다고 말할 때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앞에 회개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진정으로 회개를 했느냐 하지 않았느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회개한 사람은 그 삶이 성령의 인도를 받아 성령의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구원의 약속
여호와의 날이 이르기 전에 회개하고 주님께 의지하는 자는 구원을 얻게 된다.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은 하나님이 친히 하신 약속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지는 것이다.
메뚜기의 침공에 대하 회복의 약속은 2:21~27절에 기록되어 있다.
“내가 전에 너희에게 보낸 큰 군대 곧 메뚜기와 늣과 황충과 팟종이의 먹은 햇수대로 너희에게 갚아주리니 너희는 먹고 풍족히 먹고”(2:25~26)
이방군대의 침공에 대한 하나님의 회복의 약속은 2:18~20에 기록되어 있다.
“그 때에 여호와께서 자기 땅을 위하여 중심이 뜨거우시며 그 백성을 긍휼히 여기실 것이라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응답하여 이르시기를 내가 너희에게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을 주리니 너희가 이로 인하여 흡족하리라 내가 다시는 너희로 열국 중에서 욕을 당하지 않게 할 것이며”(2:18~19)
이것은 바빌론 포로로 끌려갔던 유대인들이 자유의 몸으로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것으로 일부 성취되었다.
마지막 심판 전에 회개하고 주님께로 돌아오는 자에게는 성령을 약속하셨다.(2:28~32)
“그 후에 내가 내 신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 자녀들이 장래 일을 말할 것이며 너희 늙은이는 꿈을 꾸며 너희 젊은이에게는 이상을 볼 것이며 그 때에 내가 또 내 신으로 남종과 여종에게 부어 줄 것이며 ….”
요엘서의 이 예언은 행전 2장 베드로의 설교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2:16~21) 요엘선지자의 이 예언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2:28 행2:19~21 사건은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것이다.
성령강림은 유대인, 이방인, 왕, 자주자, 노예, 남자, 여자, 노인, 어린이, 신자 등 모든 사람에게, 곧 만민에게 주어졌다. 불신자도 포함되는가?
장래 성령을 받고 구원의 약속을 받은 자는 새예루살렘성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될 것이다.
그 날에 산들이 단 포도주를 떨어뜨릴 것이며 작은 산들이 젖을 흘릴 것이며 유다 모든 시내가 물을 흘릴 것이며 여호와의 전에서 샘이 흘러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 대리라
요한계시록 22장에 나오는 새예루살렘성 하나님 보좌 앞에서 흘런나오는 생수의 강을 연상케 하는 대목이다.
“또 저가 수정같이 맑은 생명수의 강을 내게 보이니 하나님과 및 어린 양의 보좌로부터 나서 길 가운데로 흐르더라 강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어 열두 가지 실과를 맺히되 달마다 그 실과를 맺히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소성하기 위하여 있더라 다시 저주가 없으며 하나님과 그 어린 양의 보좌가 그 가운데 있으리니 그의 종들이 그를 섬기며 그의 얼굴을 볼 터이요 그의 이름도 저희 이마에 있으리라 다시 밤이 없겠고 등불과 햇빛이 쓸데 없으니 이는 주 하나님이 저희에게 비취심이라 저희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리로다”(22:1~5)
결론
주의 날은 현재형이자 미래형이다. 그리스도인에게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의 은혜는 현재진행형이자 미래형이다. 마지막 심판의 때를 향해 매 순간 하나님의 심판이 자연재해로, 전쟁으로, 질병으로, 기근 등으로 찾아 온다. 그러나 그것은 장차 다가올 마지막 심판의 전조에 불과한 것이다. 하나님은 매 시간 사람들이 회개하고 주님께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고 계신다.
우리는 어느 때나 임박한 심판, 그리고 조만간 다가올 심판, 마지막 심판이 매 역사의 순간 만에 재현되고 있다. 그 때 마다 하나님은 회개하고 주님께로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계시다. 선지자들을 통해 증거되는 말씀대로 회개하고 주님께로 돌아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는 것이다.
우리는 성령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 시대가 어느 정도 오래 지속될 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마지막 심판의 때는 도적같이 찾아 올 것이다. 미리 준비된 자들은 구원을 얻겠지만 그러지 못한 자들은 순식간에 멸망 당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구원에 관해 자신들이 생각하는 것을 말했다.
기독교인은 죄를 회개해야 한다. 그리고 예수를 믿어야 한다. 그럴 때 성령이 함께 하신다. 그리고 성령의 인도를 받아 죄를 멀리하고 의의 열매를 맺는 삶을 살아야 한다. 선행은 구원의 조건이 아니다. 구원의 열매인 것이다. 선행이 없다고 해서 구원받은 백성이 아니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구원받은 백성은 선행의 열매를 맺는다. 양자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성령충만을 약속하는 요엘서의 예언은 일부는 완성되었고 나머지는 앞으로 완성될 부분이다. 우리는 하나님의 마지막 심판이 다가오기 전에 이미 예수 믿고 구원을 받은 백성이다. 이 땅을 살아 가는 동안 그 믿음을 굳건히 붙드시고, 장차 하나님 나라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리시는 저와 여러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요엘서는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곧 히브리 성경의 1~2장이 첫 부분이고, 2~4장이 두 번째 부분이다.
첫 번째 부분은 메뚜기의 재앙에 관한 내용이며 여기에서 언급된 메뚜기는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곧 실제 메뚜기 떼의 출현, 이방인들의 침략 물결에 대한 풍유적 표현, 유대인들이 가장 최근에 겪었던 하나님의 징계에 대한 묵시적인 설명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이 부분은 표제어에 이어서 위기에 대한 선포로 시작된다.(2~7절)
그리고 이스라엘이 당할 처지를 애곡할 것과 회개할 것을 호소하였다.(8~14절)
15~20절에는 애곡의 다양한 표현들이 나타나 있다.
욜 2:1~11에는 현재의 재난이 장차 올 여호와의 날에 대한 전조이기 때문에 여호와의 날을 대비하라는 경고가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어서 온 이스라엘에게 여호와께로 돌아오라는 탄원과(12~14절), 회개에 합당한 제사 의식을 준비하라는 메시가 기록되어 있다.(15~16절)
이 메시지에 따라 제사장들은 진심에서 우러나온 회개의 기도를 드렸다.(17절)
이들의 기도를 들으신 하나님께서는 재앙과 기근으로부터 구원해 주실 것과 언약의 갱신에 대해서 약속하셨다.(18~27절)
요엘서의 나머지 부분은 여호와의 날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날에는 이방 나라들 위에 징계가 내릴 것이나 유다와 예루살렘 위에는 축복이 임할 것이다.
그리고 성령을 부어주시고 여러 가지 이적과 기사에 관한 소식이 이 마지막 큰 날에 들려올 것이다.(2:28~32)
여호와께서는 찬송을 불러 대적들을 무찔렀던 여호사밧 골짜기(브라가 골짜기)에 대하여 상기시키면서(3:1~3), 여호와의 날에는 열방과 주의 용사 사이에 성전이 시작될 것이라고 계시하였다.
요엘서의 마지막 결론은 저주를 받은 열방의 파멸과 축복을 받은 시온의 번영을 대조시키면서 끝을 맺고 있다.
2. 신학
요엘서의 중심 주제는 여호와의 날이다.
비록 구약의 어떤 책보다 요엘서가 여호와의 날에 대하여 많이 강조하고 있으나, 이 주제가 요엘서에서만 유일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사 2:4, 6~22에 의하면 열방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까지 여호와의 날에 심판을 당할 것이라고 나타나 있다.
아모스 선지자도 이스라엘에게 여호와의 날에 변호대신 진노가 임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암 5:18~20)
스바냐 역시 여호와의 날에 우주적인 심판이 있을 것이지만 겸손하고 의로운 자들에게는 소망이 있다고 전파했다.(습 1~2장)
먼저 요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겪었던 메뚜기의 재앙을 언급하면서 만약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백성들이 언약대로 순종하지 않는다면 그들 위에 메뚜기 재앙보다 휠씬 더 극심한 재앙들이 여호와의 날에 임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요엘은 여호와의 날이 종말론적인 구원의 날이 될 것이라고 선포하였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요엘이 묵시적인 종말론, 곧 이스라엘 뿐만 아니라 이방 나라들을 포함한 우주적인 종말론을 맨 처음 선포한 선지자라고 본다.
요엘은 하나님을 모든 피조물과 모든 역사까지 주관하시는 분으로 묘사하였다.
하나님의 현현하심을 나타낼 때 땅의 지진과 하늘의 흑암으로 묘사하였다.(2:2, 11)
또한 자기 백성들 속에 나타내신 하나님의 역사는 땅을 회복시켜 주시겠다는 약속도 하셨으나(2:24~26, 3:13, 18) 땅을 황폐케 만드시기도 하였다.(1:7, 10~12, 17~20, 3:19)
여호와께서는 파멸의 세력을 보내시기도 하고(2:11) 쫓아내시기도 하셨다.(20절)
여호와의 성령은 언약을 통하여 새롭게 된 모든 사람들에게 임하게 될 것이다.
성령을 받은 사람은 다가올 심판을 견딜만큼 강건해지며, 하나님과 직접적인 관계가 열려질 것이다.(2:28~29)
요엘서에 언급된 만민은 본래 유다와 이스라엘 백성들을 가리켰으나 베드로는 그의 오순절 설교에서 이 구절이 모든 인류를 가리킨다고 재해석해 주었다.
예언자 요엘이 전한 하느님의 말씀을 적은 성서라 그 예언자의 이름을 따서
‘요엘’이라 불렸어요.
요엘서는 후기 예언서에 속하는 12개의 소예언서 중 두 번째에
놓여 있는 성서이지요.
누가 썼나요?
예언자 요엘이 전한 하느님의 말씀이 이 성서의 주된 내용이지요.
요엘이란 이름의 뜻은 ‘야훼는
하느님이시다’ 또는 ‘야훼는 나의 하느님’입니다.
이 이름은 이스라엘에서 매우 흔했습니다.
예언자
요엘은 오직 “브두엘의 아들”(요엘 1,1)이란 소개말 이외에는 달리 언급된 내용이 전혀 없어 그 정체를
자세히 알아볼 수 없습니다.
다만 요엘서를 통해 보면 그는 경신례에도 밝았던 예언자이며, 뛰어난 시인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그는 여러 옛 예언자들의 가르침을 적극적으로 인용하면서도 나름대로 야훼의 날에 이루어질 심판과
구원을 힘있게 선포했답니다.
그 중에서도 그 날에 이루어질 ‘하느님 영의 강림’을 밝힌 내용은
신약성서에 큰 영향을 미쳤지요(사도 2,17-24). 그래서 요엘은 ‘영의 예언자’ 혹은 ‘성령강림의
예언자’란 별명을 얻기도 했지요.
언제 쓰여졌나요?
예언자 요엘이 활동한 연대를 알 길은 막연하지요.
그렇지만 학자들은 요엘서의 내용과 문체, 어휘 등을
잘 따져서 여러 가지 견해를 제기하고 있어요.
