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가문 그리고 평양 장대현교회 유래


               강돈욱(칠골교회 장로)

김형직 + 강반석(1892-) / 넬슨 벨 선교사가 중매하여 결혼
               강반석의 본명은 "강신희" 넬슨 벨 선교사가 개명하였다.
             

김일성(김성주) + 김정숙

사람들이 평양을 가리켜 동방의 예루살렘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예루살렘이라는 말보다 쿠드스라고 부르고 있다.
이곳은 세계 3대 종교인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성지인 것으로 하여 더 유명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뜻이다.
아랍인들은 이곳을 아랍어로 ‘알 쿠드스’(신성한 곳이라는 뜻)’라고 부르고 있다.

평양을 동방의 예루살렘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미국선교사인 사무엘 모펫이 우리나라에 복음을 전달하기 위해 1893년에 평양에 처음으로 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그의 이름을 우리나라에서는 삼열목사라고 불렀다.
26살 나이인 1890년에 선교를 목적으로 우리나라에 와서 최초의 신학교인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한 삼열목사는 일제의 조선침략을 반대하였고 애국지사들의 독립운동을 지지하였다는 이유로 1936년에는 일제로부터 강제추방되기도 하였던 명망이 높았던 목사다.

그가 평양을 근거지고 삼고 목회자 양성에 나섰던 장대현교회는 현재 평양시 중구역에 있는 평양학생소년궁전 자리에 위치해 있었다. 이 교회를 중심으로 평안남도 대동군 강서군에 탄포리교회청산포교회가 세워졌고 평안남도 남포시 태평에는 외리교회가, 중화군에는 읍내교회 등 여러 교회가 생겨났던 것이다.

당시 평양선교에 나섰던 미국 선교사들로는 삼열(사무엘)목사 외에도 그라함목사, 스왈론 선교사, 감리교의 홀 선교사 등이었다.
그들에 의해 1900년에 성경책이 우리말로 번역되어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김일성의 부모들이었던 김형직강반석도 평양에서 시작된 기독교 복음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1892년에 강반석이 출생할 당시 그의 아버지인 강돈욱은 칠골교회 장로였다.
김일성의 아버지인 김형직도 어려서부터 미국 선교사들이 지은 평양순화학교를 다니며 목사가 될 것을 꿈꾸었다고 한다.
당시 김형직은 우리글로 번역된 성경책을 붓글로 옮겨 적으며 성경구절을 탐독하였고 교회에도 열심히 출석하였다.
칠골교회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넬슨 벨 목사는 교회에 잘 나오는 그에게 다른 학생들처럼 돈 1전씩 주었는데 김형직은 그 돈도 고스란히 교회 헌금통 안에 집어넣는 정직한 신앙심을 보여주었고 이런 일로 미국 선교사들의 사랑을 받았다.

미국 선교사 넬슨 벨의 김형직에 대한 사랑은 당시 교회 장로였던 강돈욱의 딸 강반석과의 중매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북한당국은 김일성이 미국인 선교사의 중매로 부모들이 만나 태어나게 된 사실을 숨기고 있지만 1992년에 북한에 와서 김일성종합대학 철학과에서 강의를 하였던 넬슨 벨의 사위인 빌리 그레이엄 목사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들려준 이야기는 2017년 재미동포 작가가 쓴 김일성 평전 상(上)권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에는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과 아버지 김형직이 결혼할 수 있도록 주선한 사람도 나의 장인이었다.
김형직이 살았던 동네에도 교회가 있었는데 나의 장인이 자주 그리로 가서 설교를 하였다.
김형직이 이 교회에 나왔는데 그는 밑으로 동생만도 다섯이나 있었고 집안 살림은 째지게 가난했지만 교회에 나와 열심히 기도하고 봉사하는 사람이었다.
후에는 또 숭실중학교에도 들어갔는데 나의 장인이 강돈욱에게 그를 사위로 삼으면 좋겠다고 소개하여서 금방 혼사가 성사되었다”

강반석의 이름을 지어준 미국선교사 넬슨 벨의 사위인 빌리 그레이엄 목사는 1992년과 1994년에 평양에 가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강연를 하였는데 그는 김형직과 강반석의 중매를 선 것은 물론 김일성의 어머니의 본명인 강신희라는 이름을 반석으로 고쳐주었다는 사실을 고백하였다.

교회에 출석하면서 신앙심이 그가 넬슨 벨 목사에게서 받았던 세레명이 강반석이었고 후에 그 이름이 개명되어 지금까지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김일성과 북한당국이 숨겼던 이유는 하느님대신 자기를 신처럼 우상화하려는 속심 때문이었다. 독실한 기독교신자였고 칠골교회 장로였던 김일성의 외할아버지 강돈욱과 가까운 사이였던 미국 선교사인 넬슨 벨이 강반석의 이름을 지어준 것만 보아도 김일성 외가의 기독교 사랑을 잘 알 수 있다.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였다는 사실은 북한주민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 이름도 관례대로 한다면 김일성의 친할아버지인 김보현이나 아버지인 김형직이 지어주어야 겠지만 외할아버지인 강돈욱이 지어주었다.

당시 친할아버지인 김보현은 글도 모르는 농사꾼이었고 반면 외할아버지인 강돈욱은 한자와 우리글을 잘 아는 교회 장로였고 창덕학교 교장이었다.
이렇듯 김일성은 미국인 목사의 중매로 세상에 태어났고 교회 장로인 외할아버지로부터 태어나서 김성주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김일성의 아버지인 김형직이 다녔던 평양숭실중학교는 미국 선교사들이 지은 학교였다.
김형직은 미국 선교사들의 추천으로 숭실중학교에도 입학하였는데 북한당국은 숭실중학교를 다닌 사실은 배워주면서도 이 학교가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종교인 양성학교라는 사실은 여전히 숨기고 있다.

