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11월 23일, 토) - 고린도후서 9장



오늘 읽어야 할 말씀은 고린도후서 9장, 사무엘상 11장, 시편 146편입니다.


어려운 이웃들을 돕는다는 것은 아름다운 마음입니다.

그러나 신앙으로 돕는다는 것은 은혜를 깨닫는 마음입니다.

어떤 마음으로 돕기를 원하십니까?


캐나다 출신의 펜윅(Malcom C. Fenwick) 선교사는 한국에 최초로 침례교회를 세웠다고 합니다. 감리교의 아펜젤러와 장로교의 언더우드 선교사가 1885년 4월 5일 부활주일 아침에 제물포 항으로 입국한 시점을 한국선교의 원년으로 교회사가들은 말합니다.


이보다 4년 후인 1889년에 펜윅 선교사가 한국에 입국하여 1903년 함경도 원산에 선교학원을 세우고 선교를 시작했으며 감리교 선교사인 하인즈 여사와 결혼했습니다. 당시 조선은 캐나다와 비교하면 아직도 발전을 이루지 못한 나라이었기에 발전된 나라에서 생활을 하던 선교사들의 생활은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선의 주민들처럼 생활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려는 믿음 때문에 온갖 어려움을 인내하며 지냈을 것입니다.


펜윅 선교사에게는 불신자이었던 사업가이었던 형이 있었는데 동생이 한국에서 고생한다며 많은 돈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펜윅 선교사는 불신자인 형이 보낸 돈은 헌금이 아니기 때문에 받을 수 없다며 돈을 돌려보냈다고 합니다.

선교는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하는 것이라는 확고한 신앙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아무리 형이라 할지라도 형이 예수를 믿지 않는다면 돈을 받을 수 없다는 생각을 오늘의 사고방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교회에 바친 돈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지 거룩하게 사용하면 될 것이라는 가치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선교 헌금은 하나님을 섬기는 믿음으로 드려야 합니다. 선교 헌금은 어느 선교사를 위하여 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선교지에서 선교사가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위하여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것을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믿음과 마음으로 새로운 선교의 지평을 열어갈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23. 2013) Sat


이것이 곧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둔다 하는 말이로다.(고린도후서 9:6)

- 많은 것을 심을 수 있는 믿음을 주소서!

Remember this: Whoever sows sparingly will also reap sparingly, and whoever sows generously will also reap generously.(2Corinthians 9:6) 

- Please give the faith that  sows generously!

   




오늘의 묵상(11월 22일, 금) - 고린도후서 8장


오늘 읽어야 할 말씀은 고린도후서 8장, 사무엘상 10장, 시편 145편입니다.


호모 루덴스(Homo Ludens)는 ‘놀이하는 인간’ 이란 뜻의 인간에 대한 정의를 말합니다. 네델란드 출신의 문화사를 연구한 호이징가(Johan Huizinga. 1872-1945)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용된 용어로 단순하게 유희를 즐기는 인간이 아니라 정신적인 창조 활동을 가리키는 인간관을 의미합니다.


헌금이란 정신의 세계를 넘어 영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활동이라고 하겠습니다.

고린도후서 8장과 9장은 특별 헌금 즉 선교 헌금에 대한 교훈을 소개합니다.


교회는 예루살렘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예루살렘 교회에 성령의 임재가 나타난 후 자기 물건을 제 것이라고 하지 않고 서로 나눠 갖고 사용하므로 가난한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예루살렘에 기근이 생겨 나누고자 해도 나눌 것이 없게 되었습니다.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이방인의 사도 바울은 이방 교회들에게 예루살렘으로부터 영적인 은혜를 받았으니 예루살렘 교회가 어렵게 된 이때 물질로 예루살렘을 돕는 것이 좋겠다고 헌금을 호소하게 되었습니다.