대체적으로 예전에는 바빌론 유배 이전의 왕조 시기로
보았지만, 요즘에 와서는 유배 이후인 대략 기원전 400년경을 요엘서의 작성시기로 본답니다.
요엘서에는 다른 예언서들보다 경신례를 많이 강조하고 있어요. 단식과 성회, 사제와 제단에서 시중드는 자, 성전 제사 등에 대한 언급이 그것들이지요. 반면에 왕이나 북 이스라엘 왕국 및 사마리아인에 대한 언급도 없지요. 이런 모든 정황들은 바빌론 유배 이후 에즈라·느헤미야 개혁을 거치면서 기원전 5세기에 형성된 유다 경신례 공동체의 특성에 잘 들어맞는답니다.
왜 쓰여졌나요?
페르시야 시대 말기인 기원전 5세기경, 유다는 예루살렘 성전도 재건하고 성벽도 쌓고 유다교도 형성하여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고 있었어요. 그라하여 그 체제에 안주하려는 경향도 거세졌지요. 바로 이러한 때에 요엘은 메뚜기 재앙을 체험한 사실을 들어 ‘야훼의 날’을 일깨워주지요.
메뚜기떼나 가뭄 같은 재앙은 하느님께서 우리의 역사에 개입하시는 하나의 표징이지요. 요엘은 이것을 보고 정신 차려 다시금 하느님을 찾고 하느님이 누구신지 바로 알도록 촉구하는 것이지요(요엘 2,27; 4,17). 그는 하느님께서 뭇 민족을 심판하시지만, 만민에게 영을 불어넣으시고 그 심판의 날을 ‘구원의 날’로 바꿔주신다는 그분의 약속을 전하며 희망을 전해줍답니다.
결국 공동체가 지금 온 마음으로 하느님께 돌아가 그분을 신뢰하며 그분 안에 머물 때,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구원의 은혜를 받을 수 있음을 가르쳐주고 있죠.
새김과 나눔
요엘은 메뚜기떼와 가뭄을 야훼의 날을 미리 알리는 표징으로 보았습니다.
내 삶에서 혹은 우리 시대의
어떤 사건에서 하느님의 손길을 느낀 경우가 있었으면 서로 나눠 보십시오.
그 깨달음이 어떤 결과를 가져 왔습니까?
심장을 찢고 너희 하느님께 돌아오라(요엘 1-4장)
요엘서는 4장인데, 내용에 따라 뚜렷하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주께서 거둥하실 날이 왔다(요엘 1,1-2,27)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의 기도를 듣고 약속해 주신 내용은 무엇입니까?(2,21-24)
먼저 요엘은 모든 주민들이 귀를 기울여 자신의 말을 듣고 대대로 후손에게 전할 것을 요청합니다(1,2-3). 즉 자신이 전하는 말은 지금 당장에만 유효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올 미래 세대들에게까지도 유효한 하느님의 말씀임을 밝힌 것이죠. 이와 같이 성서는 한 세대를 넘어 모든 세대를 위한 것이랍니다.
요엘은 뒤이어 메뚜기떼로 인한 엄청난 재앙을 애소합니다. 하느님께 드릴 제물조차 없을 정도로 피해는 극심하죠. 지금도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메뚜기떼가 한 번 지나가면 푸른 초목이 다 없어질 정도로 피해가 막심하답니다. 요엘은 이를 단순한 재앙이 아니라 “야훼께서 거둥하실 날”이 오고 있다는 징조라고 풀이해요(1,15). 그는 사태를 적당히 무마하려고 하지 않고, 오히려 그 심각성을 직시하며 눈을 들어 하느님을 보라고 이끌죠. 바로 이것이 예언자의 모습이지요.
주께서 거둥하실 날에 벌어질 일은 온 우주에 미치며, 그 위력은 아무도 감당할 수 없으리만큼 거세요. 그러나 요엘은 온 백성이 모여 외적(단식·옷 찢음)으로뿐 아니라 내적(심장 찢음)으로 참회하여 울부짖으면, 하느님께서 그 기도를 들어주시리라는 약속을 전해요. 이 일을 통해 하느님의 백성은 참 하느님을 깨닫게 되고 그분을 찬양하게 되리라고 밝히구요(2,26-27).
내 영을 만민에게 부어주리니(요엘 3,1-4,21)
마지막 날이 오면 어떤 사람이 구원을 받으리라고 예언됩니까?(3,5; 참조 로마 10,13)
1장과 2장이 실제로 있었던 메뚜기떼와 가뭄으로 인한 재앙과 약속이라면,
3장과 4장은 앞으로 있을 일의
예언입니다.
무엇보다도 야훼의 날이 오면 만민에게 하느님의 영이 내려질 것이라고 밝혀요.
전에는 72인
장로에게만 영이 내렸지만(민수 11,24-29), 이제는 종들에게까지도 영이 내리죠(3,2).
이는 새로운
하느님의 공동체가 이루어질 것임을 예시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그리스도교는 오순절 사건을 이 예언의
성취로 받아들였던 것이죠(사도 2,17-21).
4장에서는 마지막 날 불의한 각 나라에 내릴 하느님의 심판이 구체적으로 나열되어요.
비록 유다
중심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내용적으로는 보잘것 없고 약한 인간의 존엄성을 짓밝는 강한 자들의 폭력을
심판하시는 것이죠. 이 심판은 전면전으로 벌어져, 하느님의 용사들도 “보습을 쳐서 칼을 만들어”(4,10;
비교 이사 2,4; 미가 4,3)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은신처, 산채가 되시어
그들을 보호하실 것을 약속하세요(4,16).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알게 되는 것은 “야훼 하느님이 우리의 하느님”(4,17)이시라는 사실이죠.
결국
요엘은 일상에서 안일하게 사는 우리의 삶을 뒤흔드는 야훼의 날을 내다보며, ‘지금’ 하느님께 돌아와
그분을 알아 섬리라고 호소하는 것이에요.
호세아서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성서에서 하느님을 안다는 말은
실제 삶에서 하느님을 인정하고 그 말씀대로 따르는 삶,
곧 예수께서 일러주신 ‘십자가의 길’을 걷는
삶을 가리킨답니다.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하시니라.
But you must not eat from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for when you eat of it you will surely die.
하나님이 노아에게 이르시되 모든 혈육 있는 자의 강포가 땅에 가득하므로 그 끝날이 내 앞에 이르렀으니 내가 그들을 땅과 함께 멸하리라.
So God said to Noah, "I am going to put an end to all people, for the earth is filled with violence because of them. I am surely going to destroy both them and the earth.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이르시되 너는 너의 본토 친척 아비 집을 떠나 내가 네게 지시할 땅으로 가라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케 하리니 너는 복의 근원이 될찌라
너를 축복하는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를 인하여 복을 얻을 것이니라 하신지라.
The LORD had said to Abram, "Leave your country, your people and your father's household and go to the land I will show you.
I will make you into a great nation and I will bless you; I will make your name great, and you will be a blessing.
I will bless those who bless you, and whoever curses you I will curse; and all peoples on earth will be blessed through you.
세계가 다 내게 속하였나니 너희가 내 말을 잘 듣고 내 언약을 지키면 너희는 열국 중에서 내 소유가 되겠고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너는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할찌니라.
Now if you obey me fully and keep my covenant, then out of all nations you will be my treasured possession. Although the whole earth is mine,
you will be for me a kingdom of priests and a holy nation.' These are the words you are to speak to the Israelites.
네 수한이 차서 네 조상들과 함께 잘 때에 내가 네 몸에서 날 자식을 네 뒤에 세워 그 나라를 견고케 하리라.
When your days
are over and you rest with your fathers, I will raise up your offspring
to succeed you, who will come from your own body, and I will establish
his kingdo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님께서는 창세기부터 계시록까지 각 “시대마다 독특한 경영
방침”(Dispensation)으로 역사를 주관하신다. 성경을 배우는 학생이 진리의 말씀을 올바로 나누어 교리적인 모순이 없이
성경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경영 방침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는 각 시대들을 구체적으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님께서 인간들과 맺으신 언약들(Covenants)을 통해 경영 방침의 차이에서 오는 각 시대들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
언약은 하나님과 사람이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계약이나 합의로써, 쌍방 간에 확실한 이해의 바탕 위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언약은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이다. 하나님의 언약은 약속에 대한 확실한 성취를
바탕으로 주어진다. 성경에는 여덟 번의 언약들이 나타난다. 각각의 새로운 언약들이 설립될 때마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을 다루시는
방법이 바뀌게 되었다. 하나님께서는 각 시대의 대표적인 사람들을 택하셔서 그 사람들에게 약속을 주셨다.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들이
성취되기 위해서는 각 시대마다 인간들에게 주신 명령에 순종해야만 한다. 이 명령들은 ‘먹지 말라, 계명들을 지키라, 믿으라’ 등
다양하다. 인간들이 명령에 순종하지 않고 거역할 때에는 하나님의 심판이 있고, 다시 새로운 언약이 시작된다. 이제 여덟 번의
언약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1. 에덴의 언약 (창 2:16-18)
에덴의 언약은 인간이 죄를 짓기 이전 에덴에서 아담과 이브에게 주어진 것이다. 에덴의 언약이 선포된 때부터 다음
언약이 맺어질 때까지를 일반적으로 무죄시대(Innocence)라고 부른다. 언약의 내용은 땅을 다시 채우는 것, 땅을 정복하는
것, 동물들에 대한 지배권을 갖는 것, 식물만을 먹는 것, 에덴의 동산을 가꾸고 지키는 것, 선과 악의 지식의 나무(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를 먹지 않는 것이었다.
에덴의 언약 아래서의 삶은 완전한 환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옷도 입지 않고, 일도 하지 않고, 세금도 없고, 전쟁도
없고, 병도 없고, 죽음도 없고, 바깥에서 살았으며 모든 동물들과 교제를 나눴다. 동산을 가꾸는 것은 의심할 것 없이 의무적인
일이 아닌 유쾌하고 즐거운 일이었다. 땅에는 저주가 없음으로 가시나 엉겅퀴를 내지 않았고 동물들도 식물을 먹고 살았음으로 서로
물어뜯고 피를 흘리는 일이 없었다. 바로 이러한 시대를 현대의 모든 인본주의자들은 법과 전쟁, 과학과 교육을 통해 이루어 보려고
한다. 그러나 인간의 어떤 노력으로도 결코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에덴에서 아담이 할 일은 동산을 지키며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나무
열매를 먹지 않는 것이었다. 만약 금지된 열매를 먹는다면 그 대가는 죽음이었다. 그 외에는 지켜야 할 안식일도 없었으며,
십계명도 존재하지 않았다. 영원한 생명을 위해서는 생명나무(the tree of life)를 값없이, 자유롭게(freely)
먹으면 되었다. 단지 나무 열매를 따먹는 행위로 구원을 받을 수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동산을 거니시면서 아담과 교제하셨기에, 보지
못하는 것의 증거인 믿음은 필요가 없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함께 대화하셨고 아담은 그 분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 알 수는 없지만, 이브가 완전한 환경에 대해 충분하게 경험을 할 때까지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브가 육체적으로만 성숙했으며 전혀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가장 간교한 존재인 뱀의 유혹과 대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담의 타락에 대해 하나님께 책임을 돌릴 수는 없다. 선과 악의 지식 나무를 먹지 말라는 명령은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그것을
먹도록 유혹하는 어떤 존재에 대해 아담에게 경고하신 것이다. 또한 에덴의 동산을 지키라(keep)고 말씀하셨다.