반석은 성경에 나오는 이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반석이란 이름은 예수의 12명 제자 중 한 명인 베드로를 우리말로 번역한 이름이다.
성경의 마태복음에 베드로가 신앙고백을 하자 예수님이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라고 말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듯 외할아버지 강돈욱, 외삼촌 강진석, 작은 외할아버지 강량욱이 모두 기독교 신자이거나 목사였다는 사실은 김일성의 외켠이 모두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음을 잘 알 수 있다.

아직도 1990년대 초에 이미 김일성종합대학에 종교학과가 생겼다는 사실을 모르는 북한주민들이 많지만 김일성은 자기가 어릴 적에 강반석의 손에 이끌려 교회에 나가서 예배를 하고 찬송가를 부르던 추억을 하면서 죽기 전에 교회에 대한 좋은 감정을 가졌다는 사실은 비밀이 아니다.

김일성의 기독교에 대한 신앙심에 대해 그의 작은 외할아버지인 강량욱과 평양에서 교사생활을 하였던 전 연세대학교 박대선총장이 한 증언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는 김일성이 빨치산활동을 할 때 자주 얼결에 찬송가를 부르군 하였다고 증언하였다. 그는 “김일성이 ‘피난처 있으니’ 등의 찬송가를 자주 부르곤 했다”면서 김일성이 어린 성장기 나이에 부모들을 따라 교회에 나가 부르던 찬송가가 머릿속에 깊이 뿌리박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저도 이젠 북한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에 입국한지도 어연 10년이 되어오지만 얼결에 북한노래를 흥얼거릴 때가 있다. 이럴 때면 김일성이 어릴 적에 교회에 다니면서 찬송가를 부르던 습관이 이런 행동을 하게 했으리라는 공감이 든다. 탈북민들이 대한민국에 와서 가장 놀라는 것 중의 하나가 북한의 많은 노래의 곡이 찬양가와 너무도 흡사하다는 것이다. 가사는 달라도 노래 곡조가 신통하여 북한노래가 기독교와 천주교 신자들이 부르는 찬송가를 모방한 것이 많다는 것은 저만의 아니라 많은 탈북민들의 공통된 이야기이다.

강반석은 결혼전에는 칠골교회에 다니다가 결혼 후에 만경대 인근에 있던 송산교회당에 김일성을 데리고 다녔다. 그리고 온 가족이 북중국경인 중국 팔도구에 살 때에는 압록강 건너 북한지역인 양강도 후창군읍에 있었던 포평교회당에 다녔다.

이렇듯 김일성은 미국인 선교사의 중매로 부모들이 만나게 되어 세상에 태어났고 어린 유년시절에 신앙심이 높은 어머니 강반석의 영향으로 교회에 열심히 다녔던 어린 신도였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평양 장대현교회 이야기

1866년 8월 27일 "제너랄 셔면호"가 평양 대동강으로 올아왔다.
당시 대원군은 외부와의 소통을 단호하게 거부하던 정책에 따라 '네저널 셔면호'를 향하여 집단에 불을 지펴 상류에서 떠내려 보냈다.
결국 '제너럴 셔먼호'에 불이 났고 육지로 올라오는 '토마스 선교사'를 죽인 사람은 병사 "박춘권"이었다.
토머스선교사(Robert Jermain Thomas, 1839-1866) 박춘권에게 한문 성경 한 권을 건네주었는데 이 성경을 박춘권은 영문 주사 "박영식"에게 주었다.
박영식은 한문 성경을 한장씩 찢어 종이가 귀한 시절인지라 방에 벽지로 발랐다.
얼마 후 박영식은 그 집을 "최치량"에게 팔아넘겼다.
'최치량'은 그 집을 여관으로 운영하였다.

평양을 방문했던 "사무엘 모펫(마포삼열)" 선교사가 그 방에서 묵게 되었는데 벽에 바른 것에 관심을 갖고 살펴본즉 한문 성경인 것을 알고 그 집을 매입하여 "널다리 교회"를 설립하였다.
'널다리교회'가 바로 1907년 평양 부흥 운동을 일으켰던 "장대현교회"이었다.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토마스"의 순교가 맺은 결실은 장대현교회로 열매가 되었다.






토마스 선교사(영국 런던선교회 소속)

웨일스 라예다에서 로버트 토마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토머스의 아버지 로버트 토마스 목사는 영국 회중교회의 사역자였다.
런던 대학교를 졸업한 뒤 청나라와 조선 선교에 뜻을 두고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 倫敦傳道會​) 소속으로
부인과 함께 청나라로 떠났다.

몇 달간의 여행 끝에 상하이에 도착하였고 부인인 케더린은 동료 선교사의 죽음에 대한 소식을 듣고 충격에 유산하고 홀로 죽음을 맞이한다.

토마스는 이일로 고통에 잠기게 된다. 또한 런던선교회 중국 지부장인 뮤어헤드의 사립학교 엥글로-차이니즈라는 학교의 교장을 맡아줄 것을 요청받았으나 그는 거절한다.

"저는 두 가지, 아니 세 가지 근거를 토대로 반대합니다.
저는 돈을 원하지 않습니다.
또한 교육이라는 명분에 갇혀 선교사임에도 불구하고 복음을 전하지 못하는 교사가 되고 싶지도 않습니다." 라고 런던 선교회에 의사를 피력한다.

중국에서 조선인 천주교 신자들을 만난 것을 계기로 1865년에는 조선에 잠입해 성경을 배포하며 선교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조선에서 돌아온 후에는 베이징에 있는 선교회 산하 학교에서 교장으로 부임했다.

이듬해인 1866년 프랑스 신부들의 학살에 항의하기 위하여 조선으로 떠나는 프랑스 함대에 통역관으로 합류하기로 되어있었으나,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는 때마침 베트남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상해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토머스는 미국의 상선인 제너럴셔먼호에 항해사 겸 통역으로 탑승하여 다시 조선으로 떠났다.

제너럴셔먼호는 대동강에 진입하여 통상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자 만경대 한사정(閑似亭)에까지 올라와 그들의 행동을 제지하던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을 붙잡아 감금하였다. 토마스는 이 일에 동의하지 않고 오히려 반대했다.