고린도 교회는 바울이 세운 여러 교회 가운데 물질적으로 가장 부유한 교회였습니다. 바울은 아가야 교회와 헬라 교회에 고린도 교회가 열심이 있어 예루살렘 교회를 돕겠다는 헌금을 시작했다고 이미 자랑했습니다. 그런데 고린도교회는 일 년 전에 예루살렘에 헌금을 보내겠다고 약속을 하고 일 년 동안 헌금을 드리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너희를 자랑했는데 망신당하게 생겼다. 그러니 하나님께서 너희에게 주신 은혜를 다시 시작하고 그것을 성취해라. 선교헌금을 작정했으니 그것을 실천하라’ 이렇게 강조하는 것이 고린도후서 8장과 9장의 내용입니다.


놀이하는 인간이란 재물을 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인간입니다. 어려운 이웃들을 위하여 내 것을 다른 사람에게 나눠줄 수 있는 여유로운 마음을 갖는 인간이라고 하겠습니다.


광야의 맹수들도 자기가 잡은 포획물을 먹을 만큼 먹은 후에 남겨두면 먹이사슬에

따라 여러 들짐승들이 그것을 먹습니다. 나중에는 하늘의 독수리가 모든 것을 먹어치운다고 합니다.


인간은 광야의 짐승보다 더 지혜롭게 살아야 합니다. 그것이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라고 하겠습니다. 나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어려운 이웃들을 위하여 나누고 베풀 줄 아는 마음이 최고의 즐거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어려운 때에 한해를 마무리하는 은총의 계절에 어려운 이웃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넉넉해지기를 기도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22. 2013) Fri


오직 너희는 믿음과 말과 지식과 모든 간절함과 우리를 사랑하는 이 모든 일에 풍성한 것 같이 이 은혜에도 풍성하게 할찌니라.(고린도후서 8:7)

- 풍성한 하나님의 은혜로 나를 새롭게 하소서! 

But just as you excel in everything--in faith, in speech, in knowledge, in complete earnestness and in your love for us--see that you also excel in this grace of giving.(2Corinthians 8:7)

- Let me a renew by the grace of God! 





오늘의 묵상(11월 21일, 목) - 고린도후서 7장



오늘 읽어야 할 말씀은 고린도후서 7장, 사무엘상 9장, 시편 143편입니다.


스펄전목사님께서 어느 시골 농가를 방문하게 되었는데 농가의 마당 한쪽 구석에 큰 풍향계가 서 있었다고 합니다. 풍향계 밑에는 바람의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촉이 바람 부는 대로 이리 저리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스펄전목사님은 그 모습을 재미있게 관찰하고 있었는데 가만히 보니까 화살촉 밑에는 기다란 천이 달려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천에는 ‘God is love(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말씀이었다고 합니다(참조 요한일서 4:16).

스펄전 목사님은 집 주인인 농부에게 ‘설마 하나님의 사랑이 바람 부는 대로 바뀐다는 뜻은 아니겠지요?’ 라고 질문했다고 합니다. 그러자 농부는 ‘물론 아닙니다. 정반대의 뜻입니다. 바람은 어떠한 방향으로 불든지 하나님의 사랑은 변함이 없으시다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가정과 함께 하신다는 뜻으로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말씀을 적게 되었다고 합니다.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것은 바람이 불 때에도 또는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도 성도들이 마땅히 해야 할 신앙의 덕목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노라면 신앙의 고지 위에 올라갔다는 깨달음을 갖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은 기뻐하라, 기도하라, 감사하라는 명령입니다.

명령에 살고 명령에 따라 죽는다는 각오를 하며 오늘도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은혜에 감격하시기 바랍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21 2013) Thu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고린도후서 7:10)

-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이루게 하소서! 

Godly sorrow brings repentance that leads to salvation and leaves no regret, but worldly sorrow brings death.(2Corinthians 7:10)

- I want to be fully completed God's will.




오늘의 묵상(11월 20일, 수) - 고린도후서 6장


오늘의 묵상(11월 20일, 수) - 고린도후서 6장


오늘 읽어야 할 말씀은 고린도후서 6장, 사무엘상 8장, 시편 142편입니다.