이처럼 지상에서 인간의 존재는 최고의 환경 가운데 시작되었다. 땅은 태고의 영광으로 회복되었고 물은 물고기들로 가득
찼으며, 무성한 식물들이 지표면을 덮었다. 공중은 새들과 식물에서 나오는 향기로 가득 찼고, 땅은 안개로 촉촉이 젖으므로 파괴적인
폭풍 같은 것은 있지 않았다. 낮과 밤의 아름다움은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장엄했을 것이며 모든 생물들은 각기 종류대로 완전했다.
아담은 최상의 동산에서 형용할 수 없는 아름다운 경치와 더불어 하나님과 방문자들인 천사들과 교제하며 살았다. 모든
것이 이상적이었다. 아담이 그 속에서 홀로 있는 것이 좋지 않았기에 하나님께서는 그를 위해 돕는 배필(help meet)을
만드셨다. 아담은 이브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고 있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그녀가
남자에게서 취하여 졌으니 여자라 하리라』(창 2:23). 처음부터 아담이 그녀를 사랑했고 그는 그녀가 금지된 열매를 먹음으로
죽음에 처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최초의 부부는 달콤한 교제 가운데 행복했으며 그러한 상황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고 믿었을 것이다.
지식의 나무에 대한 금지 이유를 알기 위해 호기심 있는 이브가 아담 몰래 나무 가까이 갔을 것이다. 나무 곁에서
이브를 발견한 사탄은 그 기회를 즉각적으로 이용했다. 사탄은 하나님께서 아담과 이브에게 나무 열매를 금지하신 이유에 대해 교활하게
속였다. 이브가 뱀과 대화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은 것은 뱀이 혐오감을 주는 파충류가 아니고 이브에게 낯선 존재가 아니었다는
것을 알려 준다. 이브는 종종 뱀을 보았고 아마 전에도 뱀과 이야기 했을 것이다. 사탄은 빛의 천사로 나타난 것이다.
사탄은 최초의 고등비평가(higher cri- ticism)이다. 사탄은 의심의 창조자이다. 『주 하나님께서 지으신
들의 어떤 짐승들보다도 뱀은 더욱 간교하더라. 그가 여자에게 말하기를 “참으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는 동산의 모든
나무에서 나는 것을 먹지 말라.’ 하시더냐?” 하니』(창3:1). 사탄의 질문은 이브의 마음과 생각 속에 자리 잡았다. 의심은
인류가 이브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 말씀에 의문을 제기하는 만큼 하나님의 선하심을 부인한다. ‘하나님께서는 정말로
이렇게 말씀하셨는가? 하나님께서는 사랑이 많으시고 자비로우셔서 악한 자들이라도 영원한 형벌에 처하지는 않으실 것이다.’ 결국
사탄은 『너희는 결코 죽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함으로써 하나님을 거짓말쟁이로 만든다.
인간의 타락에서 사탄의 승리는 완전했다. 아담과 이브의 불순종의 최초의 결과는 자기 의(self
righteousness)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벌거벗었음을 알았고, 이 지식의 결과 무화과 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모든
동물은 자연적으로 옷 입혀진다. 물고기는 비늘로, 새는 깃털로, 짐승은 털이나 가죽 등으로. 심지어 뱀들도 아름답고 색깔 있는
피부를 가졌다. 하나님의 모든 창조물 중에서 오직 인간만이 벌거벗은 상태로 남아있어 인공적인 옷을 입어야만 한다. 이것은 죄의
결과이다.
에덴의 언약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 시대는 완전하게 독특하다. 죄의 부재와 하나님의 임재로 특징지을 수 있다.
하나님의 성막이 인간과 함께 있게 되기까지는 다시 이와 같은 시기는 없을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새 땅에서 인간과 함께 거하실
것이다(계21:3). 에덴에서 하나님께서는 무죄(innocence)를 기본으로 아담을 다루셨다. 죄의 저주가 땅에서 제거될
때까지는 하나님께서 똑같은 방법으로 인간을 다루실 수 없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에덴의 언약은 파기되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아담과 이브가 생명나무를 먹고 죄악 된 몸으로 영원히
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용서받은 죄인들을 동산에서 내쫓으셨다. 첫 번째 언약 아래에서 인간은 저주 받은 인간, 저주 받은 땅으로
실패하고 만다. 지금도 인간들은 주장하기를 깨끗하고 완전한 환경은 죄를 대항하는 보호자가 된다고 하지만 에덴의 언약 아래서의
실패는 이러한 주장이 거짓임을 증명한다. BB
에덴에서 아담의 실패는 순수했던 시대를 끝맺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한다. 아담이 에덴 동산에서 쫓겨나기 전에 하나님과 아담 사이에 아담의 언약(Adamic Covenant)이 맺어 진다. 이
언약으로 인간 역사는 두 번째 경륜(Dispen- sation)으로 접어들게 되며, 이때부터 노아의 시대까지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역사가 운영된다. 선과 악을 아는 양심(conscience)에 의해 인간들이 다루어졌다고 하여 이때를 일반적으로 ‘양심의
시대’라고 부른다. 아담의 언약으로 인해 새로운 경륜이 시작되기는 하지만, 이 언약은 그 시대만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에덴에서의
언약과 마찬가지로, 무조건적인 이 언약은 이후로의 모든 인간 역사를 규제한다. 하나님의 아들(the Son of God)이 다시
오셔서, 세상에서 저주가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이 언약은 유효하다.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이 전파되는 지금도 아담의 언약은 파기되지
않았다.
아담의 언약에 포함된 내용은 저주와 약속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뱀에 대한 저주이다. 뱀은 모든
가축과 들짐승들보다 더욱 저주를 받아, 평생토록 배로 기어 다니게 되며, 흙을 먹게 된다. 또 뱀과 여자 사이에는
적의(enmity)가 있게 된다. 창조로부터 이 순간까지 뱀은 아름다운 존재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보기만 해도 혐오스러운
파충류의 모습을 갖게 된다. 지금도 뱀을 혐오하지 않는 여자는 거의 없다. 둘째는 여자에 대한 저주이다. 여자에게는 고통과 임신이
크게 늘어나게 되었고, 고통 가운데서 자식들을 낳게 되었다. 또한 여자의 바람은 남편에게 있게 되어 남자가 여자를 주관하게
된다. 이것은 남자와 여자 사이의 기본적 질서를 나타낸다. 남자와 여자 사이의 지위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이다. 어느 누구도
언약에 포함된 저주에 대해 항변할 권리를 갖고 있지 못하다. 셋째는 아담에 대한 저주이다. 그가 자기 아내의 음성에 귀를 기울인
까닭에, 금지된 나무의 열매를 먹었음으로 땅이 저주를 받게 된다. 아담은 일생 동안 고통 가운데서 땅의 소산을 먹으며 얼굴에는
땀을 흘려야만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저주받은 땅은 가시와 엉겅퀴를 내어 땅을 경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이때 아담에게 허락된 것은 단지 식물뿐이다. 결국 불순종의 대가로 아담은 육체적인 죽음을 맞이하게 됐으며, 흙으로 돌아갈
운명에 놓인다. 죄는 인간에게 영(spirit)과 몸(body)의 죽음을 야기 시켰다.
아담의 언약은 저주뿐만 아니라 약속도 담고 있다. 그 약속은 여자의 씨가 뱀의 머리를 부수게 될 것이고, 뱀의 씨는
‘여자의 씨’의 발꿈치를 부술 것이라는 내용이다. 이 약속에 따라 하나님의 말씀을 믿는 사람들은 약속된 ‘여자의 씨’를 기다려
왔으나, 반대로, 사탄과 그의 추종자들은 계속해서 그 씨가 출현하는 길을 막으려고 노력했다. 아담 이후의 역사는 하나님의 약속을
거짓으로 만들어 버리려는 사탄의 계속적인 시도를 보여 준다. 각 시대마다 반복되는 인간들의 실패도 이 사실을 설명한다. 이러한
약속에 포함된 사실들에서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자체가 은혜로 연결됨을 볼 수 있다. 더욱이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그의 아내를 에덴
동산에서 쫓아내실 때 그들에게 가죽으로 옷을 지어 입히셨다. 이 사건으로 하나님께서는 죄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인가의 피가
흘려져야 됨을 아담에게 보여주셨다. 하나님께서는 가죽옷으로 아담에게 입혀 주심으로 피로 드리는 제사를 계시해 주신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아담이 그러한 제사를 드렸는지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지 않다. 성경에서 처음으로 피를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간 사람은
아벨이었다. 카인은 저주받은 땅의 소산만을 의지하였으나 아벨은 자기의 양 중에서 첫배 새끼의 피를 가지고 하나님께 나아갔다.
위에서 살펴 본 ‘아담의 언약’에 담긴 내용들은 아담 이후 모든 역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금도 여자들은 고통
가운데 아기를 낳으며, 동서를 막론하고 남녀 사이의 주도권은 남자에게 있다. 혹, 출산의 고통을 피하려는 시도가 행해지는데 이것은
근본적으로 하나님께서 정하신 법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현대에 와서 권위에 대한 여자들의 도전도 하나님의 말씀과는 반대되는
움직임이다. 아울러 남자들은 땀을 흘리며 일을 해야만 한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선언하신 예외 없는 법칙이다. 만약 남자가 땀을
흘리지 않는다면 그는 몸에 쌓인 노폐물로 인해 병들어 죽을 것이다. 또한 하나님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구약과 마찬가지로 신약에서도
피(The blood)가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아담의 언약에 포함된 인간들의 삶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들은 계속해서 파괴되어 가고
있다.
아담의 언약으로 죽음과 고통이 세상에 들어오게 되었는데, 이것들은 하나님만이 그치게 하실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계시록 20장에 묘사된 날들이 오면 이것들을 그치게 하실 것이다. 현대 인간들이 인위적으로 만들어 가는 모든 과정들은 단지 아담의
언약을 뒤엎으려는 시도일 뿐이다. 남성들의 권위를 제거하는 것, 환경을 통제하는 것, 고통 없이 아기를 낳게 하는 것, 땀을
흘리지 않게 하는 에어컨 시설 등등.... 이러한 현실은 인간의 역사 가운데로 ‘하나님의 아들’의 직접적인 개입을 필요로 한다.