사태가 이에 이르자 평양성 내의 관민(官民)은 크게 격분하여 강변으로 몰려들었고, 셔먼호에서는 소총과 대포를 이들 관민에게 마구 쏘아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제너럴 셔먼호는 모래톱에 좌초되었고, 이에 평안도 관찰사 박규수는 철산부사(鐵山府事) 백낙연(白樂淵) 등과 상의하여 음력 7월 21일부터 포격을 가한 뒤 대동강 물에 폐식용유를 풀고 불을 붙여 셔먼호를 불태워 격침시켰으며, 승무원 23명 가운데 대부분이 불에 타 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배는 소실되고 승무원 전원이 죽었으며 통역관 역할을 한 토머스는 이 과정에서 사로 잡혀 순교했다.

"내가 오늘 서양 사람 하나를 죽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한 점이 있다. 내가 그를 찌르려고 할 때 그는 두 손을 마주잡고 무슨 말을 한 후에 웃으면서 책 한 권을 내밀며 받으라고 권했다. 결국 그를 죽이기는 했지만, 그 책을 받지 않을 수 없어서 가지고 왔다."라고 그를 죽인 병사는 회고 했고, 평양신학교 제 1회 졸업생으로 조선 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한석진 목사는 편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제가 평양에 온 것은 임진년 10월, 즉 주후 1892년으로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한 지 26년이 지난 때였습니다. 이 때 저는 성경을 팔며 전도하러 다니면서 토마스 목사의 순교를 목격한 사람들로부터 어떤 이야기를 들었는데, 제너럴셔먼호가 불에 탈 때 바깥으로 성경을 던지면서 "야소(예수)!"라고 외치는 소리를 들었다는 것입니다. 지금 제가 전도하는 내용과 팔러다니는 책자가 그 서양인이 배에서 던진 책과 같은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제너럴셔먼호에 승선했다가 살해된 토머스가, 한때 박규수의 초청으로 평양에 왔다는 견해가 있다.
반면 성균관 대학교 한국한문학 김명호교수는 이 견해에 대하여 "토머스 목사가 조선에 들어오기 직전 베이징에서 박규수를 만나 선교활동의 지지와 후원 약속을 받았다는 설은 사실 무근으로, 셔먼호 사건 당시 박규수청나라 베이징에 간 사실이 없다"며 반박했다.



부산지역의 부전교회를 비롯하여 주변의 여러 교회가 연합하여 로버트 토마스 선교사의 순교 150주년을 기념하여 함께 이를 기념하게 된 것은 뜻 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일을 추진하여 주신 한국기독교사연구소의 박용규 소장님과 이 뜻에 공감하여 기꺼이 이 자리를 마련해 주신 부전교회와 박성규 담임목사님, 그리고 당회와 성도들에게 감사한다. 부전교회는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건강하고 건실한 교회이고 박성규 담임목사는 부산의 영적 갱신과 부흥을 위해 헌신하시는 영적 지도자라는 점에 이의가 없을 것이다.
오늘 모임에 토마스 선교사에 대해 깊이 연구하신 박용규 교수님이나 토마스 목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수득하신 고무송 목사님과 같은 학자가 강연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사양했으나 부산에 살고 있다는 이유에서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을 송구하게 생각한다. 오늘 필자는 토마스 선교사가 걸어갔던 26년의 삶의 여정을 뒤돌아보고 오늘 우리들과 우리 교회에 주는 가르침이 어떤 것인가를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16세기 독일의 위대한 화가였던 알브레히트 뒬러(Albrecht Durer, 1471-1528)는 ‘그림’(painting)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는데, 첫째는 교회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고, 둘째는 죽은 자를 기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초상화를 그렸다. 오늘 우리의 ‘기림’(commemorate)도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교회와 성도들에게 유익을 주는 일이고, 둘째는 토마스 목사가 걸어갔던 믿음의 길을 기리는 일이다. 이 목적을 위해 우선 토마스 목사가 살아갔던 삶의 여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들의 신앙과 삶, 그리고 오늘의 교회 현실을 성찰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1. 출생과 가정 배경, 학교교육
로버트 저마인 토마스(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는 로버트 토마스(Robert Thomas, 1810-1884)와 메리 윌리암스(Mary L. Williams, 1817-1895)의 6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로버트 토마스는 당시 웨일즈의 위대한 설교가이자 웨일즈 부흥을 주도한 윌리엄 윌리엄스의 제자인데, 중부 웨일즈에 있는 신학교에서 수학했다. 1837년 4월 18일 목사 안수를 받은 그는 1839년 여름 라야더(Rhayader)의 터바나클 교회 부임했는데, 바로 이곳에서 둘째 아들 저마인 토마스가 출생했다. 로버트 토마스 목사가 이곳에서 사역하는 동안 강력한 성령의 역사 일어났고 교회 부흥의 역사를 경험하였다. 이곳에서 목회하면서 1795년에 창립된 런던선교회에 후원금을 보내기 시작하는데, 후에 그의 아들이 런던선교회의 파송으로 중국으로 향하게 된 것은 흥미로운 관련이 아닐 수 없다. 로버트 토마스 목사는 1848년에는 몬머스셔(Monmouthshire)의 하노버교회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저마인 토마스는 8살이었다. 토마스는 이곳 하노버에서 청소년기를 보내게 된다.
토마스의 교육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최초의 공교육이 이루어 진 곳은 란도버리(Landovery) 칼리지에 3년간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그는 헬라어와 라틴어, 그리고 프랑스어를 공부했는데 이때부터 다른 아이들에 비해 언어능력이 탁월했다고 한다. 그가 언어에 재능이 있었다는 점은 그 이후의 다른 기록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후 토마스는 오스포드대학교 지저스 칼리지에 장학생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나 나이 어리다는 이유로 입학이 보류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토마스는 도제식 의학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스텔라 프라이스(Stella Price)에 의하며 토마스는 외과의사가 되는 교육을 받으라는 주변의 권고를 받고 워터만(Waterman) 의사 휘하에서 2년간 의학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당시에는 왕실의사면허 시험 제도가 있어 공인된 의사 밑에서 훈련을 받고 시험에 합격하면 의사가 될 수 있었다고 한다. 그가 2년여 이런 교육을 받았으나 적성에 맞지 않았고, 육신의 치료자보다는 영혼의 치유자가 되고 싶었다. 그러든 중 잉글랜드 노스헴톤 지역 온들(Oundle)에 있는 알프레드 뉴스 학교(Alfred Newth’s school) 보조교사로 부름을 받고 약 1년간 일하게 된다. 이 학교 교장 알프레드 뉴스는 중국선교를 준비했던 사람으로 로버트 모리슨에게 중국어를 배운 인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토마스는 알프레드 뉴스를 통해 중국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곳에서 지내는 동안 토마스는 또 한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그가 캐를라인 갓프리(Caroline Godfrey)였다. 토마스는 주일에는 온들 회중교회에 다녔는데 주일학교 교사로 봉사하던 중 존 갓프리의 외동딸 캐를라인 갓프리를 만나게 된 것이다. 이 여성은 토마스보다 2살 연상으로 후일 아내가 된다.
일 년 간의 교사생활을 마감한 토마스는 고향 하노버로 돌아갔고, 이때 아버지 청으로 교회에서 설교를 했는데, 그것이 히브리서 13장 8절의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다”는 본문의 설교였다. 아마도 이것은 자신의 신앙고백이었을 것이다. 토마스는 1857년에는 런던대학교 뉴칼리지에 입학했다. 온들에 있을 때 교장이었던 알프레드 뉴스의 친형인 새무엘 뉴스가 당시 학장이었다. 이곳에서 2년만에 학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3년간 최고의 금액인 밀스장학금을 받았다. 이 시기가 웨일즈의 영적 부흥기였는데 토마스는 교수드르이 만류에도 불구하고 일 년 간 휴학했는데, 휴학기간동안 지역교회에서 설교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복학한 그는 중국선교에 대한 조바심으로 학교에 조기 졸업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그가 선교의 이상을 갖게 된 데는 귀츨라프의 영향 또한 없지 않았다. 토마스는 1832년 충청남도 보령시의 고대도와 조선 해안을 방문했던 귀츨라프의 항해기를 읽은 것으로 보이는데, 귀츨라프가 서해안을 따라 여행하면서 성경을 보급했듯이 후일 토마스도 동일한 방법을 선택했다. 1859년 10월 토마스는 런던선교회 소속의 록하르트(Lockhart) 선교사의 설교 듣고 큰 감명을 받는데, 그의 설교 또한 선교사의 길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록하르트는 1861년에는 영국공사관의 공의로 베이징에서 활동하게 된다.
 