노인이 바다에서 고기 한 마리를 잡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그러면서 무엇 때문에 고기를 잡아야 하며 고기와 자신과는 무슨 원수가 있기에 이렇게 해야만 하는가생각합니다. 아마 고기는 노인을 원수라고 생각하겠지만 노인은 고기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노인은 힘도 없고 고기를 잡아도 먹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지만 노인은 고기가 걸렸으니까 그 고기를 잡았습니다. 굉장히 큰 고기였습니다. 그것을 끌고 뭍으로 나오는데 상어 떼들이 와서 다 뜯어먹고 노인은 지쳐 쓰러지고 맙니다. 결과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헤밍웨이의 작품 노인과 바다에서 읽을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와 목적을 모르면 아무리 부지런히 살고 열심히 살아도 이와 같이 결과는 아무 것도 없다는 교훈입니다.


인생의 참 의미와 목적을 알고 최선을 다할 수 있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 아름다움을 은혜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연약한 인간에게 덮여지는 순간 인간은 연약한 존재가 아니라 강하고 담대한 존재로 그 위엄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약한 나로 강하게

강한 나를 지혜롭게

지혜로운 나를 주의 도구로

오늘의 은혜를 기도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20 2013) Wed


가라사대 내가 은혜 베풀 때에 너를 듣고 구원의 날에 너를 도왔다 하셨으니 보라 지금은 은혜 받을만한 때요 보라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린도후서 6:2)

- 받을 은혜를 사모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For he says, "In the time of my favor I heard you, and in the day of salvation  I helped you." I tell you, now is the time of God's favor, now is the day of salvation.(2Corinthians 6:2)

- Let go live to have a grace for me.



오늘의 묵상(11월 19일, 화) - 고린도후서 5장



오늘은 고린도후서 5장 사무엘상 7장 그리고 시편 141편 습니다.


인생의 삶은 눈에 보여 지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세계보다 더 넓습니다.

신앙이란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를 보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현실 세계에서도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던 사람은 생각하지도 못할 이익을 얻었다고 합니다.

그 좋은 예를 자유의 여신상(Statue of Liberty)에 얽힌 이야기에서 찾아봅니다.


자유의 여신상은 1886년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에서 우호증진을 위하여 기증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뉴욕과 미국을 상징하며 동시에 자유의 상징으로 알려졌습니다.


포브스(Forbes, 포브스잡지를 발행하는 발행인)는 만일 자유의 여신상을 고철로 팔면 얼마가 될까를 계산했다고 합니다. 그 가격은 20만 2천 달러 대략 한국 돈으로는 2억 2천만 원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자유의 여신상을 만든 재료는 구리 62,000파운드, 철 125톤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1974년에 자유의 여신상을 깨끗하게 수리했다고 합니다. 공사가 끝난 후 각종 고철과 목재 등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나왔습니다. 뉴욕 시에서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입찰공고를 냈지만 아무도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때 어느 유대인이 쓰레기를 가져가겠다고 계약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소식은 모든 사람들의 조롱거리가 되었다고 하빈다. 왜냐하면 당시 뉴욕에서는 쓰레기처리 규정이 너무 까다롭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그 유대인은 쓰레기를 분리하여 금속으로는 자유 여신상의 모형을 만들었고 시멘트 덩어리와 목재로는 여신상의 받침대를 제작했고 여러 가지 금속으로 뉴욕을 상징하는 열쇠고리를 만들었으며 석회가루는 포장하여 꽃가게에 팔았다고 합니다.

 

결국 모든 사람들이 조롱하던 쓰레기더미에서 350만 달러의 이익을 창출했는데 쓰레기를 구입한 값의 만 배가 넘는 가격이었다고 합니다.


쓰레기 더미에서 돈을 벌 수 있었던 것은 유대인의 생각이었고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없는 것을 쓰레기더미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쓰레기는 쓸모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유대인의 사고는 고정관념을 깨트리고 새로운 것을 생각하므로 놀라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신앙은 세상 사람들이 보는 눈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이 볼 수 없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나를 이 세상에 존재하게 하신 이유가 있습니다.

그 이유를 찾아 반드시 목적을 달성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첫째는 하나님과 화목하고 이어서 세상과 화목하는 중개인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9 2013) Tue


이는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고린도후서 5:10)

- 심판대 앞에 서게 될 그 날을 바라보며 살아가게 하소서! 