에덴에서 지식의 나무(the tree of the knowledge) 열매를 먹은 인간은 선악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고, 선악을 아는 능력인 양심에 따라 살아가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완전한 환경 속에서 실패한 인간에게 양심에 따라 살도록
허용하심으로써 인간들의 모습을 다시 한 번 보여 주셨다. 양심은 후회와 두려움을 가져오나, 저항하는 힘이 없기 때문에 인간들이
악을 선택하고 그것을 행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아담의 언약이 선포되는 때부터 인간들은 전체적으로 다루어졌다. 양심에 의해 지배받던 이러한 시대를 ‘무지했던
때’(행17:30)라고 부른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율법 하에서는 즉시 사형에 처해져야 하는 죄도 이 시대에는 눈감아 주셨다.
하지만 이것이 직접적으로 영적인 구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죄에 대한 법적 기준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뿐이다. 인간들은 이 점에 대해 율법이 없던 시기의 죄에 대한 심판은 부당하다며 자신들을 변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명은 의미가
없다. 세상의 창조 때부터 하나님의 영원한 능력과 신격(God- head)까지도 만들어진 것들에 의해 분명하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양심에 의해 행동하던 인간들은 하나님을 알면서도 하나님께 영광과 감사를 돌리지 않았고, 오히려 창조주보다 피조물을 더
경배하고 섬겼다. 그들에게 율법은 없었으나, 그들에게 심판이 주어진다면 그들은 율법 없이 멸망할 것이다. 무지했던 때라도 심판에서
제외되지는 않는다. 율법이 없는 이방인들도 본성에 의해 율법의 내용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무척 중요하다.
아브라함 이후 이스라엘 민족이 역사에서 특별히 구분된 이후에도, 이방 민족들은 아담의 언약과 함께 양심에 대한 경영원리에 계속해서
적용되기 때문이다. 지금도 동일하다. 백보좌심판대에서 심판을 받을 사람들은 두 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1> 복음을 알지만
복음에 순종하지 않는 자들과 2>복음을 통한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는 죄인들이다.
아담의 언약이 맺어진 이후로도 양심에 의해 하나님을 만나고 선을 행할 수는 있었다. 하나님 앞에서는 율법을 듣는
자들이 의롭게 되지 않고, 행하는 자들이 의롭게 되기 때문이다. 양심에 따라서 바르게 행했다면 의인이 될 수 있었다. 이 사실로
양심을 근거한 이방인들의 구원을 설명할 수 있다. 양심에 따라, 그들은 본성에 의해 하나님을 찾았다. 아브라함이나 코넬료처럼
경건하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께서는 자신을 계시하신다. 그러나 이 시대도 역사 가운데 전개되는 모든 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에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아담의 언약과 더불어 시작된 이 시대는 하나님의 직접적인 개입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진적인
타락이 있었고 죄와 일치된 세상 속에서 불경건하고 찬란했던 문명은 파멸을 맞게 된다. 오직 에덴에서 선포된 아담과의 언약만은
불변한 채 존속되어 온다. B
또한 하나님께서 영속하는 세대들을 위하여 구름 속에 무지개를 두심으로 땅과의 언약의 표가 되게 하셨다.
에덴에서 아담의 타락 이후 양심에 따라 살아가던 인간들은 또 한번의 파국을 맞게 된다. 아담 이후에 태어난 인간들은
하나님을 알면서도 하나님께 영광과 감사를 돌리지 않고 자신들의 뜻에 따라 살아갔다. 양심을 따라 선을 행할 수 있었는데도 그들은
타락과 파멸의 길로 가고 말았다. 사람들이 지면에서 번성하기 시작하면서 딸들이 그들에게서 태어났다. 그 가운데서 약 1000년
전에 에덴에서 뼈아픈 실패를 경험한 아담은 자신의 후손들이 타락의 길로 가는 것을 친히 목격했을 것이다(창5:5). 땅이 부패하고
폭력으로 가득차자 하나님께서는 물들로 땅을 심판하셨다. 홍수 이후 하나님께서 유일한 인간 노아와 맺으신 언약과 함께 인간이
인간을 다스릴 수 있는 권세가 주어지는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홍수로 인한 심판은 단지 인간들의 부패와 타락 때문만은 아니었다. 땅도 하나님 앞에 부패하고, 폭력으로 가득 차게
만든 놀라운 사건이 있었다. 영적인 존재들인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이 아름다운 것을 보고 그들을 자기들의 아내로 삼는 일이
발생했다(창6:2). 이들은 자기들의 처음 위치를 지키지 아니하고 자신들의 처소를 떠남으로 땅에 심판을 가져오게 했다.
땅 위의 모든 육체를 땅과 함께 멸망시키기로 작정하신 하나님께서는 노아를 택하시어 죄에 대한 심판 가운데서도 또 한번의
은혜를 인간에게 베풀어 주셨다. 노아는 의인이고 그 당대의 완전한 사람이었으며 하나님과 동행하던 사람이었다(창6:9). 그래서
주의 눈에 은혜를 입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창조하신 모든 육체를 물로 멸망시키신 후, 노아에게 말씀하시어 모든 동물들과 함께
방주에서 나오라고 하셨다. 노아가 방주에서 나온 후 제단을 쌓고 번제를 드리자 하나님께서 그 향기를 맡으시고 노아 이후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에도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언약을 맺으셨다.
일반적으로 노아와의 언약으로 “인간 통치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언약은 그 시대만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담과의 언약과 마찬가지로 무조건적으로 맺어진 노아와의 언약도 현재까지도 파기되지 않고 유효하며, 천년왕국은 물론
영원(Eternity)까지도 연장된다(창9:16). 홍수 이후에 하나님께서 노아와 맺으신 언약과 연관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께서는 다시는 사람으로 인하여 땅을 저주하지 않겠다고 하셨다. 이는 사람의 마음의 구상이 어려서부터 악하기 때문이었다. 또
땅이 있는 동안에는 씨 뿌리고 추수하는 시기와 추위와 더위,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이 그치지 않게 되리라고 하셨다(창8:22).
시편에는 땅에 대해 “영원히 세우신 땅”이라고 하였고 땅의 기초는 영원히 요동치 않도록 놓으셨다고 기록되었다. 하나님의 의가
거하는 땅은 영원히 지속될 것이다. 그래서, 노아 이후부터 시작되어 지금도 게속되는 지상의 날씨와 연관된 달(month)의 변화도
땅이 있는 동안에는 지속될 것이다.
노아에게는 에덴에서 아담에게 주어졌던 명령이 반복된다(창1:28; 9:1). 『다산하고 번성하여 땅을 다시 채우라』
이로써 노아는 온 지구를 혼자서 차지하게 된다. 온 지구를 혼자서 차지한 사람은 아담과 노아 두 사람뿐이다. 아담과 노아 두
사람은 공통된 점이 많다. 두 사람 모두 죄로 인해 벌거벗게 되고, 두 사람 모두 세 명의 아들을 가졌는데 그들 중에 한 명은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이고, 한 명은 저주를 받는다. 아담과 노아에게 위의 명령이 주어지기 전에 땅에는 물로 인한 심판이
있었다(벧후3:5). 하나님께서는 노아를 통하여 또 한번의 기회를 인간들에게 주신 것이다.
홍수 이후에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두려워하고 무서워함을 땅의 모든 짐승들과 공중의 모든 새들과 땅 위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들과 바다의 모든 동물들에게 넣어 주셨기에 인간이 모든 피조물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창9:2). 만약 동물이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이미 오래 전에 멸절되고 말았을 것이다. 아담은 씨 맺는 모든 채소와 씨를 내는 나무의 열매만 먹을 수
있었으나, 노아는 살아서 움직이는 모든 것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들을 채소와 같이 먹게 되었다. 이때부터 인간들은 모세의
율법 아래에서 유대인들에게 금지된 음식 이외에는 아무것도 거부될 것이 없게 된다. 음식은 하나님께서 진리를 믿고 사는 사람들이
감사함으로 받도록 지으신 것으로, 하나님께서 지으신 모든 것이 좋은 것이다. 그러나 노아에게조차도 고기를 생명과 더불어 즉 거기에
있는 피째 먹는 것은 금지된다(창9:4). 피를 먹는 것은 영원히 금지되는 명령이다(레3:17). 이것은 노아에게처럼 율법
이전과, 율법 아래와, 은혜의 복음이 전파되는 시기 모두에서 금지된 사항이다(행15:20).
노아의 언약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사항 중의 하나는 사형제도의 실행이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짐승과 사람의
손에서 생명의 피를 찾으신다고 하셨다(창9:5). 사람의 피를 흘리는 사람은 사람에 의해서 자기의 피도 흘려지게 된다. 이
사형제도는 율법 아래서도 “도피 성읍”에서만을 제외하고는 결코 폐지되지 않았다. 피를 금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사형제도도 은혜의
복음이 전파되는 때에서도 존속된다. 바울은 페스토 앞에서 자신을 변호하며 말하기를, 무엇을 잘못했거나 죽을 만한 일을 했다면
죽겠다고 했다(행25:11). 천년왕국에서도 이 제도는 유지되어, 형제에게 ‘어리석은 자’라 하는 자는 누구나 지옥불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현대에 있어서 사형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운동은 성경의 진리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죄에는 분명한 삯이
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사람을 죽이는 것은 창조주에 대한 도전인 것이다. 노아와의 언약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과도
맺으신 것이므로, 만약 동물이 사람을 죽인다면 그 동물도 죽임을 당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출21:28).
하나님께서 직접적으로 언약을 세우겠다고 말씀하신 것은 창세기 9:9에서이다. 이 부분이 실제적인 노아와의 언약으로
하나님께서는 노아와 노아의 씨와 그와 함께한 모든 생물과 언약을 세우셨다. 다시는 모든 육체가 홍수로 인한 물들로 멸망당하지 않을
것이며 또 땅을 멸망시킬 홍수가 다시는 있지 않으리라는 내용이다. 이 언약은 하나님과 노아와 함께하는 모든 생물 사이에 체결된
것으로, 영속하는 세대들을 위하여 구름 속에 무지개를 두심으로 땅과의 언약의 표가 되게 하셨다. 이후로부터 하나님께서는 무지개가
구름 속에 보이면 하나님과 노아와 모든 육체를 가진 생물 사이에 맺은 언약을 기억하신다. 그래서 다시는 물들이 모든 육체를
멸망시키는 홍수가 되지 않는다. 이 언약은 영원한 언약이다. 그러나 땅에 있는 모든 것은 또 한번 멸망할 때가 온다. 하지만
이번에는 물이 아니고 불로써 그렇게 될 것이다(벧후3:7).
‘노아와의 언약’으로 노아는 땅에 대한 실제적 통치자가 되었다. 노아가 쌓은 번제단과 그가 드린 번제는 진실된 경배
형태를 다시 설립하게 했다. 600세가 넘은 사람인 노아는 풍부한 경험과 지혜를 갖추고, 심판에 대한 기억을 가진 채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에덴에서 이브를 속인 사탄은 직접적으로 자신을 드러내진 않았으나 노아를 향해서도 자신의 일를
계속했다. 노아의 강력한 통치권도, 그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자기 장막 안에서 벌거벗은 이후 상실하게 된다. 스스로를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다스릴 수 없다. 노아가 술 취하여 자신의 알몸을 드러냄으로 에덴에서 아담의 실패가 반복된다. 인간이
벌거벗는 것은 항상 죄의 결과이다.
