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과이의 한 성당벽에 써 있는 "반성하는 주기도문"

우르과이의 한 성당벽에 써 있는
"반성하는 주기도문"

- 주님의 기도를 바칠때-

"하늘에 계신" 하지 말아라.
세상 일에만 빠져 있으면서...

"우리" 하지 말아라.
너 혼자만 생각하며 살아가면서...

"아버지" 하지 말아라.
아들 딸로서 살지 않으면서...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하지 말아라.
자기 이름을 빛내기 위해서 안간힘을 쓰면서...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하지 말아라.
물질만능의 나라를 원하면서...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하지말아라.
내 뜻대로 되기를 기도하면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하지말아라.
가난한 이들을 본체만체하면서...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하지 말아라.
누구에겐가 아직도 앙심을 품고 있으면서...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하지 말아라. 죄
지을 기회를 찾아 다니면서...

"악에서 구하소서" 하지 말아라.
악을 보고도 아무런 양심의 소리를 듣지 않으면서...

"아멘" 하지 말아라
주님의 기도를 진정 나의 기도로 바치지 않으면서



A message painted on a barrio church in Uruguay:


Don’t say Father
if each day you do not behave like a son.
Don’t say Our
if you live shut off in yourself.

Don’t say Who Art in Heaven
if you think only of worldly things.

Don’t say Hallowed Be Thy Name
unless you really honor it.

Don’t say Thy Kingdom Come
if you have a material outcome in mind.

Don’t say Thy Will Be Done
unless you are ready to accept it when it hurts.

Don’t say Our Daily Bread
unless you care about the hungry.

Don’t say Forgive Us Our Trespasses
if you bear a grudge against someone.

Don’t say Deliver Us From Evil
unless you are prepared to make a stand against it.

Don’t say Amen
unless you really mean it.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제3문, 제4문, 제5문

제 3 문 : 어떻게 당신의 비참함을 알 수 있습니까?
답 : 하나님의 율법이 내게 가르쳐 줍니다.
1) 로마서 3:20; 7:7-25

제 4 문 : 하나님의 율법이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합니까?
답 : 그리스도께서 마태복음 22:37-40 에서 다음과 같이 요약하여 가르쳐 주십니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이것이 크고 첫째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이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1) 신명기 6:5
2) 레위기 19:18

제 5 문 : 당신은 그 모든 계명을 완전히 지킬 수 있습니까?
답 : 아닙니다. 나는 하나님과 내 이웃을 미워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로마서 3:9-20, 23; 요한일서 1:8, 10
2) 창세기 6:5; 예례미야 17:9; 로마서 7:23-24; 8:7; 에베소서 2:1-3; 디도서 3:3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제2문

제 2 문 : 이러한 위로의 기쁨 안에서 살다가 죽기 위하여 당신은 무엇을 알아야 합니까?

답 : 세 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첫째, 나의 죄와 비참함이 얼마나 심각한 것인가, 1
둘째, 어떻게 내가 그 죄와 비참함으로부터 벗어났는가, 2
셋째, 나는 구원해 주신 하나님께 어떻게 감사를 드릴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3

1) 로마서 3:9-10; 요한일서 1:10
2) 요한복음 17:3; 사도행전 4:12; 10:43
3) 마태복음 5:16; 로마서 6:13; 에베소서 5:8-10; 디모데후서 2:15; 베드로전서 2:9-10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제1문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서문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은 1559년부터 1576년까지 독일의 팔라티네이트 지역을 다스렸던 프레드릭 III 세의 요청에 의해서 1563년도에 하이델베르그시에서 작성되었다. 본 요리문답은 청년들을 가르치기 위한 도구로, 그 지역 교회들의 설교를 위한 가이드로, 그리고 팔라티네이트 지역에 있는 다양한 개신교회들 사이에 통일된 신앙고백의 형태로 고안되었다.