2. 선교사로의 길
토마스는 1863년 5월 뉴칼리지 졸업했다, 휴학기간을 포함하여 6년이 소요되었다. 졸업 후인 5월 29일에는 런던의 회중교회에서 온들에서 만난 캐롤라인 갓프리와 결혼했다. 이때 토미스는 23세, 아내는 25세였다. 결혼 6일 후인 6월 4일에는 목사안수 및 선교사 파송식이 거행되었다. 이로부터 7주 후인 7월 21일 토마스 부부는 그레이브센드(Gravesend) 항구 떠나 상해로 출발했다. 그가 중국으로 가게 된 것은 몇 가지 연쇄적 영향도 없지 않았지만 당시 중궁은 인도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선교지였고, 가장 많은 선교사가 파송된 지역이었다.
토마스는 영국을 떠난지 4개월 만인 1863년 12월 첫주 상하이(上海)에 도착했다. 런던선교회 상하이 지부장 무어헤드(William Muirhead)의 충심의 영접을 받았으나 두 사람 간의 친밀한 관계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상하이 도착 2개월 후인 1864년 2월 4일 자로 부모님께 보낸 편지가 남아 있는데 이 문서에는 당시 정황을 헤아리게 해 주는 중요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중국 도착 4개월 후인 1864년 3월 11일 런던선교회의 그리피스 존(Griffith John) 선교사가 사역하고 있는 한커우(漢口)로 갔는데 그 기간동안 임신 중이던 부인은 유산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1864년 3월 24일 2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토마스는 타지에서 아내의 죽음을 맞게 되었고, 이 일로 큰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사별의 아픔이치유되기도 전에 토마스는 또 다른 고뇌에 빠졌는데, 상하이지부장 무어헤드와의 갈등이었다. 선교관의 차이에서 유래한 갈등은 토마스에게는 심각한 현실이었다. 상하이에 주제하는 영국인을 위해 목회했던 무어헤드는 상하이가 선교 중심이어야 한다고 보았으나 토마스는 자국민보다 중국인 선교가 우선해야 된다고 보았고, 한커우로 가고 싶어 했다. 토마스에게 신설되는 학교 교장직 요청을 받았으나 성경을 가르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음으로 이 사역은 그에게 매력적이지 못했다. 결국 토마스는 런던선교회를 사임하게 된다. 1864년 12월 7일이었다. 곧 이 일을 경솔한 행동이었다고 후회하게 되지만 토마스에게는 성급함과 무모함이 없지 않았다. 고무송 박사는 토마스에게는 모험정신, 강한 의무감, 무모함, 성급함, 엘리트 의식 등 몇 가지 기질 혹은 특징이 있다고 보았는데, 적절한 지적이라고 생각된다. 런던 선교회를 사임한 그는 현제 엔타이(煙臺)라고 불리는 지푸(Chefoo)로 이동하여 이곳 세관의 통역 및 감독관으로 일했다. 이때부터 1865년 8월 31일까지 약 8, 9개월간 일했다.
 