노아의 아들들에게서 난 자들이 온 땅에 퍼졌다. 그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다산하고 번성하여 땅을 다시 채우기보다는 큰
도시를 건설하려 하고, 그들의 탑이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쌓음으로 자기들의 이름을 내며 지면에 멀리 흩어지지 않으려
했다(창11:4). 이 시도는 하나님의 직접적인 개입으로 끝을 맞이하게 된다. 온 땅에 하나의 언어와 하나의 말만 있었기에 이런
일이 시작되었다. 그때 하나님께서 직접 내려오셔서 인간들의 언어를 혼잡 시켜 그들이 서로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게 하셨다. 그리하여
그들이 온 지면에 멀리 흩어지게 되고, 그 도성을 짓는 것도 그쳤다. 바벨(Babel)의 건축자들의 이름은 님롯(Nimrod) 한
사람만이 알려진다. 이곳에서 각기 다른 언어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때의 저주는 신약의 오순절에 와서야 부분적인 역전 현상이
있었다. 바벨 이후 인간 역사는 하나의 전환기를 맞는다. 이제까지는 한 종족이었고 유대인도 이방인도 없었다. 그런 가운데 인간들의
계속적인 실패와 타락과 파멸로의 질주는 전체적인 우상 숭배를 낳았고 창조주보다 피조물을 더 경배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경륜은 이제까지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운영해 오시던 역사를 한 종족, 한 민족을 상대로만 경영하시게 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된다. 이제까지의 언약은 모든 인간이 ‘이방인’이던 때에 맺어진 것이기에 아담 이후부터 노아의 언약까지의 원리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현재의 인간들에게도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BB
06-02-2021(수) 오후 7:00
복음(福音)
마가복음 1:1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시작이라.
The beginning of the gospel about Jesus Christ, the Son of God.
복음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로마서 1:1-4
1.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
2.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
3. 이 아들로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
4. 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가운데서 부활하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
복음은 하나님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The gospel is Jesus Christ, the Son of God.
왜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인가?
중보자가 되시기 때문(디모데전서 2:5)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中保)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1. 예수는 참 사람
2. 예수는 참 하나님
중재인, 판사, 심판, 결정자
- 두 당사자 사이에서 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
1. 중개인(mediator)
2. 화해자(conciliator)
중보자의 자격
1. 사람(人間) - 인성(人性) 빌 2:7
빌립보서 2:7 / 오히려 자기를 비어 종의 형체를 가져 사람들과 같이 되었고.
2. 무죄(無罪) - 동정녀 탄생(童貞女 誕生) 마 1:16
마태복음 1:16 /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3. 신적 인격(神的 人格) - 신성(神性) 요 1:14
요한복음 1:14 /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갈라디아서 3:20
중보는 한편만 위한 자가 아니니 오직 하나님은 하나이시니라.
A mediator, however, does not represent just one party; but God is one.
히브리서 9:15
이를 인하여 그는 새 언약의 중보니 이는 첫 언약 때에 범한 죄를 속하려고 죽으사 부르심을 입은 자로 하여금 영원한 기업의 약속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히브리서 12:24
새 언약의 중보이신 예수와 및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하는 뿌린 피니라.
to Jesus the mediator of a new covenant, and to the sprinkled blood that speaks a better word than the blood of Abe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 말씀의 제목은 ❝왜 예수냐?❞이다.
1. 사람들은 기독교를 너무 독선적이라고 한다. ❛예수❜만 유일한 길이라고 한다. 그래서 안 믿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2. 예화 : 인슐린과 타이레놀
어느 날 한 환자에게 의사가 말했다. ❝당뇨병이 있네요. 그런데 좋은 소식이 있어요. 인슐린을 복용하면 정상적으로 살 수 있습니다.❞ 그가 말했다. ❝선생님! 저는 인슐린이 싫은데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안 됩니까? 너그럽게 봐주십시오.❞ 의사가 ❝당뇨병을 치료하려면 인슐린을 먹어야 합니다.❞라고 자세히 설명해주자 그가 따지듯이 말했다. ❝선생님! 선생님은 정말 편협하고 고집스런 분이네요. 시야를 넓게 보세요. 인슐린만 약입니까?❞ 얼마나 잘못된 말인가? 의사는 편협하고 완고한 마음을 가져서가 아니라 당뇨병을 치료하는 것은 인슐린밖에 없기 때문이다. 성경도 그렇다. 예수 밖에는 없다!
3. ❝왜 예수인가?❞ 우리는 왜 예수님만 믿고, 예수님만 의지하고, 예수님만 섬기는가? 본문이 두 가지 답을 제공한다.
첫째, 예수님만이 우리의 담보가 되시기 때문이다(20~22절).
0.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담보 또는 보증인이 꼭 필요하다(직장, 사업, 학교…). 그렇듯이 예수님이 영혼의 담보가 되신다.
1. 20~22절을 보자. ❝또 예수께서 제사장이 되신 것은 맹세 없이 된 것이 아니니…더 좋은 언약의 보증이 되셨느니라❞
a. ❝제사장❞은 죄인들을 속죄제물을 통해 하나님께로 인도해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예수님이 그렇다.
b. ❝맹세 없이❞ 구약 제사장들은 임시적이고 변한다는 말이다. 반면 예수님은 영원하고 완전한 인도자라는 말이다.
c. ❝더 좋은 언약의 보증❞ : ❝보증❞은 ❝담보❞ 또는 ❝보증인❞이다. 자신의 인격과 생명을 담보로 보증한다는 말이다.
d. 그리스도는 자신을 믿고 의지하는 자들의 구원에 대한 담보로 구원의 영원한 보증이 되어주신다. 틀림 없다.
e. 하나님은 구원을 위해 자기 외아들을 담보로 내어주셨다. 왜냐하면 아들 예수만이 담보와 보증인이 될 수 있기에.
2. 누구든지 그 연약한 믿음으로 자신을 믿으면 담보와 보증인이 되어주시는 예수를 믿고 따름이 얼마나 축복인가!
a. 겨자씨 한 알 정도의 믿음으로 예수를 믿고 맡기면 된다. 그 작고 연약한 믿음일지라도 담보가 되어주신다.
b. 이렇게 고백하자. ❝예수님, 저의 이 작고 연약한 믿음이지만 믿고 맡깁니다. 저의 구원의 담보가 되어주십시오!❞
c. 예수님은 구원의 담보, 용서의 담보, 천국 담보, 은혜의 담보, 응답의 담보, 축복의 담보가 되어주신다.
d. 로마서 8:38~39. 예수님이 구원과 천국 담보, 은혜와 축복의 담보(보증인)가 되시니 이렇게 고백할 수 있다.
3. 예화 : 후지다 덴과 맥도날드
일본에 후지다 덴이라는 회사원은 맥도날드를 창업하려는 꿈이 있었습니다. 평범한 회사를 다니던 그는 더 늦기 전에 꿈을 이루어야겠다는 생각으로 맥도날드 일본 지사를 찾아갔습니다. 그러나 퇴직금을 더해도 창업을 하기에는 돈이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그동안 저축한 5만 엔의 10배가 넘는 75만 엔의 비용에 신용보증까지 받아와야 했습니다. 후지다 씨는 평소에 거래하던 스미토모 은행의 지점장을 찾아가 대출을 요청했습니다. ❝지난 6년 동안 한 푼도 낭비하지 않고 예금을 했습니다. 필요한 생활비 외에는 한 푼도 쓰지 않았고, 어쩔 수 없이 돈을 쓸 일이 생기면 점심을 굶었습니다. 저를 믿어 주십시오.❞ 지점장은 후지다 씨가 거래했던 직원을 불러 신상을 물어봤고, 직원은 후지다씨가 거래 고객 중 가장 믿을 수 있는 분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지점장은 이 직원의 말을 담보로 요구하는 만큼의 금액을 대출해주었고 신용보증까지 서주었습니다. 몇 년이 지나 후지다씨의 매장은 일본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리는 매장이 되었고 또 맥도날드 일본지사의 최고 경영자 자리에까지 올랐습니다. 거짓 없으신 하나님이 그 아들을 담보로 삼았다. 예수가 담보가 되고 보증인이 되면 가장 확실하다.
4. 하나님이 나를 보면 정말 형편없는데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담보와 보증인이 되시니 믿어주시고 복을 주신다.
a. 자신을 지나치게 신뢰하지 말라. 어느날 실망이 몰려온다. 죄책감이 몰려온다. 예화 : 조용기 ❝위에서 보내서 왔다!❞
b. 대신에 우리의 담보와 보증인이 되어주시는 예수님을 지나치도록 신뢰하라. 그분이 힘과 소망을 주신다.
c. 나의 담보와 보증인이 되어줄 사람이 세상에 아무도 없을지라도 예수님은 기꺼이 나의 담보와 보증인이 되어주신다.
d. 예수님이 계시면 든든하다. 최후의 심판 앞에서 예수 담보(보증인) 없이 돈, 빽, 명예, 지위, 마귀는 쓸모없다.
5. 예화 : 아버지 담보에 거지 신세 ➜ 하나님도 그 아들을 담보로 제공하실 때 찢어지는 고통과 수치를 당하셨다.
6. 예화 : 필리핀에 장애아들 버린 한의사父(부산, 47, 48). 마산, 네팔, 괴산 사찰, 필리핀 유기. 정신분열 한쪽 눈 실명.
7. 히브리서 13:5~6. 돈과 사람, 세상을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우리 담보와 보증인이 되신 주님만 더욱 붙들자.
둘째, 예수님만이 우리의 중보가 되시기 때문이다(23~25절).
0. 중보는 ❛두(하나님과 사람) 사이에서 일이 성사(화해)되도록 주선하는 사람❜이다. 주님이 이런 중보가 되신다.
1. 23~25절을 보자. ❝제사장 된…예수는 영원히 계시므로…그가 항상 살아 계셔서 그들을 위하여 간구하심이라❞
a. 제사장직 대물림(아론에서 AD70 84명)은 제사장의 최후 죽음은 불완전함과 한계를 말한다. 모든 종교처럼.
b. 반면에 ❝예수는 영원히 계시므로❞ 그분은 완전하시다. 그분은 십자가에 죽으시고 부활하시고 승천하셨기 때문이다.
c. 예수님은 그 작은 믿음으로 ❝자기를 힘입어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을 온전히 구원하실 수 있는❞ 중보가 되신다.
❶ ❝온전히 구원❞하신다는 말은 ❛영원한 구원❜을 말한다(시간적). 십자가 보혈의 효력은 영원하다. 철회가 없다.
❷ ❝온전히 구원❞하신다는 말은 ❛우리의 모든 필요를 모두 만족시킴❜을 말한다(질적). 최고의 만족이다. 물과 콜라.
d. 왜냐하면 그분은 ❝항상 살아 계셔서 간구❞해주시는, 연약한 우리의 완전하고 영원한 중보자가 되시기 때문이다.