오랜 전통은 본 요리문답의 저자로 자카리아스 울시누스 (Zacharias Ursinus)와 캐스퍼 올리비아누스 (Caspar Olevianus)를 공동저자로 지목하고 있지만, 사실 요리문답의 프로젝트는 프레드릭 III 세의 지휘 아래 여러 목회자들과 대학의 신학자들의 팀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울시누스는 아마도 그 팀의 주요저자로 그리고 올리비아누스는 그보다 적은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다.

본 요리문답은 작성된 직후 1563년도 1월에 하이델베르그에서 열린 한 총회에서 인준되었다.
본문에 약간을 첨가한 두번째와 세번째 독일어 판, 그리고 라틴어 번역이 같은 해에 하이델베르그에서 출판되었다.
세번째 독일어 판은 1563년도 11월 15일에 작성된 팔라티네이트 교회헌법에 포함되었는데, 그 때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은 52개의 주일로 구성되어서 주일의 오후 예배에 사용되도록 하였다. 그렇게 사용하면 요리문답 전체를 1년의 설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된다.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은 돌트총회에서 1619년도에 인준된 직후에 개혁교회들 사이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요리문답과 신앙고백이 되었다.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은 유럽,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다양한 언어들로 번역되었으며, 종교개혁 시대의 문서 중에서 현재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따듯하게 받아들여지는 요리문답으로 남아있다. 본 요리문답에 포함된 관련 성경구절들 대부분은 초기 독일어와 라틴어 판들에 이미 포함되어 있었으며, 북미개혁교회 (CRC)의 1975 년도 총회가 타당하다고 인준한 것들이다.

제1문 : 사나 죽으나 당신의 단 하나의 위로는 무엇입니까?

답 : 나는 나의 것이 아니고, 1 사나 죽으나 2 몸과 영혼이 모두 나의 신실하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것입니다. 3 주께서 보배로운 피를 흘려 나의 모든 죄값을 치러주셨고 4 마귀의 권세로부터 나를 자유롭게 하셨습니다. 5 또한 하늘에 계신 나의 아버지의 뜻이 아니고는 6 나의 머리카락 하나라도 나의 머리에서 떨어지지 않는 것과 같이 주님께서는 나를 항상 지켜주십니다. 7 실로 모든 것이 협력하여 나의 구원을 이룹니다. 8 내가 주님의 것이기에 주께서 성령으로 말미암아 내게 영원한 생명을 보증하시고, 9 지금부터 나의 온 마음을 다하여 기꺼이 주를 위하여 살도록 인도하십니다. 10

1) 고린도전서 6:19-20
2) 로마서 14:7-9
3) 고린도전서 3:23; 디도서 2:14
4) 베드로전서 1:18-19; 요한일서 1:7-9; 2:2
5) 요한복음 8:34-36; 히브리서 2:14-15 ; 요한일서 3:1-11
6) 마태복음 10:29-31; 누가복음 21:16-18
7) 요한복음 6:39-40; 10:27-30; 데살로니가후서 3:3; 베드로전서 1:5
8) 로마서 8:28
9) 로마서 8:15-16; 고린도후서 1:21-22; 5:5; 에베소서 1:13-14
10) 로마서 8:1-17


하나님은 빛이시라(요한일서 1:5) / 주일 설교 원고(2020-01-05) 이승혁목사


하나님은 빛이시라!(요한일서 1:5)

요한일서 1:5
우리가 저에게서 듣고 너희에게 전하는 소식이 이것이니 곧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두움이 조금도 없으시니라.

하나님은 빛이시라!
God is light.
ὁ Θεὸς φῶς ἐστιν(the God light is)

2020년 첫 주일을 맞이합니다.
첫 주일의 의미를 “시작(始作)이 반(半)” 이라는 속담과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마지막 단추는 끼울 구멍이 없다”는 독일의 문호 궤테의 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첫 주일 예배에 성공한다면 2020년의 절반은 이미 성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때문에 오늘의 예배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속담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 세자를 남긴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은 죽어서 무엇을 남겨야 할까요? 속담대로 한다면 사람은 누구나 이름 세 글자 남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수를 믿는 사람은 세상 사람들이 남길 수 있는 것과 다른 것을 남겨야 할 것입니다.
다른 것을 남기려면 먼저 나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2020년 신앙생활을 위한 목표를 위한 표어를 “주의 말씀대로 나를 깨닫게 하소서!” 라고 결정했습니다.