3. 제1차 조선 방문
지푸는 산동성 북부의 해안도시로서 조선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데, 당시로 볼 때 외국과의 무역을 허용한 유일한 항구였다. 이곳에서 토마스는 두 사람의 한국인을 만나게 된다. 이곳의 스코틀랜드성서공회 소속 알렉산더 윌리암슨(Alexander Williamson)은 두 한국인을 만나게 되는데, 김양선에 의하며 그 두 조선사람 김자평(金子平)과 최선일이라고 한다. 윌리암슨은 이들을 저녁식사에 초대했는데, 토마스도 함께 초대되었고, 이들을 통해 한국의 상황을 듣게 뙨다. 즉 한국의 로마가톨릭 신자는 5만명이 이르고, 11명의 신부들이 비밀히 활동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된다. 이런 접촉을 통해 토마스는 조선 선교를 자원하게 되고, 스코틀랜드성서공회 대리인 자격으로 1865년 9월 4일 ‘허락되지 않는 땅’(terra incognito) 조선으로 향하게 된다. 이것이 제1차 조선방문인데, 윌리암슨으로부터 한문성경과 기독교 서적을 보급 받았고 또 약간의 경비 지원도 받았다. 이대 김자평이 동행했고, 중국인 우웬타이가 항해를 맡았다. 그 달 13일에는 황해도 해안에 도착했는데, 이곳이 황해도 옹진 자라리(紫羅里) 근포(近浦)였다. 이곳에서 성경을 나누어 주며 전도했고 한양까지 가려했으나 배가 파선되어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을 떠난 그는 만주의 피쯔워 항구를 거쳐 도보와 말을 타고 여행하여1866년 1월 4일 혹은 5일 베이징에 도착했다. 지푸를 떠난지 4개월 만이었다. 조선에 체류한 기간은 2달 반 정도였고, 체류한 곳은 서해안, 곧 황해도나 평안도에 속한 도서지방이었다. 김양선 교수의 지적처럼 토마스를 인도했던 김자평이 황해도의 ‘육도’였기 때문에 자기가 잘 아는 지역으로 안내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곳에서 성경책과 기독교 문서를 배포했다. 이점은 토마스가 두 번째 조선으로 향하기 일주일 전에 런던선교회 지부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베이징으로 돌아온 토마스는 런던선교회 선교사로 재가입 되었고 근무지는 베이징 지부로 결정되었음을 통보 받았다. 즉 재가입된 것은 1865년 9월에서 11월 사이로 판단되는데 이 점은 토마스가 런던선교회 소속으로 조선을 방문했다는 점을 의미한다. 토마스가 런던 선교회 티드만 회장에게 보낸 조선방문 보고는 당시의 사정을 헤아릴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제공한다(스텔라, 100).
 
4. 제2차 조선 방문
고종 3년인 1866년은 우리나라 최대의 천주교 박해인 병인박해가 있었던 해였고 이때 대원군은 천주교를 금압했을 뿐 아니라 약 8천명의 천주교인이 죽임을 당했다. 이 때 조선에서 활동하고 있던 베르뇌(Berneux) 주교를 비롯하여 9명의 프랑스 주교들이 참수되었다. 천주교도를 색출하기 위해 오가작통법으로 감시했고 해안은 봉쇄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토마스는 두 번째 조선을 방문하게 된다. 토마스는 조선에서의 천주교 박해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조선행을 시도했다. 그러든 중 프랑스 해군사령관 로즈 제독으로부터 통역관으로 조선으로의 동행을 요청했다. 로즈 제독은 베이징의 프랑스 대사관을 방문했는데, 프랑스 대리공사 벨로네(Bellonet)에게 조선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 소식, 특히 프랑스인의 처형 소식 알려주었다. 벨로네는 로즈에게 조선 진격을 요구했고, 약간의 조선어를 알고 있는 토마스에게 로즈 제독의 통역관으로 조선 동행을 요청한 것이다. 주저되는 바가 없지 않았으나 토마스는 조선으로 갈 수 있는 기회라는 생각에서 텬진에서 로즈 제독과 합류하여 지푸를 거쳐 조선으로 갈 예정이었다. 그런데 로즈 제독은 베트남 사이공에서 일어난 소요를 진압하기 위해 그리로 가게 됨으로 원래 계획이 취소되었다.
토마스는 조선으로 갈 길을 찾기 위해 일단 지푸로 갔다. 여기서 필요한 경비도 마련할 계획이었다. 여기서 다시 윌리암슨과 한국인 김자평을 만났는데 이들을 통해 조선방문의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든 중 1884년 7월 29일 지푸에 커다란 선박이 나타났다. 그것이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였다. 원래 이 배는 1861년 영국에서 건조한 범선으로 ‘프린세스 로얄’호로 불렸으나 1863년 1월 미국으로 넘겨져 미 해군에서 사용하였고, 1865년에는 경매에 넘겨져 상선으로 개조되었다. 남북전쟁 당시 위력을 떨친 남군의 장군 셔먼으로 이름을 따 제너럴 셔먼으로 개칭되었으나 더 이상 해군 함정이 아니라 영국의 메도우 사(Meadows Company) 소속 상선이었다. 이 배는 조선에서 팔릴만한 비단, 유리그릇, 천리경, 자명종 등을 싣고 텬진항을 거쳐 지푸로 온 선박이었다. 토마스가 어떻게 이 배에 승선하게 되었는가는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행을 의도했던 토마스에게는 조선행의 호기였다. 그 배가 어떤 성격의 배인지, 조선 방문의 목적이 무엇인지는 따질 겨를이 없었을 것이다.
토마스는 베이징을 떠난지 26일 만인 1866년 8월 9일 제너럴 셔먼호에 승선했고, 이날 셔먼호는 조선으로 향했다. 알렉산더 윌리엄슨으로부터 상당히 많은 양의 한문성경과 기독교 서적을 공급받았다. 제너럴 셔먼 호는 무장한 상선으로 승선인은 선주 미국인 프레스턴(W. Preston)을 비롯하여 항해사 윌슨(Wilson), 선장 페이지(Page), 화물관리인 영국인 호가스(G. Hogarth), 토마스 선교사, 두 사람의 중국인 이팔행 등 항해안내원, 그리고 중국인과 말레시아인 선원 등 24명으로 파악된다. 후의 일이지만 고종실록에는 프레스톤을 보래돈(普來敦)으로, 페이지를 파사(巴使)로, 호가스를 하갈특(何噶特)으로, 토마스를 최란헌(崔蘭軒)으로 표기했다. 물론 최란헌이라는 표기가 토마스를 표기한 것이 맞느냐에 대한 논란이 없지 않다.
지푸를 떠난 제너럴 셔먼호의 첫 경유지는 백령도의 두무진 항이었다. 이곳에서 토마스는 성경을 나눠주었고, 이때 제너럴 셔먼호를 목격했던 한 조선인의 목격담이 스텔라 프라이스는 자신의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124쪽). 곧 백령도를 떠나 돛섬으로 향했는데, 여기서 중국인 선장 우웬타이(Yu-Wen-Tai) 만나게 된다. 그는 여러 차례 조선의 해안을 왕래하며 장사했던 중국인이었다. 다시 배는 대동강 안쪽으로 행진했다. 외국선박의 입항이나 접촉을 금지했던 조선의 사정을 알고 있던 선원들은 안전을 위해 더 이상 진출 우려했으나 선장과 선주는 우웬타이의 경고를 무시했다. 조선 사정이 밝은 우웬타이는 더 이상 안내할 수 없다며 지푸로 돌아갔다. 그러나 셔먼호는 자만했다.
 