❶ ❝간구하심❞은 ❛다른 사람을 위해 중재하다❜는 말이다.
❷ 이 단어는 어떤 사람을 위해 왕에게 간청을 올리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❸ 랍비들은 천사를 중보자로 간주했다. 그러나 저자는 오직 그리스도만이 중보자임을 명확히 설명한다.
❹ 오늘날 허다한 가짜 중보자들이 있다. 사이비 교주, 종교, 용한 무당, 예언 은사 받은 사람… 가짜다. 속지 말라.
e.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 대신 죽으시고 부활하사 하나님 보좌 우편에서 항상 살아 계셔서 중보하시는 예수밖에 없다.
2. 이 땅에 오셔서 이미 우리 죄를 위해 대신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분은 지금도 우리를 위해 하나님 앞에 중보(중재)하신다.
a. 우리가 육신이 연약하여 넘어지고 죄를 지어 하나님의 마음을 아프게 할 때마다 예수님은 중재해 주신다.
b. 주를 믿을 수 있는 최상의 기회, 주를 섬길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무시해버리는 우리를 위해 다시 중재하신다.
c. 누가복음 13:7~9. 주님은 신앙과 삶에서 아무런 열매 없는 우리에게 다시 기회를 주시는 중보가 되신다.
d. 누가복음 22:31~32. 마귀가 밀까부르듯 하려고 하는 우리를 위해 하늘 보좌 우편에서 중보하셔서 우리가 있다.
3. 예화 : 마약을 끊은 청년
미국에 오랫동안 마약 중독과 싸웠던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고등학교 때 잘못된 아이들과 어울린 후 40대 초반까지 계속 마약에 중독된 상태로 있었다. 기본적으로 좋은 사람이었고 가정환경도 좋은 편이었기에 여러 카운슬링도 받고 여러 치료 센터에도 갔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어느 날 그가 마약을 끊고 완전히 자유롭게 되었다. 그렇게 마약을 끊을 수 있었던 것은 스스로 사투를 잘해서가 아니라 주님이 끊도록 도와주셨기 때문이다. 한 친구가 물었다. ❝어떤 좋은 치료 프로그램을 받았니?❞ 그가 말했다. ❝아니야. 어느 날 갑자기 예수님을 생각하게 되면서 그냥 끊어졌어.❞ 예수님이 간구하신 결과다.
5. 우리의 기도가 더디게 응답될지라도 결코 낙심하지 말라. 포기하지 말라. 의심하지 말라.
a. 예수님은 우리의 서투른 기도, 부족한 기도, 잊혀진 기도를 모아서 아버지께 자신의 기도로 다시 바친다.
b. 우리의 연약한 기도 때문이 아니라 예수님이 그 기도를 그분의 이름으로 아버지께 바치니까 응답이 되는 것이다.
c. 때로는 ❛기도의 잔❜이 차야 응답이 된다. 그러니 기도의 잔이 차도록 낙심 말고 인내하며 꾸준히 기도하라.
d. 사도행전 4:31. 기도의 잔이 차니까 모인 곳이 진동하며 응답됐다. 한반도의 1907 부흥도 기도의 잔의 결과다.
5. 예화 : 임현수 목사님의 북한 석방기(주보) / 모친들의 중보기도와 백세노인의 치유 ➜ 드디어 기도의 잔이 찼다.
북한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지만 나는 그들을 조금도 원망하지 않는다. 그 안에서 받은 연단을 통해 온전함을 입었기 때문이다. 노동 교화소에서는 힘든 일도 많았지만 작은 배려도 받았다. 내 체중이 현격하게 줄어든 것을 보고 음식도 적지 않게 주어서 회복이 되었다. 어디에나 힘들게 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지만 대다수의 보안원들은 나를 선대해주었다. 또 아플 때 병원에 갈 수 있도록 배려해준 것도 감사하다. 노동 교화소는 하나님께서 내게 마련해주신 수도원과 같았다. 노동과 기도와 말씀 묵상이 2년 7개월 9일 동안 내 생활의 전부였다. 내가 감옥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조르며 기도를 드릴 때마다 주신 말씀이 있다. ❝내가 가는 길을 그가 아시나니 그가 나를 단련하신 후에는 내가 순금같이 되어 나오리라❞ – 욥 23:10 ❝내가 가는 길을 주가 아신다❞는 말씀이 가슴 깊이 와닿았다. ❛그러면 더 이상 조를 필요가 없지 않나? 하나님 뜻이 있어서 허락하신 연단이라면 주님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지 않을까?❜ 누가 힘들게 하면 ❝수도원에 살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하자.
에필로그.
1. 로마서 1:7. ❝OO에서…❞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축하하는 초대교회 신자 사이의 표준적인 인사말 ❝당신에게 은혜가!❞
2. 왜 예수냐? 세상 거짓 신들의 전쟁 가운데서 우리는 왜 예수님만 믿고, 예수님만 의지하고, 예수님만 섬기는가?
a. 예수님만이 우리의 담보가 되시기 때문이다. 주님이 우리의 담보가 되시니 걱정 말고 믿음으로 행하자.
b. 예수님만이 우리의 중보가 되시기 때문이다. 주님이 우리의 중보가 되시니 맡기고 의지하며 기도의 잔을 채우자.
성경 딤전2:5, 히7:25절, 이 두절을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한분뿐이신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항상 살아 계셔서 우리를 위해 중보 기도를 하시기 때문에 우리가 그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께 나아가
구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일하신 중보자 이신 그리스도께서 화목제물로 대속의 죽음을 죽으셔서 중간에 막힌 담을 허시고 십자가로 원수된 것을
소멸하시므로 허물과 죄로 죽어서 멸망할 수밖에 없는 본질상 진노의 자식들이었던 우리로 하여금 믿음 안에서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시고
하나님 안에 영원히 거하는 완성된 구원을 받게 하셨는데 이 구원으로부터 한 사람도 탈락하지 않도록 중보자 이신 그리스도께서
지금도 쉬지 않고 중보 기도를 해 주시고 있기 때문에 궁극적인 구원에 이를 수 있음을 말씀하는 것이다. 요6:39절에 예수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은 내게 주신 자 중에 내가 하나도 잃어버리지 아니하고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는 이것이니라.”고
증언 하셨다.
멸망할 수밖에 없는 타락한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과 화목하고 하나님 안에 영원히 거하는 완성된 구원을 받는 것은 유일한 중보자이신
주께서 이 구원으로부터 한 사람도 탈락하지 않도록 지금도 쉬지 않고 행하시는 중보 기도를 포함한 중보 사역 없이는 전혀
불가능하다는 것이고, 이를 역으로 말하면 화목제물로 대속의 죽음을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러한 중보기도를 포한한 중보
사역은 허물과 죄로 죽어 멸망할 수밖에 없는 인간들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되고 하나님 안에 영원히 거하는 완성된 구원을 받음에
있어서 조금도 부족함 없이 넘치게 충족되고 만족되게 하셨다는 것이다.
요14:6절과 행4:12절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고 하셨고 예수 그리스도 외에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다.
이 사실을 롬6:3-5절에 의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허물과 죄로 죽어서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들이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대속의 죽음을 죽으실 때 우리들도 주님과 연합되어 함께 죄의 사람이 멸해지고 그리고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실 때 우리들도 부활하신
주님과 연합되어 함께 영원히 살아나서 하나님과 화목하고 연합되어 하나님 안에 영원히 거하게 되는 완성된 구원을 받게 되는 것은
함께 죄의 사람을 죽게 하고 함께 의의 사람으로 살게 하신 대속의 죽음을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로 말미암지 않고는 결코 일어날
수도 없고 이루어질 수 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주가 되심을 선포하는 것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전적으로 부패하고 타락한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막힌 담을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신 십자가로 다 제거 하시는 중보
사역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과 화목케 하고 연합하게 해서 하나님 안에 거하는 영원한 구원을
완성하셨는데, 이 완성된 구원을 위해서 중보사역을 다 이루시고 지금도 우리들로 하여금 이 구원을 잃지 않도록 계속 중보 기도를
하시는 한 분뿐인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주이시기 때문에 기독교만이 유일한 구원 종교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주님만이 중보 기도를 포함한 중보 사역을 하실 수 있는 유일한 중보자되심을 좀 더 자세히 상고해 보자
중보의 히브리어는 מליץ(melts)이고 헬라어는 μεσιτης(mesites)이다. 이 중보에 대해서 성경 사전을 찾아 보니
중보(Mediator)란 서로 대립, 또는 적대관계에 있는 양자사이에 서서, 대적하게 하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화해와
일치를 가져오게 하는 것을 중보라고 하고, 이 중보 사역을 하는 자를 중보자라고 하는데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있어서는, 그리스도
에수께서는 대속의 죽음을 죽으시고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시므로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서서 대적하게 하는 죄를 제거하고
소멸하므로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를 성립케 하고, 화목을 가져오게 하고 일치하게 할뿐만 아니라 한 사람이라도 이 구원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항상 중보 기도하시는 오직 유일하신 중보자이심을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 딤전2:5절을 다시 한 번 읽겠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하나님과 사람사이의 중보자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이십니다."
구약에 있어서는, 중보자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고는 있지 않으나, 실제로 중보의 역할을 한 사람들의 사역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브라함은 족장으로서 그 종족을 대표하여 하나님과의 언약(계약) 관계에서 중보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창2:7이하)
모세는 하나님으로부터의 율법을 받아 하나님과 이스라엘과의 언약(계약) 관계를 확립하는데 있어서 중보의 역할을 하고, 또한 백성을
위해 실제로 중보한 사실이 나타난다. 출30:30-32절에 “이튿날 모세가 백성에게 이르되 너희가 큰 죄를 범하였도다 내가 이제
여호와께로 올라가노니 혹 너희를 위하여 속죄가 될까 하노라 하고 모세가 여호와께로 다시 나아가 여짜오되 슬프도소이다. 이 백성이
자기들을 위하여 금신을 만들었사오니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그러나 이제 그들의 죄를 사하시옵소서. 그렇지 아니하시오면 원하건대
주께서 기록하신 책에서 내 이름을 지워 버려 주옵소서.”라고 했다.(출3:7-12; 신5:1이하) 뿐만 아니라 선지자와
제사장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일에 의해 혹은 백성을 대신하여 기도를 하는 일에 의해, 하나님과 백성 사이에서 중보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단9:19-24 “주여 들으소서 주여 용서하소서 주여 귀를 기울이시고 행하소서 지체하지
마옵소서.......내가 이 같이 말하여 기도하며 내 죄와 내 백성 이스라엘의 죄를 자복하고 내 하나님의 거룩한 산을 위하여 내
하나님 여호와 앞에 간구할 때.....너는 크게 은총을 입은 자라 그런즉 너는 이 일을 생각하고 그 환상을 깨달을지니라. 네
백성과 네 거룩한 성을 위하여 일흔 이레를 기한으로 정하였나니 허물이 그치며 죄가 끝나며 죄악이 용서되며 영원한 의가 드러나며
환상과 예언이 응하며 또 지극히 거룩한 이가 기름 부음을 받으리라.” 기록되었다.