지난 1월 1일부터 요한일서를 읽기 시작하여 1장부터 4장까지 읽었습니다.
함께 읽었던 말씀 중에서 설교 본문을 선택하고 설교하기 위하여 오늘 설교 제목은 요한일서 1장 5절에서 “하나님은 빛이시라”는 말씀을 선택했습니다.

빛에 대한 탈무드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도입 이야기)
어느 유명한 랍비가 제자들에게 10불씩 나눠주며 날이 어둡기 전에 기도실을 가득 채울 수 있는 물건을 구해오라고 했습니다. 제자들이 모두 모였을 때 랍비는 제자들이 구입한 물건들을 확인하기 시작했습니다. 제자들이 가져온 것들은 기도실을 채울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제자들은 10불을 갖고는 기도실을 가득 채울 수 있는 물건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때 평소에 어리석고 둔하다고 놀림을 받던 제자가 전기 스위치를 내리더니 어두워진 기도실 책상 위에 양초를 올려놓고  불을 밝혔습니다. 그 순간 어둡던 기도실이 환해졌습니다. 작은 양초의 불빛이 기도실을 가득 채울 수 있었다고 합니다. 빛이란 어두운 방안을 물리칠 수 있다는 교훈의 이야기라고 하겠습니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지난 한 주일 동안 하나님이 빛이시라는 말씀을 생각하셨을 것입니다. 왜 하나님을 빛이라고 하셨을까요?

신약 성경 27권을 세 개의 기둥으로 설명하면 “복음의 기둥”과 “요한의 기둥” 그리고 “바울의 기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복음의 기둥에서 빛이란 “착한 행실”이라고 합니다(마태복음 5:16)

이같이 너희 을 사람 앞에 비취에 하여 저희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바울의 기둥에서 빛이란 “착함과 의로움과 진실함”이라고 합니다(에베소서 5:8∼9)

너희가 전에는 어둠이더니 이제는 주 안에서 이라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빛의 열매는 모든 착함의로움진실함에 있느니라.  

요한의 기둥에서 빛이란 복음서와 바울 서신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내용을 말씀하여 "생명"이라고 합니다(요한복음 1:4).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이라.

복음서와 바울 서신에서는 빛을 도덕과 윤리적인 행동으로 제한시켰습니다. 그러나 요한서신에서는 빛을 도덕과 윤리적인 행동이 아니라 “생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성경의 내용을 좁은 범위에서 읽을 수 있지만 2020년부터는 넓은 범위에서 읽고 묵상하려고 합니다. 주간에 읽은 말씀 중에서 설교 본문으로 선택하고 설교자가 한 사람이 아니라 더불어 설교하므로 성경을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하나님은 “영원한 생명”으로 “스스로 존재하시는 영”입니다.

생명은 유일한 것입니다(시편 22:20)
- 내 영혼을 칼에서 건지시며 ①내 유일한 것을 개의  세력에서 구하소서.

① 내 유일한 것을 개의  세력에서 구하소서.
① 내 유일한 것을 난외 주에서 "내 생명" 이라고 번역합니다.

시편 36:9
진실로 생명의 원천이 주께 있사오니 주의 빛 안에서 우리가 빛을 보리이다.

욥기 33:30
그 영혼을 구덩이에서 끌어 돌이키고 생명의 빛으로 그에게 비취려 하심이니라.

시편 56: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명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영원한 생명이며 스스로 존재하는 영의 하나님을 “삼위일체(三位一體)”라고 합니다. 삼위일체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성부(聖父) 하나님(야고보서 1:17)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부터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 

성자(聖子) 예수님(요한복음 1:4)

그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이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라.