5. 대치상황과 제너럴 셔먼호의 최후
8월 16일에는 용강면 다미면 주용포항에, 8월 17일 금요일에는 황주 송산에 정박했다. 예상되는 바이지만 강둑에는 이양선을 보기 위해 조선인들이 몰려들었고, 조선관리는 긴급 회합하여 선박의 철수를 요구했으나 셔먼호는 입항을 고집했다. 고종 3년, 곧 1866년 음력 7월 15일자 고종실록에는 당시의 상황이 언급되어 있다. 배는 더 진행하여 8월 20일에는 평양 초리방 사포구에 이르렀다. 이곳에서도 서양 선막은 구경꺼리였다. 많은 이들이 구경하러 몰려왔다. 오문환에 의하면 홍신길이라는 소년도 작은 배로 셔먼호 근처로 접근했고, 토마스는 갑판에서 그를 맞이하여 방으로 데리고 기독교 문서를 주고 그에게 케이크를 맛보게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곳에서 처음으로 감자를 보았다고 한다. 또 그날 밤에는 인근 쑥개마을에서 장인국 지달수 지달체 지택구 지택붕 지택주 장용국 지달해 표명보 등 아홉 사람이 토마스를 찾아갔다고 한다. 이 들 중 장용국 외에는 천주교 신자들인데 천주교 신자들을 보호해 줄 프랑스 선박을 기다리고 있던 중 셔먼호로 찾아간 것이다. 토마스는 자기는 천주교 신자도 프랑스 함대도 아니라고 말하고 개신교 선교사라고 자신을 소개하고 성경과 기독교 문서, 그리고 빅토링여왕 얼굴이 새겨진 동전까지 주었는데, 천주교신자들은 성모 마리아상으로로 오인했다고 한다. 오문환 장로 기록의 정확성은 확인할 수 없으나 조선인과의 접촉의 사례로 제시되고 있다. 얼마 후 지달수와 지달해는 서양인 접촉했다는 이유로 참수되었다고 한다.
다음날 조선관리가 선박의 철수를 요구했을 때 셔먼호는 교역을 원한다며 비단, 유리, 망원경, 자명종을 조선의 쌀, 인삼, 종이, 호랑이 가죽 등과 교환하자고 했다. 그러나 교역을 금하는 정책에 따라 이를 거절했다. 거듭된 경고를 무시한 것은 제너널 셔먼호의 오만이었고 신중치 못한 처신이었다. 대치상황은 약 2주일간 계속되었다. 조선 관리들의 거절에도 불구하고 제너럴 셔먼호는 평양행을 고집하고 8월 21일에는 평양 신장포에 도착했다. 이곳에서도 구경꾼들이 몰려오았고, 토마스는 성경책 나눠주었다. 토마스로서는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의무를 다한다면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이때 성경 받은 김영섭은 후에 기독교신앙을 받아드렸고, 두 아들 김종권과 김성집은 후일 장로가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서도 조선 관리 김낙수는 선박의 도래경위를 조사하고 철수를 요구했다. 8월 22일 셔먼호는 평양 만경대의 작은 선 두로도에 닻을 내렸다. 토마스 이곳에서 100권의 성경 배포했다고 한다. 평양감사 박규수는 셔먼호의 공격에 대비하여 만경대를 둘러싸는 방어선 구축 지시했다. 그럼에도 셔먼호 대동강으로 계속 진입했다. 8월 27일에는 보다 심각한 사건이 일어났다. 셔먼호 승무원들이 순시대장 중군(中軍) 이현익을 억류한 것이다. 조선에 무단 침입했을 뿐 아니라 퇴거를 거부하고 조선관리를 억류한 일은 심각한 일이었다. 셔먼호의 자신의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서 혹은 물이나 식량,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 없지 않으나 방자한 행동이었다. 선원 중 한 사람은 이현익의 관원 명찰을 빼앗은 일을 더욱 그러했다.
이현익의 억류소식을 접한 주민들은 셔먼호에 돌을 던졌고, 석방을 요구했다. 관군은 사격을 가했다. 셔먼호 측에서도 발포했다. 이런 와중에서 박춘권(朴春權)이 혼자 배를 저어 가 이현익을 구출했다고 한다. 오문환에 의하면 그가 후에 평양의 장로교회 첫 인물이 되었다고 하지만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다. 셔먼호가 수세에 몰리자 더욱 낙폭하게 대응했다. 8월 28일 발포를 시작했고, 8월 31일에는 조선인 7명 사살되고 5사람 중경상을 입었다. 사태는 심각하게 전개되었다. 고종의 허락에 따라 평양감사 박규수는 셔먼호 공격을 지시했다. 9월 3일이었다. 박규수는 실학자 박지원의 손자로서 개방론자였으나 셔먼호의 무단접근은 용인될 수 없었다. 곧 강 수위는 낳아졌고 배는 좌초되었다. 9월 4일 달빛도 없는 그믐밤이었다. 결국 선원은 쑥섬에 갇힌 신세가 되었다. 작은 거룻배에 나무를 싣고 불을 붙여 셔먼호로 접근시켜 셔먼 호 불태웠다. 선원들 불길을 피해 강밖으로 헤엄쳐 나왔으나 강변에 정렬해 있는 군인들에 의해 창에 찔려 주임을 당했다. 토마스 목사도 남은 성경책을 안고 배에서 띄어 내렸다. 강가로 끌려나온 그는 모래사장에 머리를 숙이고 기도했다. 그리고는 마지막 성경을 관군에게 내밀었다. 관군의 칼은 토마스의 가슴을 내리쳤고 토마스는 9월 5일 대동강 쑥섬 모래사장에서 26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토마스의 시신은 대동강변에 묻혔다.
 