For we must all appear before the judgment seat of Christ, that each one may receive what is due him for the things done while in the body, whether good or bad.(2Corinthians 5:10)

-  Let go live look forward that will be stand before the God's judgment!




오늘의 묵상(11월 18일, 월) - 고린도후서 4장



오늘은 고린도후서 4장 사무엘상 6장 그리고 시편 140편 습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8 2013) Mon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 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새롭도다.(고린도후서 4:16)

- 날마다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나게 하소서! 

Therefore we do not lose heart. Though outwardly we are wasting away, yet inwardly we are being renewed day by day.(2Corinthians 4:16)

- Let I reborn as a new person every day! 


오늘의 묵상(11월 17일, 주일) - 고린도후서 3장



오늘은 고린도후서 3장과 사무엘상 5장 그리고 시편 139편을 읽습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편지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성경책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인들입니다.

본문에서 ‘너희는 그리스도의 편지’ 라고 말씀했습니다.


성경은 내가 읽지 않으면 읽혀질 수 없지만 그리스도의 삶은 자연스럽게 읽혀집니다.


그리스도인(christian)이란 안디옥 지방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안디옥에 거주하던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믿는 삶을 분명하게 보여주었기 때문에 안디옥 지방에서 그들을 그리스도인 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세상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알려주는 편지로 읽혀져야 합니다.


어떻게 편지를 써야 할까요?


죄와 거짓을 멀리하는 생활

범사에 감사하는 생활

이웃을 사랑하는 생활

교회를 사랑하는 생활

이러한 내용이 편지로 전달될 때 모두가 행복하게 될 것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7. 2013) Sun


너희는 우리로 말미암아 나타난 그리스도의 편지니 이는 먹으로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살아 계신 하나님의 영으로 한 것이며 또 돌비에 쓴 것이 아니요 오직 육의 심비에 한 것이라.(고린도후서 3:3)

- 나의 삶이 그리스도의 편지가 되게 하소서! 

You show that you are a letter from Christ, the result of our ministry, written not with ink but with the Spirit of the living God, not on tablets of stone but on tablets of human hearts.(2Corinthians 3:3)

- My life is a letter of Christ.


오늘의 묵상(11월 16일, 토) - 고린도후서 2장


오늘은 고린도후서 2장과 사무엘상 4장 그리고 시편 138편을 읽습니다.


바울은 사람을 세 종류로 구분합니다.

첫째는 신령한 사람(고전 2:15, The Spiritual Man) 

둘째는 육에 속한 사람(고전 2:14, The Man without the Spirit) 

셋째는 육신에 속한 사람(고전 3:1-2, The worldly)


바울이 소개한 사람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는 영에 속한 사람

둘째는 혼에 속한 사람

셋째는 육에 속한 사람


신앙생활이란 영에 속한 생활입니다.

그러나 신앙생활을 육체를 중요시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육신적으로 건강하고 풍부한 물질을 쌓아두고 인생을 즐기는 것이 축복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또 어떤 사람은 정신적으로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며 많은 지식을 얻는 것이 보람 있는 인생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사람은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세상에서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보다 하나님 나라에서 인정을 받는 삶을 추구하며 영생을 얻은 것이 가장 귀한 축복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내 신앙 기준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알고 가졌어도 영생을 잃어버린다면 모두 잃어버린 것입니다.

영생의 복을 가졌기에 많은 것보다는 나눔으로 때로는 진리를 위해 고난을 받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믿음으로 자기를 다스리며 이웃을 섬길 줄 아는 사람으로 쓰임받는 거룩한 백성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거룩한 삶은 그리스도의 향기가 되어 세상을 살맛나는 곳으로 다듬어 갈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세상의 맛을 결정합니다.

세상 사람들이 어렵다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삶이 어려워졌기 때문이 아닐까요?

어려운 세상을 살맛나는 신나는 세상으로 만들 수 있는 향기가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부탁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6. 2013) Sat


우리는 구원 얻는 자들에게나 망하는 자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니.(고린도후서 2:15)

-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향기로 살아가게 하소서!

For we are to God the aroma of Christ among those who are being saved and those who are perishing(2Corinthians 2:15).    

- I will live the fragrance of Christ in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