요한일서 1:2
이 생명이 나타내신바 된지라 이 영원한 생명을 우리가 보았고 증거 하여 너희에게 전하노니 이는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내신바 된 자니라.

요한일서 2:25
그가 우리에게 약속하신 약속이 이것이니 곧 영원한 생명이니라.

요한복음 8:12

예수께서 또 일러 가라사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 

성령(聖靈) 하나님(베드로전서 2:9)

오직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데서 불러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자의 아름다운 덕을 선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기이한 빛"이란 "놀라운 빛"을 말합니다. 놀라운 빛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말합니다. 어두운 죄 가운데서 불러내어 생명의 빛으로 인도하신 예수님을 전해야 합니다.

기이한 빛이 되신 예수님은 놀라운 빛으로 죄악에 붙잡힌 인생을 불러내십니다. 그 좋은 예가 사울이었습니다.

사울이 다메섹을 향하여 가는 길에 홀연히 하늘로부터 빛이 사울을 둘러 비추었습니다. 사울은 땅에 엎드렸을 때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하는 음성을 들었습니다. 사울이 "주여 누구십니까?" 라고 물었을 때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이러한 기이하고 놀라운 빛을 곧 성령의 역사라고 하겠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영원한 생명으로 다양한 빛으로 세상에 나타나셨습니다.
하나님은 빛들의 아버지로 계시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생명의 빛으로 찾아오셨습니다.
성령님은 기이한 빛으로 임하셨습니다.

생명의 하나님(시편 42:8)

낮에는 여호와께서 그 인자함을 베푸시고 밤에는 그 찬송이 내게 있어 생명의 하나님께 기도하리로다. 

민수기 16:22
그 두 사람이 엎드려 가로되 하나님이여 모든 육체의 생명의 하나님이여 한 사람이 범죄하였거늘 온 회중에게 진노하시나이까.

민수기 27:16
여호와, 모든 육체의 생명의 하나님이시여 원컨대 한 사람을 이 회중 위에 세워서. 

예수님은 생명의 주(사도행전 3:15)

생명의 주를 죽였도다 그러나 하나님이 죽은자 가운데서 살리셨으니 우리가 이 일에 증인이로라. 

성령님은 살리는 영(요한복음 6:63)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이 영이요 곧 생명이라.

잠언 4:20∼23,
내 아들아 내 말에 주의하며 내가 말하는 것에 네 귀를 기울이라.
그것을 네 눈에서 떠나게 하지 말며 네 마음 속에 지키라.
그것은 얻는 자에게 생명이 되며 그의 온 육체건강이 됨이니라.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 의 반대를 요한일서에서는 "어두움" 이라고 합니다.
요한일서에서 "어두움"이란 단어가 3회 사용되었습니다(1:5, 2:8, 2:11).
어두움의 정체를 요한일서에서 이렇게 말씀합니다.
1:5, 우리가 그에게서 듣고 너희에게 전하는 소식은 이것이니 곧 하나님은 이시라 그에게는 어둠이 조금도 없으시다는 것이니라.

2:8, 다시 내가 너희에게 새 계명을 쓰노니 그에게와 너희에게도 참된 것이라 이는 어둠이 지나가고 참빛이 벌써 비침이니라.

2:11, 그의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어둠에 있고 또 어둠에 행하며 갈 곳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그 어둠이 그의 눈을 멀게 하였음이라.

어두움(어둠)은 "눈을 멀게 한다."
눈을 멀게하면 생명이신 하나님을 볼 수 없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하나님은 빛이시라(요한일서 1:5)

1. 빛은 생명(시편 36:9, 56:13, 욥기 33:30)

시편 36:9
진실로 생명의 원천이 주께 있사오니 주의 빛 안에서 우리가 빛을 보리이다.

욥기 33:30
그 영혼을 구덩이에서 끌어 돌이키고 생명의 빛으로 그에게 비취려 하심이니라.

시편 56:13
주께서 내 생명을 사망에서 건지셨음이라 주께서 나로 하나님 앞, 생명의 빛에 다니게 하시려고 실족지 않게 하지 아니하셨나이까.