6. 토마스의 순교 이후
토마스의 최후에 대해서는 상이한 기록이 남아 있다. 배가 불타고 선원들이 죽임을 당할 때 토마스는 뱃머리에서 홀로 야소(耶蘇)를 외치고 남은 성경을 뿌렸다는 기록이 있는가하면, 한석진 목사는 토마수가 순교한지 26년이 지난 1892년 당시 목격자로부터 제널 셔먼호가 불탈 때 토마스가 성경을 던지며 ‘야소’를 외치는 것을 들었다는 증언을 남겨주고 있다. 그런가하면 백기를 흔들며 목숨을 외국인도 한 두명 있었다고 한다. 그 한 사람이 토마스였을 것으로 말하는 이도 있다. 기록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을 균형 있게 판단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토마스의 죽음과 관련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제너럴 셔먼을 구경하라 갔던 소년 최치량(崔致良, 1854-1930)에 관한 이야기가 그것이다. 그는 12살 때 숙부와 함께 1866년 9월 3일 토마스 순교장면을 목격하였고, 토마스 목사가 뿌린 한문성경 3권을 주었다고 한다. 책 소지자에 체포 명령이 내려 대부분 성경을 소각하거나 강변에 버렸다. 최지량도 이 성경을 집으로 가져 오지 못하고 영문주사(營門主事) 박영식(朴永植)에게 주었다고 한다. 박영식은 이 성경을 가져와 찢어 벽지로 사용했다. 오랜 후 최치량은 사업에 성공하여 물상객주(物商客主)가 되어 평양 대동문 안에 집을 사 여관을 운영하게 되었는데, 그 여관의 전 주인이 박영식이었다. 최치량은 이 벽지로 사용된 성경을 읽고 또 한석진의 전도로 회심하였고, 평양에서 최초로 마펫에게 세례를 받고 평양지역 교회의 초석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널다리골의 홍종대(洪鐘大)의 집을 사서 예배처소로 사용했는데, 이것이 평양장대현교회의 시작이었다고 한다.
제너럴 셔먼호 사건은 서구와의 불행한 접촉이었으나 그 이후 역사는 흥미롭게 전개되었다. 이 사건은 조선과 미국간의 외교문제로 발전하였고, 널리 알려진 바처럼 이 일이 신미양요(辛未洋擾, 1871. 6)의 원인이 되었다. 이런 대결과 접촉이 후일에는 조미 양국 간의 통상조약(1882)으로 발전하여 외국인의 조선 거주를 보장 받게 된다. 결국 1884년에는 알렌이 입국하게 되는데, 토마스 순교 18년 후의 일이었다. 이런 점에서 박용규 교수는 토마스의 순교는 한국교회의 보이지 않는 이정표가 되었다고 말한다. 오문환은, 토마스의 피가 뿌려진 대동강 물을 마신자마다 예수를 믿었고 평양은 동방의 예루살렘이라고 불릴 만큼 한국교회의 거룩한 도성이 되었다고 했다.
 
7. 남은 문제: 토마스는 순교자인가 침략자인가?
토마스 목사는 오랫동안 잊혀진 인물로 남아 있었다. 그가 죽임을 당하고 60년이 지난 1926년 평양의 오문환 장로는 토마스 목사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소책자를 발간했다. 그것이 토마스의 생애와 조선 기독교사의 분수령이 되는 양란(洋亂)에 대한 기록이었다. 1927년에는 토마스 기념회가 조직되었고, 1927년 5월 8일 토마스 목사가 묻힌 쑥섬에서 토마스 목사 순교 60주년 기념예배가 거행되었는데, 이때 1천명이 참석했다고 한다. 1932년 9월 14일에는 대동강변에 토마스기념예배당을 건립했는데, 1933년 10월 14일 봉헌예배를 드렸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10여년 이래로 토마스를 순교자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그 의 죽임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감리교의 존스(G. H. Jones) 이래로 초기 선교사들은 토마스 목사를 순교자로 이정해 왔고, 설사 게일의 경우처럼 순교자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더라고 복음을 위한 그의 숭고한 죽음을 기리고 있고, 그를 정치적 희생자라든가 침략자로 말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에는 토마스를 순교자로 볼 수 없다거나 심지어는 침략자에 불과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들이 제기하는 문제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토마스는 무장상선을 타고 입국했기 때문에 순교자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런가 하면 조선에 와서 아무 일도 하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순교자로 칭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 그가 죽은 이유가 기독교 복음 때문에 죽은 것이 아니라 제너럴 셔먼호의 부당한 처신과 횡포에 기인하는 정치적인 죽임이라고 주장하다. 일견 고려할 점이 전무한 것은 아니지만 1860년대 상황에서 해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토마스가 복음의 열정, 곧 조선 선교의 이상을 가진 점은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당시로는 조선 입국 방법이나 경로를 선택할 여지가 없었다. 설사 무장상선이라 할찌라도 셔먼호 승선이 조선으로 진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였다. 제너럴 셔먼호의 신중치 못한 점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셔먼호로 입국했기 때문에 순교자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 선교사가 내한 한 이후 무엇을 했는가가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토마스는 1863년 이래로 선교사 신분이었고, 이미 조선을 방문하바 있고 선교사역을 감당했다. 그가 내한 즉시 죽임을 당했다고 해서 순교자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 그의 죽음이 복음전도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 이유 때문이라는 주장도 고려할 점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기독교가 금압된 당시 상황에서 서양인의 죽음, 특히 서양선교사의 죽음을 비종교적 행동으로만 취급할 수 없다. 1866년 병인양요 때의 프랑스 선교사들은 죽음은 정치적 성격이 강했고, 외세에 의한 침략세력으로 간주되었다. 그 누구도 프랑스 신부의 죽음을 순교가 아니라고 부정하지 않는다. 기독교가 금지된 상태에서 ‘선교사의 현존’ 자제가 정치적 행위일 수 있고, 정치적 침략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토마스의 죽음을 순교로 볼 수 없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토마스 목사가 제너럴셔먼호로 입국한 일이나 셔먼호의 부당한 혹은 불법적인 행위는 지탄받을 수 있지만 토마스 목사는 조선인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려는 선한 의지는 부정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토마스가 죽임을 당한 후 초기 선교사들을 시작으로 한국교회는 토마스를 순교자로 간주하고 그의 죽음의 의미를 기념해 왔다. 15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토마 목사의 삶과 죽음을 통해 오늘우리의 모습을 성찰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토마스 선교사(Robert Jermain Thomas, 1840-1866)