그러나 구약에 나타난 아브라함, 모세, 그리고 선지자, 제사장의 중보 역할은 지극히 부분적이고 온전치 못한 것으로 다만 참되고
완전한 의미의 중보자로 오실 메시야를 예표하고 예언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였음을 보여 준다. (사11:1이하).
신약에 있어서는, 참되고 완벽한 중보기도를 포함한 중보 사역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중보자이신 그리스도께서 오셨기 때문에 인간에
의한 부분적, 예표적 중보는 결코 용납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신약에서는 사람으로서 중보 기도를 포함한 중보 사역을 했다는 근거를
전혀 찾아볼 수가 없고, 다만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는 하나님에 의해 세워진 오직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한 분
뿐이시라고 기록 되었다.(딤전2:5, 히7:25)
중보자는 어느 한편에만 속한 자가 아니라는 말씀처럼(갈3:20),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영원하신 성자, 하나님의 본체의 참 형상,
거룩하고 악이 없고 더러움이 없는 하나님으로서(요1:1, 히1:3;7:26-28) 혈육을 갖추신 모든 점에 있어서 사람과 같이
되시고, 인간의 연약함을 체휼하신 분, 인간의 모든 죄를 담당할 수 있는 인간으로서(히2:14-18; 4:
14-16) 중보자로서의 완전한 자격을 갖추신 분이시다. 이같이 중보자로서의 완전한 자격을 갖추신 그리스도는
(1) 하나님을 계시하는 일에 있어서, 요1:1절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라는 증거와 요1:18절, “본래 하 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는 구절, 그리고 요10:30절의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는 증거는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심을 보여 준다. 그리고 그리스도 예수는 하나님의 본체이시라고 빌2:6절에 기록
되었다.
(2) 이처럼 하나님이 사람의 몸을 입은 아들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원수 된 것 곧
중간에 막힌 담을 자기육체로 허셨다고 했고(엡2:14), 이어서 엡2:16절에서는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대속의 죽음을 죽으시므로
허물과 죄로 죽어서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인간과 하나님을 화목하게 하셨는데, 곧 원수 된 것을 십자가로 소멸하셨다고 말씀한다.
이처럼 인자이신 예수께서 화목제물이 되시므로 하나님을 거역하고 원수 되었던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시고 연합하게 하셔서
하나님 안에 영원히 거하는 완성된 구원을 받음에 있어서 그리스도 예수께서는 유일하신 구세주이시고 중보자이시라는
것이다(롬3:23-26, 고후5:19).
(3) 부활 승천하여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시고, 자신이 구원하신 자 중에 한 사람도 잃지 않기 위해서 쉬지 않고 중보기도 하시고
있음을 롬8:33,34절에서 보여 준다. “하나님께서 택하신 사람들을 누가 감히 고소하겠습니까? 그들에게 무죄를 선언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신데 누가 감히 그들을 단죄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스도 예수께서 단죄하시겠습니까? 아닙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해서 대속의
죽음을 죽으실 뿐만 아니라 다시 살아나셔서 하나님 오른편에 앉아 우리의 이 완전한 구원을 위해서 지금도 계속 중보 기도해 주시는
분이십니다.”라고 말씀 한다.
위의 세 가지의 내용을 잘 나타내는 빌2:5-11절의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 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 사람의 모양으로 나타나사 자기를
낮추시고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심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에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
위의 모든 말씀을 종합해 보면 이같은 중보 기도를 포함한 중보 사역은 하나님의 우편에 앉아계신 유일하신 중보자이신 그리스도만이 할
수 있는 일인데, 중보 기도가 남을 위한 기도로 일반화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결코 중보자일 수 없는 이들에 의해 중보 기도가 오늘
날, 남용(일정한 기준이나 한도를 넘어서 마구 쓰는 것)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중보는 한분이라는 말씀을 받들어서 중보기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말고 겸손 하게 남을 위한 기도로 적합한 도고 기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권한다.
딤전2:1절에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했다.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라는 4개의 단어, 곧 명사 목적격인 단어들을 컴마 없이 연속해서 사용한 것은 눅11:9절에 기도의 다른 표현으로 구하라
찾으라 두드리라고 세 번 반복하므로 쉬지 말고 열심히 기도할 것을 강조한 것과 같이 간구 기도 도고는 기도의 다른 표현으로
하나님에게 남을 위한 기도를 할 때 항상 열심히 기도하며 감사할 것을 강조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인의 성경은 이 의미를 잘
살려서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다. “나는 무엇보다도 먼저 이것을 권합니다. 그대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나님께 열심히
기도하며 감사하시오.” 라고 했다. 다음 2절에서는 모든 사람을 위해서 기도하라는 1절의 말씀에 이어서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기도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말씀 한다.
본문 딤전2:1절에 나오는 도고(禱告)라는 단어는 기도로 고한다는 뜻인데 헬라어는 εντευξις로 누구를 위한 기도, 탄원 등, 주로 자기 외에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때 주로 사용 하는 단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과 친척들, 교회와 성도들, 국가와 위정자들, 선교지와 선교사 및 선교단체들 그 밖에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할 때 간단한 하나의 단어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도고기도로 하는 것이 성경적으로 적절하다고 본다.
'중보'란 무엇인가?
1. '중보'의 어원(語原)
(1) 히브리어 : 아라브(arab: 보증하다,사 38:14), 파가쉬(pagash: 만나다,출 4:24),
파가(paga: 화해하다,사 53:6, 59:16;렘 7:16)
(2) 헬라어 : 메시테스(mesites 중보,히 8:6), 헤메시투세.
2. '중보'의 의미(意味)
중보하다(intersecede)는 '사이로 들어가거나 통과하다', '서로 다투거나 사람들을 화해시킬 목적으로 당사들 사이에서
활동하다', '중재하다', '조정하거나 중재하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보(仲保, mediator)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일을
주선하는 일(딤전 2:5; 히 8:6)이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그러나 이제 그가 더 아름다운 직분을 얻으셨으니 이는 더 좋은 약속으로 세우신 더 좋은 언약의 중보시라.
3. 중보자(仲保者)는 누구인가?
1) 중보자의 어원(語原)
(1) 히브리어 : '멜-리-쯔'(meli-ts) = 영어 '인터프리터'(interpreter: 해석자,욥33:23;통변,通辯,창42:23)
(2) 헬라어 : '메시테-스'(mesites) = 영어 '미디에이터'(Mediator: 중보자,딤전2:5).
신약성경에는 '중보자'(mesites:,메시테스)라는 용어가 6회(갈3:19,20;히8:6,9:15,12:24) 사용되어 있다.
2) 중보자의 의미(意味)중보자(仲保者, mediator)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서서 그 관계를 성립케 하고, 화해를 가져오는 사람(욥9:33;갈3:19,20;딤전2:5;히8:6,9:15,12:24)이다.
3) 중보자의 필요성(必要性)
인간은 원죄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태어날 때부터 죄인이다. 또한 인간은 살아가면서 죽을 때까지 죄를 짓고 살아가는 죄인이다.
이처럼 사람은 죄를 가지고 태어나고, 또한 살아가기 때문에 거룩하신 하나님과 회복할 수 없는 원수의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결정적인 화해자로서의 중보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역할을 맡은 분이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이시다(딤전2:5). 다른
인간적인 중보는 인정되어 있지 않다. 히브리서는 특히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그리스도를 영원하신 대제사장이시라는 사실이 말해지고
있다(히6:20,9:15).
예수님의 중보자로서의 역할은 십자가에서 그 절정을 이루고 있다. 즉 일회적인 희생제물이 됨으로써 영원한 화해가 이루어졌다.
4) 중보자의 자격(資格)
(1) 하나님의 아들이어야 한다. (2) 무죄 하여야 한다. (3) 신.인 양성을 가지신 분으로 참 하나님과 사람이어야 한다.
이것은 십자가의 죽으심으로 대속사역을 완수키 위한 조건인 것이다. 예수님은 부활 승천하여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시고, 죄인 위해
중보를 하시는데 있어서(롬8:34;히7:22-25), 중보자의 자격을 완전히 갖추셨다.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딤전2:5).
5) 예수님이 중보자인 성경적인 근거(根據)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Westminster, Larger Catechism) <제 41문> 어찌하여 우리 중보를
예수라 칭하였는가? (답)우리의 중보를 예수라 칭한 까닭은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하시기 때문이었다. (마1:21)
<문 42> 왜 우리의 중보를 그리스도라 칭하였는가?
(답) 우리의 중보를 그리스도라 칭한 것은 낮아지고 높아지신 그의 신분에서 그의 교회와 선지자 제사장 및 왕의 직분을 행하게
하시려고 한량없이 성령으로 기름부으심을 받고 성별되시어 모든 권위와 재능을 충만히 받으셨기 때문이었다.
(요3:34;시45:7;요6:27;마28:18-20;행3:21,22;눅4:18,21;히5:5-7,4:14-15;시2:6;마21:5;사9:6,7;빌2:8-11)
로마서 1:1-4
1. 예수 그리스도의 종 바울은 사도로 부르심을 받아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택정함을 입었으니
2.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
3. 이 아들로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
4. 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가운데서 부활하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
과정 신학이라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좀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그 사상적 기초는
알프레드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의 과정 철학(process philosophy)에 있다.
‘과정'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고정된 존재를 연구하며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의 변화성과 새로운 존재로의 끊임없는 움직임을 말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과정 철학이나 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는 용어가 바로 ‘합생(concrescence) : 존재로 구체화되어가고
만들어져 감' 이다.
단어의 풀이에도 나와 있듯이 전통 서양 사상에서 발견되는 존재론적 사고와는 달리 이 존재의 형성이 마지막을 향해 끊임없이 변해간다는 의미가 과정이라는 말 속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과정 신학에서 말하는 신의 개념도 이런 합생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단순히 물질적인 성분보다는 현실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계속적인 관계와 진행에 공헌하는 사건의 연속으로 신을 감지하려 한다.
존재론적 입장의 신처럼 자기 존재에 대해 강압적이지 않고
오히려 관계성을 중시하는 설득의 의미로 다가오는 것이 과정 신학에서 말하는 신의 개념이다.
과정 철학에서 우주와 세계는 자유의지의 대행자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과 변화로 그 특징과 성격이 정해진다고 한다.
그리고 신은
개체와 사건들 모두를 관여하고 통제하기보다는 연속되는 사건들과 개인의 일들에 가능성을 제공하며 끊임없이 영향력을 끼치는 존재로
인식된다.
다른 식으로 표현해 보면 신은 모든 것들에 대해 의지를 갖고 있지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의 결과가 신의 의지이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과정 신학에서의 신은 변화하는 모든 우주와 만물에 관련하는 신이며, 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에 관여하는 신이기에,
시간의 진행에 따라 변화한다.