2. 빛은 구원(시편 27:1)

여호와는 나의 빛이요 나의 구원이시니......

3. 빛은 치료(말라기 4:2)

내 이름을 경외하는 너희에게는 공의로운 가 떠올라서 치료하는 광선을 비추리니 너희가 나가서 외양간에서 나온 송아지 같이 뛰리라.

4. 빛은 사랑(요한일서 2:10)

그의 형제를 사랑하는 자는 가운데 거하여 자기 속에 거리낌이 없으나.

5. 새 하늘의 성전(요한계시록 21:24)

만국이 그 가운데로 다니고 땅의 왕들이 자기 영광을 가지고 그리로 들어가리라.

6.




2020 주간 묵상(1월 1일-4일)


오늘의 말씀

12

30

말 1:1∼2:17, 계 21:1∼21:27, 잠 31:1∼31:9

12

31

말 3:1∼4:6, 계 22:1∼22:21, 잠 31:10∼31:31

1

1

요한일서 1:1∼10

하나님은 빛이시라

1

2

요한일서 2:1∼29

대언자

1

3

요한일서 3:1∼24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심

1

4

요한일서 4:1∼21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1

5

주일

교회 중심(교제, 섬김, 봉사, 나눔)



♦ 1월 1일(수)

말씀 : 요한일서 1:1∼10
묵상 : 하나님은 빛이시라(God is Light)(5절)
성구 : 우리가 저에게서 듣고 너희에게 전하는 소식이 이것이니 곧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두움이 조금도 없으시니라.
참조 :
야고보서 1:17(하나님은 빛들의 아버지)
요한일서 4:8(하나님은 사랑)
요한복음 4:24(하나님은 영)

☞ 빛(φῶς, 5457. phós) ;
빛(light, radiance),
빛의 근원(a source of light)
radiance의 빛이란 첫째는 행복감과 건강 등이 얼굴에 나타나는 빛, 둘째는 따스하고 밝은 빛을 말합니다.
 
♦ 빛의 특징
1. 불변(야고보서 1:17)
2. 사랑(요한일서 4:8)
3. 영(靈)(요한복음 4:24)

♦ 빛의 이야기
어느 날 시각장애인이 등불을 켜들고 밤길을 나섰습니다. 나는 비록 불빛을 볼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이 내가 들고 있는 등불을 보고 부딪치지 않게 하려는 것입니다. 얼마동안 잘 걷고 있었는데 갑자기 어떤 사람과 부딪치고 말았습니다. 시각장애인은 버럭 화를 내며 “당신은 눈도 없소? 나는 앞을 못 보지만 당신은 내가 들고 있는 이 등불을 보지 못하시오?” 그때 상대방이 “꺼진 등불을 어떻게 봅니까?”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 너희는 세상의 빛이시라!(마태복음 5:14)
2020년 빛의 사람으로 세상을 밝혀줄 당신의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그리고 그 계획을 위하여 날마다 기도합시다.

♦ 주여, 빛으로 살아가게 하옵소서!
미국의 정치가이며 건국의 아버지(Founding Father) 라고 불렸단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 1. 17~1790. 4. 17)은 그가 살고 있던 필라델피아 시민들에게 선한 일을 하기로 다짐했습니다. 그는 아름답고 좋은 등을 하나 준비해서 집 앞에 선반을 만들고 그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그러자 동네 사람들은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등불은 집 안에 두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집 밖에 두는 것은 낭비라고 여겼습니다. 한 주가 지나고, 한 달이 지나자 사람들은 뭔가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집 밖에 등불을 두니까 밤에 지나다니는 사람도 넘어지지 않았습니다. 멀리서도 방향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좋게 생각한 사람들이 하나 둘씩 집 밖에 등불을 두기 시작했습니다. 길거리가 환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가로등의 시작이었다고 합니다.