1866년 대동강변의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통해 순교한 것으로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알고 있다.
하지만 고종실록 1866년 7월 기록에 따르면 ‘토마스선교사와 조능봉이 제너럴셔면호에서 조선군민들과 싸우는 과정에서 뱃머리로 뛰어나와 살려달라고 청하자 이들을 사로잡아 묶어서 강안으로 데려왔는데 울분을 참지못한 군민들이 일제히 모여들어 그들을 때려 죽게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평안감사 박규수가 고종에게 보고한 내용이다.

이후 토마스 선교사 사후 50년동안 순교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가 1928년 오문환의 ‘도마스 목사전’에 토마스 선교사의 실제 목격자가 등장한다.

도마스 목사전에는 토마스 선교사가 단순히 대동강변에서 순교했다는 내용보다는 그의 전체 삶을 강조하고 있다.
토마스 선교사는 순교하기 전 처음 방문때 서해 백령도에서 한자 성경을 보급한다.
물론 순교했던 두번째 방문 때도 제너럴셔먼호에 성경을 싣고 왔다.

토마스 선교사의 순교를 계기로 조선과 미국은 국교가 수립되고 이어 선교사들이 조선에 들어오는 계기가 마련된다.
토마스 선교사는 직접 전도하지 않았는데도 27세의 죽음을 통해 한국교회역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같은 사실에서 우리는 전도와 선교의 범위를 넓게 보아야 할 것이다.
개신교 선교에서 중요한 것은 사람보다 말씀이 조선에 들어왔다는 점이다.

천주교는 사제가 들어 가는 것을 선교의 시작으로 보지만 개신교는 말씀이 들어가는 시점을 선교의 시작으로 본다.

한반도가 처음 기독교를 접한 시기는 통일신라 때였다.
당나라 경교를 통해서이다.
불국사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이후 임진왜란, 병자호란 때에도 기독교가 한반도에 유입됐다.

천주교의 박해는 1801년부터 시작된다. 

병인박해는 1866년에 일어났다.

토마스 선교사는 조선에 들어 왔을 때는 이미 조선에서 8천명의 순교자의 피가 조선반도에 뿌려진 이후였다.
이런 의미에서 개신교는 천주교에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헌종때 ‘척사윤음’을 발표한다.
즉 천주교는 삼강오륜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장하성이 ‘상재상서’를 통해 기독교를 변호하는 글을 발표한다.
조선 최초 기독교변증문인 상재상서는 3~4천자로 기록됐다.

조선반도에 복음이 전파되는 때는 가장 힘든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초대교부 터툴리안은 기독교는 순교의 종교라 했다.
개신교는 복음이 쉽게 들어왔다.
그 이유는 천주교의 핍박이 이미 있었기 때문이다. 


개신교의 선구자들은 누구인가?

-벨테부레(1627년) : 네덜란드 사람이다.
표류하면서 조선에 잡혀 훈련도감이 된다. 이름도 개명해서 박연으로 불리었다.

-하멜(1653년)
제주도 부근에서 풍랑으로 좌초한다.
당시 조선에서는 크리스챤을 ‘길리시단’이라 불렀다.
나중에 조선을 탈출해 하멜표류기를 기록한다.
벨테부레와 하멜은 선교사가 아니었지만 개신교인으로 조선에 왔다.

선교사로서 조선에 왔던 사람은 귀츨라프(1832년)이다.
귀츨라프 선교사는 Halle 대학에서 훈련을 받고 선교사로 들어온다.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감자씨를 가져와 충청도에 전달한다.
하지만 동인도회사의 아편밀수에 협조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첫 개종자와 한글성서이 번역은 조선이 아닌 중국 만주에서 시작됐다.
‘고려문’이라는 곳은 조선과 청나라가 문물을 교환하는 곳으로 조선은 고려인삼을 청은 비단과 약재를 가져와 서로 교환했다. 존 로스 선교사가 그곳에 있었다. 존 로스 선교사는 고려문에서 양모를 팔면서 성경을 보급했다. 주로 상인들을 대상으로 했다. 상인들은 개방적이며 당시 언어인 한자에 능하고 세일즈를 통해 설득적인 경향을 보인다. 사도바울도 드로아에서 마케도니아로건너가 처음 복음을 전한 사람은 두아디라 출신 자주장사였던 루디아였다.

존 로스 목사는 의주 상인들을 만나 성경번역을 권고했다.
의주상인들은 성경을 번역하다가 믿음을 갖고 세례를 받았으며 이로인해 조선에 교회가 세워진다.
대표적인 이들이 백홍준, 이응찬, 서상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