하지만 이 말은 신의 총체성이 변한다는 뜻이 아니다.
신의 추상적인 요소인 선함, 지혜와 같은
개념은 영원히 견고하게 신의 형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런 과정신학의 신론은 이원론적 신론이다.
신은 살아있는 존재로서 꾸준히 변화하며 또한 영원한 근원으로서 변하지 않는 영속성을 함께 소유하는 존재이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시작되어 찰스 하트숀(Charles Hartshorne)을 거쳐 과정 신학자 존 콥(John B. Cobb),
데이비드 그리핀(David Ray Griffin)과 같은 신학자들의 가장 큰 공통점은 서구 전통 사상 체계에서 중시되는
아리스토텔레스나 토마스 아퀴나스식 형이상학에서, ‘되어짐(becoming)'보다 우선시 취급되는 ‘있음(being)'의 생각을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정 신학에서 중점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몇가지 것이 있는데
첫째는 과학과 신학을 통합하려는 노력이다.
끊임없는 상호
대화를 통해 더 나은 새로운 지평을 열기를 소망한다.
둘째로 신학에서 언어가 얼마나 무의미한 것인가에 대해 꾸준히 대답한다.
또한
과정 신학은 신에 대한 각 개인들의 관점에 가능하고, 분명하며, 생동감 있는 설명을 제공하여 많은 상황 속에서도 관여하시는 신의
존재성을 제시해 준다.
몇 가지 의문도 함께 제시하는데 이렇게 개인적 신에 대한 이해들에 적합한 신학이라면 과연 그 중 어떤 이해가 옳은 것이며 이런 많은 신에 대한 이해들의 통합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또 과정 신학에서의 신은 신의 무한한 능력과 전지전능의 개념에 충분하고 이성적인 답을 제공해 주지 못한다. 나아가 기독교를
포함한 전 인류에 있어서 종교의 한계성을 극명하게 표현하게 되어 종교 자체에 대한 회의를 제공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과정신학
역시 그 자체로 완벽할 수 없다.
신학이라는 것이 신에 대한 이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연구하는 것이기에 여러가지 형태의
신학이 가능하다. 비록 거기에 모순이 있다고 해서 그 가치마저 사장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만의 가치로 인해 더 큰 연구와
업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12일(현지시간) 미국 크리스천포스트는 캐논 J. 존(Canon J.John) 목사가 쓴 ‘유럽은 이제 다시 씨를 뿌릴 준비가 된 토양인가(Is Europe a soil now ready again for sowing?)’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캐논 J. 존 목사는 영국의 국제 순회 전도자이자 기독교 작가 겸 연설가이며, 2017년 초교파 복음주의 기독교 축제인 저스트원(JustOne)을 출범, 런던 아스널 에미레이트 스타디움을 시작으로 매년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존 목사는 오랫동안 신앙의 씨앗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서유럽이 변하고 있는 것을 느낀다며 “적어도 지역적으로는 유럽의 단단한 지반이 복음에 대한 새로운 수용력으로 깨어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주최했던 십계명 미션 시리즈와 복음주의 전도 행사에 수 많은 사람들이 참석했으며, 코로나 이후에도 747개의 교회와 120개의 교도소에서 자신이 설교를 초청받을 만큼 분위기가 바뀌고 있음을 증거했다.
그는 또한 “영국의 많은 교회가 최소 한 두 가정의 개종자 가정을 가질 만큼 놀라운 성령의 역사가 유럽의 이란 이주자들과 난민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하나님은 대륙전역에 있는 1,200백만 명의 로마, 집시 민족들 사이에서 일하고 계시며 3분의 1이 현재 오순절 기독교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현대 무신론의 발상지인 프랑스에서 복음주의자들이 5만 명에서 70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다”며 “유럽의 영적 토양은 수세기에 걸친 어떤 세대보다 복음에 대한 조짐이 더 좋다”고 평가했다.
존 목사는 변화의 이유 중 하나로 프랑스 혁명 이후 복음에 대항했던 ‘세속주의(secularism)의 쇠퇴’를 꼽았다.
그는 “사람들이 삶의 대한 신념으로서 세속주의, 즉 비종교라는 종교(religion of non-religion)의 실패에 환멸을 느끼면서 무너지고 있는 것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현상의 큰 부분”이라고 지목했다.
그는 세속주의가 실패한 이유로 “우리의 머리, 삶, 마음, 즉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것에 있어 불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존 목사는 과거 세속주의는 “종교에 대한 부적절하고 유치한 설명을 과학에 기초한 더 나을 설명으로 대체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나 우리는 엄청난 기술 발전을 보았지만, 과학은 존재에 대한 큰 문제에 답하지 못했다”며 “생명, 의식, 심지어 우주 자체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생각하는 사람들은 세속주의가 척박하고 만족스럽지 않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복음은 ‘우리는 하나님이 만드셨고, 그분께 사랑을 받으며, 우리가 선택한다면 그분에 의해 영원히 구원을 받는다’는 가장 풍부하고 의미 있는 해답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세속주의의 세 가지 실패로 윤리의 실패(failure of ethics), 기대의 실패(failure of expectation), 그리고 권한 부여의 실패(a failure of empowerment)를 꼽았다.
윤리적 실패에 대해 그는 “무의미한 우주에서는 의미있는 도덕성을 얻을 수 없다. 그 결과는 골칫거리”라며 “개인으로서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아무런 지침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적으로도 그는 “하나님이 주신 법칙에서 해방된 정치는 약자들이 무너지는 승자독식의 도덕적 게임이 되고 있다”며 “민족주의와 인종주의의 잔인하고 단순화된 확실성이 세속주의의 공백 속에서 번성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는 “복음은 옳고 그름의 확고한 토대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사람을 구원하고자 하는 정의롭고 은혜롭고 사랑이 많은 하나님을 선포한다”고 말했다.
또한 세속주의에 대해 “목적과 희망이 없는 암울한 신조이며 목표와 야망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는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질문하면) 대답은 침묵”인 반면 “복음은 이번 삶과 다음 생에 대한 진정한 희망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존 목사는 세번째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가 운명이든, 우연 또는 영적인 힘이든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지배를 당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억압 속에서 세속주의는 무력하다”며 “복음은 그렇지 않다. 예수는 모든 권세를 다스리는 주인이다. 로마 (초대교회) 공동체는 그리스도 안에서 다른 세력의 노예화로부터 해방시킬 힘을 발견했기 때문에 돌파구가 생겨났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세속주의는 실패했고 유럽 전역에서 세속주의가 낳은 메마른 토양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는 씨 뿌리기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이 있다”며 “삶과 죽음 그리고 영원의 도전에 대해 진정으로 만족스러운 해답을 주는 유일한 신조는 정통 기독교(authentic Christianity)”라고 제시했다.
[출처]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03725#share
강돈욱(칠골교회 장로)
김형직 + 강반석(1892-) / 넬슨 벨 선교사가 중매하여 결혼
강반석의 본명은 "강신희" 넬슨 벨 선교사가 개명하였다.
김일성(김성주) + 김정숙
웨일스 라예다에서 로버트 토마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토머스의 아버지 로버트 토마스 목사는 영국 회중교회의 사역자였다.
런던 대학교를 졸업한 뒤 청나라와 조선 선교에 뜻을 두고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倫敦傳道會) 소속으로
부인과 함께 청나라로 떠났다.
몇 달간의 여행 끝에 상하이에
도착하였고 부인인 케더린은 동료 선교사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 충격에 유산하고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
토마스는 이일로 고통에
잠기게 된다. 또한 런던선교회 중국 지부장인 뮤어헤드의 사립학교 엥글로-차이니즈라는 학교의 교장을 맡아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그는
거절한다.
"저는 두 가지, 아니 세 가지 근거를 토대로 반대합니다.
저는 돈을 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교육이라는 명분에 갇혀
선교사임에도 불구하고 복음을 전하지 못하는 교사가 되고 싶지도 않습니다." 라고 런던 선교회에 의사를 피력한다.
중국에서 조선인 천주교 신자들을 만난 것을 계기로 1865년에는 조선에 잠입해 성경을 배포하며 선교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조선에서 돌아온 후에는 베이징에 있는 선교회 산하 학교에서 교장으로 부임했다.
이듬해인 1866년 프랑스 신부들의 학살에 항의하기 위하여 조선으로 떠나는 프랑스 함대에 통역관으로 합류하기로 되어있었으나,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는 때마침 베트남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상해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토머스는 미국의 상선인 제너럴셔먼호에 항해사 겸 통역으로 탑승하여 다시 조선으로 떠났다.
제너럴셔먼호는 대동강에 진입하여 통상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자 만경대 한사정(閑似亭)에까지 올라와 그들의 행동을 제지하던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을 붙잡아 감금하였다. 토마스는 이 일에 동의하지 않고 오히려 반대했다.
사태가 이에 이르자 평양성 내의 관민(官民)은 크게 격분하여 강변으로 몰려들었고, 셔먼호에서는 소총과 대포를 이들 관민에게 마구 쏘아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제너럴 셔먼호는 모래톱에 좌초되었고, 이에 평안도 관찰사 박규수는 철산부사(鐵山府事) 백낙연(白樂淵) 등과 상의하여 음력 7월 21일부터 포격을 가한 뒤 대동강 물에 폐식용유를 풀고 불을 붙여 셔먼호를 불태워 격침시켰으며, 승무원 23명 가운데 대부분이 불에 타 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배는 소실되고 승무원 전원이 죽었으며 통역관 역할을 한 토머스는 이 과정에서 사로 잡혀 순교했다.
"내가 오늘 서양 사람 하나를 죽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한 점이 있다. 내가 그를 찌르려고 할 때 그는 두 손을 마주잡고 무슨 말을 한 후에 웃으면서 책 한 권을 내밀며 받으라고 권했다. 결국 그를 죽이기는 했지만, 그 책을 받지 않을 수 없어서 가지고 왔다."라고 그를 죽인 병사는 회고 했고, 평양신학교 제 1회 졸업생으로 조선 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한석진 목사는 편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제가 평양에 온 것은 임진년 10월, 즉 주후 1892년으로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한 지 26년이 지난 때였습니다. 이 때 저는 성경을 팔며 전도하러 다니면서 토마스 목사의 순교를 목격한 사람들로부터 어떤 이야기를 들었는데, 제너럴셔먼호가 불에 탈 때 바깥으로 성경을 던지면서 "야소(예수)!"라고 외치는 소리를 들었다는 것입니다. 지금 제가 전도하는 내용과 팔러다니는 책자가 그 서양인이 배에서 던진 책과 같은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제너럴셔먼호에 승선했다가 살해된 토머스가, 한때 박규수의 초청으로 평양에 왔다는 견해가 있다.
반면 성균관 대학교 한국한문학 김명호교수는 이 견해에 대하여 "토머스 목사가 조선에 들어오기 직전 베이징에서 박규수를 만나 선교활동의 지지와 후원 약속을 받았다는 설은 사실 무근으로, 셔먼호 사건 당시 박규수는 청나라 베이징에 간 사실이 없다"며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