만약 길거리에 가로등이 없다면 어떻겠습니까? 얼마나 캄캄하고 어둡겠습니까? 세계적으로 가로등이 생기게 된 것은 벤자민 프랭클린이라는 한 사람이 주변 사람들을 위하여 집 밖에 등불을 둠으로써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한 사람의 선한 행동이 많은 사람에게 감동과 감화를 준 것입니다.

♦ 나는 어떤 방법으로 빛의 삶을 실천할 것인가 살펴봅시다!

- 빛에 거한다면 어둠이 없습니다. 어둠이란 “죄성”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빛 가운데 거할수록 숨어 있던 우리의 죄를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주여, 나의 숨은 죄를 깨달아 온전히 벗어버리게 하옵소서!
 
예수 내 구주!
예수 내 생명!
예수 내 권세!

1월 1일(수)

오늘의 주제 묵상 단상(斷想)
- 하나님은 빛이시라(God is Light)

빛(φῶς, 포스, phós)이란 물리적인 빛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빛은 신령한 존재를 말합니다.
신령한 존재는 삼위일체 하나님입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공통된 존재 양식은 “생명(生命)”입니다.
하나님은 영원한 생명으로 스스로 존재합니다.
예수님은 영원한 생명으로 성령으로 임하여 죽음 후에 다시 살아나심으로 영원한 생명이 되셨습니다.
성령은 살리는 영으로 죽은 사람의 몸에 성령이 잉태하듯 죽은 육체 속에 들어가 죽은 사람을 살려낼 수 있는 생명이 됩니다.
그러므로 삼위일체는 생명으로 하나가 되시는 하나님입니다.


♦ 1월 2일(목)

♦ 말씀 : 요한일서 2:1∼29
♦ 묵상 : 대언자(An Advocate)(1절)
♦ 성구 : 나의 자녀들아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씀은 너희로 죄를 범치 않게 하려 함이라 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가 있으니 곧 의로우신 예수 그리스도시라. 
♦ 참조 : 요한일서 14:16

☞ 대언자(代言者)(παράκλητος, 3875. paraklétos)
대언자는 요한복음에서 “보혜사”(14:16, 26. 15:26. 16:6, 13) 또는 “진리의 영” “진리의 성령”(14:17. 15:26. 16:13)으로 소개합니다.

♦ 보혜사 이야기

특별감지기능(特別感知技能)이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시각(視覺), 촉각(觸覺), 미각(味覺), 청각(聽覺), 취각(吹角) 등 오감(五感)만으로는 감지할 수 없고 판단할 수도 없는 것을 과학적 기계를 가지고 감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북극의 자력을 감지하는 나침판이 있고, 먼 곳에 오는 전파는 레이더(radar)로 감지합니다. 먼별에서 날아오는 에너르기는 레이더(radar) 망원경으로 감지합니다.

세상에는 특별감지기능을 갖고 있는 기계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들이 있는 것처럼   만일 인간이 갖고 있는 오감을 통해서 감지할 수 있는 것만 인정한다면 세상의 일부분만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인간의 오감으로는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알 수 없다며 살아계신 하나님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증거 하는 성령을 모신 자만이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알 수 있는 특별감지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영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요한복음 14:16).

♦ 보혜사 성령께서 내 안에 거하심을 증거 할 수 있습니까?

예수 내 구주!
예수 내 생명!
예수 내 권세!

1월 2일(목)

오늘의 주제 묵상 단상(斷想)
- 대언자(代言者, 파라클래토스, παράκλητος, paraklétos)

성령께서 나의 대언자가 되려면 반드시 내가 성령을 받아야 합니다.
성령을 받았다는 증거가 무엇인가요?

“방언” “예언” “신유 은사” “방언 통역” 등과 같은 현상적인 것을 자주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이런 것은 현상이지 실체가 아닙니다.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느냐?

사도행전 19:2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느냐 이르되 아니라 우리는 성령이 계심도 듣지 못하였노라. 

성령을 받았는지 점검하려면 먼저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구세주로 고백하는 믿음이 분명해야 합니다.

고린도전서 12: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알리노니 하나님의 영으로 말하는 자는 누구든지 예수를 저주할 자라 하지 아니하고 또 성령으로 아니하고는 누구든지 예수를 주시라 할 수 없느니라. 

주를 고백한 후에는 삶의 현장에서 믿음으로 지혜롭게 행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마가복음 13:11
사람들이 너희를 끌어다가 넘겨 줄 때에 무슨 말을 할까 미리 염려하지 말고 무엇이든지 그 때에 너희에게 주시는 그 말을 하라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요 성령이시니라. 

성령의 사람은 지혜로운 말을 합니다.
그 지혜는 지식이 아닙니다.

♦ 1월 3일(금)

♦ 말씀 : 요한일서 3:1∼24
♦ 묵상 :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심(8절)
♦ 성구 : 죄를 짓는 자는 마귀에게 속하나니 마귀는 처음부터 범죄함이라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 

♦ 하나님의 아들(the Son of God)
오늘의 말씀에서 “하나님의 아들”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말합니다.
주 예수를 믿는 성도들을 “하나님의 자녀(children of God)”라고 합니다(요 1:12).
예수께서 마귀의 일을 멸하신 것처럼 하나님의 자녀에게도 “권세(權勢)”를 주셨습니다. 그 ‘권세’를 합법적(合法的) 권세(權勢, ἐξουσία, 에쿠시아)라고 합니다.

합법적 권세란 마치 교통경찰이 도로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한 차량에게 범칙금 티켓을 발부하는 것과 같습니다.

만일 경찰보다 키가 크고 힘이 강한 사람이 도로에서 경찰처럼 교통법규를 위반한 차량을 멈추라고 하면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경찰은 합법적인 권한을 부여받았으므로 얼마든지 교통법규를 위반한 차량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기 때문에 마귀의 일 즉 죄를 짓는 유혹의 손길을 합법적으로 주신 권세를 사용하여 물리쳐야 합니다.

“나사렛 예수 이름으로 명하노니 물러가라!”
이 권세는 나의 능력이 아니라 이미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완성하신 권세를 주를 믿는 자녀들이 사용할 수 있는 법적인 권세를 말합니다.

♦ 내 삶의 영역에서 나사렛 예수 이름으로 물리쳐야 할 것이 무엇인가 찾아봅시다. 그리고 주의 이름으로 명령해 봅시다. 아직도 내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다면 나의 믿음을 더 강화시켜야 할 것입니다.

주여,
나의 믿음 없음을 불쌍히 여기시고
하나님만을 믿고 의지하는
믿음의 사람으로 붙잡아 주옵소서!

예수 내 구주!
예수 내 생명!
예수 내 권세!

ἐξουσία(1849. exousia)
정의(Definition) : power to act, authority
용법(Usage) : (a) power, authority, weight, especially: moral authority, influence.
(b) in a quasi-personal sense, derived from later Judaism, of a spiritual power, and hence of an earthly power.


1월 3일(금)
오늘의 주제 묵상 단상(斷想)
- 합법적(合法的) 권세(權勢) 에쿠시아(ἐξουσία)

예수 이름으로 명(命)하여 더러운 귀신(鬼神)을 내쫓는 힘은 어디에서 나와야 할까요?
합법적으로 이미 주어진 권세는 두 가지 반드시 갖추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첫째는 성령의 보증(고린도후서 1:22, 5:5)
그가 또한 우리에게 인치시고 보증으로 우리 마음에 성령을 주셨느니라.

곧 이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우리에게 주신 이는 하나님이시니라.   

둘째는 권세를 사용할 수 있는 기도(마가복음 9:29)
기도 외에 다른 것으로는 이런 종류가 나갈 수 없느니라. 

이미 주어진 합법적인 권세를 믿음의 기도로 무장할 때 성령께서 보증하여 “예수 이름으로 명하노니 더러운 귀신아 물러가라!” 외치고 선포할 때마다 하나님의 능력을 체험하고 증거 하는 성령의 사람으로 쓰임받기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 1월 4일(토)

♦ 말씀 : 요한일서 4:1∼21
♦ 묵상 : 하나님은 사랑이시라(8절)
♦ 성구 :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 하나님은 사랑이시라(God is Love)(ὁ Θεὸς ἀγάπη ἐστίν)
☞ 사랑(ἀγάπη, 26. agapé)
(정의, Definition) : love, goodwill
(적용, Usage) : love, benevolence, good will, esteem     

하나님의 사랑은 무조건적인 희생적 사랑입니다.
에로스의 사랑은 남녀 간의 쾌락적 사랑입니다.
필리아의 사랑은 친구들 사이의 우정입니다.
스토르게의 사랑은 가족 특히 혈연관계의 가족애를 말합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어떻게 경험하셨나요?
내가 직접 경험했던 하나님의 사랑을 소개해 봅시다.
그리고 나와 다른 경험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높고 넓고 깊고 위대한 것인지 생각해 봅시다.

♦ 하나님의 사랑은 “피의 사랑”입니다.
피를 통하여 사랑을 완성하셨기 때문입니다.
용서는 사랑을 완성하는 은혜입니다.

“율법을 따라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하게 되나니 피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히브리서 9:22) 

♦ 주님의 피로 사랑을 확인하셨는지요?
그 사랑을 아가패(agape) 즉 하나님의 사랑이라고 합니다.

♦ 스토르게(가족의 사랑)의 사랑을 확인해 봅시다.

1988년 12월 7일 11시, 당시 소련의 영토인 “아르메니아”에 지진이 감지되었습니다.
원래 지진이 많은 지역이어서 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곧 일상으로 돌아가 일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큰 실수였습니다.
30분 후, 진도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하였고 대부분 내진설계가 되어있지 않던 석조 주택들은 무너질 수밖에 없었고, 도시는 폐허가 되어버렸습니다.
 
지진이 벌어지고 3일 만에 2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확인했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피해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기만 했습니다.
 
끔찍하게도 사망한 대부분의 사람은 무너진 건물에 깔린 압사였습니다.
이때, 지진으로 무너진 9층 건물의 잔해 속에 26살의 어머니 “스잔나 페트로시안”과 4살 된 딸 “가야니”도 갇혔습니다.
모녀를 기다리는 것은 오직 죽음의 공포뿐이었습니다.
여진이 느껴질 때마다 머리 위의 잔해들이 다시 무너지는 것이 아닐까 두려웠습니다.
무너진 콘크리트 잔해들을 뚫고 나가는 일은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몸을 들썩이는 것조차 두려운 와중에 아이는 갈증과 굶주림에 지쳐 큰 소리로 울부짖었습니다.
 
“엄마. 너무 목이 말라요.”
 
그때 “스잔나”는 부서진 유리 조각으로 손가락을 찔러 딸에게 자신의 피를 먹였습니다.
어머니는 딸이 보챌 때마다 차례차례 손가락을 베어 아기의 입에 물렸습니다.
 
이 모녀가 극적으로 구출된 것은 매몰되고 14일이 지난 후였습니다.
그렇게 빠져나온 어머니 “스잔나”의 손가락 열 개는 모두 피범벅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도 엄마는 그저 딸이 살았다는 것에 감사하고 안도했습니다.
 
딸에게 있어서 어머니의 피는 유일한 희망이었습니다.
그리고 고통스러워하는 딸을 위해서 어떠한 고통도 감당한 어머니의 헌신적인 사랑은 눈물이 날 정도로 감동적입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들이여!
십자가에서 흘리셨던 주님의 피가죄와 사망의 사슬을 풀어버렸습니다.
우리는 살아났습니다.
피로 얻은 새로운 생명입니다.
이 생명 다하도록 주님을 사랑하는 것이인간의 도리가 아닐까요?

♦ 내가 경험한 하나님의 사랑은 무엇인가요?
그 이야기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예수 내 구주!
예수 내 생명!
예수 내 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