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누가복음 17장과 민수기 33장 그리고 시편 48편을 읽습니다.
겨자씨만한 믿음이란 무엇일까요?
겨자씨가 씨앗 중에서는 가장 작은 씨라고 하므로 겨자씨 믿음이란 작은 믿음이라고 하겠습니다.
큰 믿음이 아니라 작은 믿음이 있으면 뽕나무 뿌리가 뽑혀 바다에 심기우라 하면 그대로 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작은 믿음이 능력을 드러내는 것을 사모하기 보다는 여전히 큰 믿음으로 큰일을 하려고 합니다.
큰일을 하려는 것은 욕망입니다.
작은 일을 하려는 것은 겸손입니다.
그러므로 욕망보다는 겸손이 바람직합니다.
겸손한 마음에 하나님 나라는 세워져 갈 것입니다.
이민 교회마다 크고 작은 어려움들을 갖고 있습니다.
같은 민족들인데도 이민자들의 교회와 한국에 있는 교회가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대형 교회를 꿈꾸던 목회자도 이민 교회에서 목회를 하는 동안 대형 교회에 대한 꿈을 버리게 됩니다.
큰 교회가 큰 믿음이 아니라 겨자씨만한 믿음이라도 가질 수 있는 믿음이기를 소원합니다.
낮추고 작아져서 믿음의 능력이 드러날 수 있는 그 날을 기도하며 오늘도 한 주간동안 삶의 현장에서 신앙의 바른 길을 찾아 몸부림쳤던 성도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는 성령의 역사와 임재를 기도하며 주일을 기다립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18) 주일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누가복음 17:21)
- 내 안에 하나님 나라가 세워지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18. 2013) SUN
The kingdom of God is within you. (Luke 17:21)
- Please let built in me kingdom of God!
오늘은 누가복음 16장과 민수기 32장 그리고 시편 48편을 읽습니다.
충성(忠誠)된 사람은 모든 일에 충성 합니다.
반면에 불의(不義)한 사람은 모든 일에도 불의 합니다.
과연 나는 어떤 사람인가 생각해 봅니다.
충성(忠誠)이란 한자를 분석하면 마음(心) 가운데(中) 말씀(言)을 두고 그 말씀을 실천(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의(不義)란 한자를 분석하면 내가(我) 양(羊)이 아니라(不)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양은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으로 구분하십니다.
오른편이란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합니다.
첫째는 올바른 것입니다.
둘째는 지혜로운 것입니다.
내가 읽고 묵상하는 말씀들이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나를 다스릴 수 있는 은혜를 기도하며 오늘도 주일을 예비하는 은총의 하루가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년 8월 17일. 토)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 것에도 불의하니라.(누가복음 16:6)
- 가장 작은 것에도 충실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Daily Bread & Prayer(Aug. Sat)
- Whoever can be trusted with very little can also be trusted with much, and whoever is dishonest with very little will also be dishonest with much.
- To be a man who to do his best for very little things.
오늘은 누가복음 15장과 민수기 31장 그리고 시편 47편을 읽습니다.
죄라는 용어가 구약과 신약에서 여러 가지 단어로 사용됩니다.
여러 단어 가운데서 대표적인 단어를 신약에서 찾는다면 헬라어로 ‘하마르티아’ 라고 합니다.
‘하마르티아’란 ‘과녁에서 벗어나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사격이나 궁술에서 표적을 사용합니다.
모든 사격수와 궁수들은 표적의 정중앙을 맞추려고 합니다.
정중앙에 맞을 경우 정통으로 맞았다고 하지만 표적에서 멀어진 것을 헬라어로 ‘하마르티아’ 라고 합니다.
따라서 죄란 하나님의 의도에서 벗어난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물건을 훔쳤다.
거짓말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것들은 죄의 현상입니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죄인으로 세상에 태어났기 때문에 당연히 죄를 자연스럽게 짓게 됩니다.
그러나 죄를 멀리하고 거룩한 삶을 위해서 성령의 도움을 기도하며 말씀을 묵상하여 힘을 얻으려고 합니다.
작은 아들은 아버지에게 자기 몫의 유산을 요구할 때부터 이미 죄를 짓고 있었습니다.
죄를 짓고 있었으나 죄를 깨닫지 못하던 중 굶주린 상태에서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다고 고백하게 된 것입니다.
죄를 깨닫는 순간 나는 아들이 아니라 아버지의 집에 종으로 살아가겠다고 찾아갔지만 아버지는 잃었다가 다시 얻은 아들이라고 하십니다.
내가 깨달아야 할 것이 무엇인가요?
내가 찾아야 할 잃어버린 양은 누구인가요?
무더위가 꼬리를 내리려고 아침과 저녁으로 창문을 닫게 합니다.
식물들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드러내고 있듯이 이제 우리들도 이 계절에 잃어버린 양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
혹시 내가 잃어버린 양으로 방황하지 않았는지요?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년 8월 16일. 금)
나와 함께 즐기자 나의 잃은 양을 찾았노라. (누가복음 15:6)
- 잃어버린 양을 찾아낼 수 있는 지혜를 주옵소서!
Daily Bread & Prayer(Aug. 16. 2013. Fri)
- Rejoice with me. I have found my lost sheep. (Luke 15:6)
- Give me a wisdom to find the lost sheep, Please.
현대인들의 삶의 두 가지 양식을 에릭 프롬(Erich Pinchas Fromm, 1900~1980)은 소유하려는 삶과 존재하려는 삶으로 소개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행복의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유에 집착하려는 삶과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삶으로 구분됩니다.
병자를 고쳐주는 것이 옳으냐 하는 것과 안식일에 병자를 고쳐야 하느냐 하는 논쟁으로 시작하여 높은 자리에 앉으려는 인간의 본능을 억제하고 스스로 낮아질 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마음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하나님 나라에서 살아가는 것이 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소유에 집착하면 하나님 나라가 내 앞에서 멀어지고 존재에 무게를 두고 살아가면 항상 하나님 나라가 내 안에서 또 내 삶의 자리에서 확인될 수 있습니다.
내가 버려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합니다.
모든 성도들이 한 가지씩 버릴 때 버려진 것들이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어 갈 것입니다.
저희 교회 건너편 가게에는 이른 아침부터 빈 병과 깡통을 모아 하나에 5센트씩 팔기 위하여 사람들이 모여듭니다. 때로는 5센트에 해당하는 여러 종류의 병과 캔과 플라스틱 물병을 모았다가 건네주면 그 사람은 항상 ‘무초 그라시아!’ 라고 말을 합니다. 내가 버린 것들이 누군가에게 감사의 조건이 된다면 버려야 할 것들을 구체적으로 찾아야 합니다.
이제 9월이 되면 헌옷들을 모아 교회 앞에 진열하고 바자회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교회 주위에 살고 있는 여러 사람들이 헌옷과 신발 또는 가전제품을 교회로 가져옵니다. 이러한 것들을 모아 선교비를 적립합니다. 2013년 목표가 달성되기를 기대하며 오늘도 버려야 할 것을 찾아봅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년 8월 15일. 목)
누구든지 자기의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누가복음 14:33)
- 주여 내게서 버려야 할 것들을 찾게 하소서!
Daily Bread & Prayer(Aug. 15. 2013. Thu)
Any of you who does not give up everything he has cannot be my disciple. (Luke 14:33)
- My Lord, let me find things to give away!
오늘은 누가복음 13장과 민수기 29장 그리고 시편 45편을 읽습니다.
성경을 전체적으로 읽을 수 있기를 기대하며 복음서를 읽을 때는 역사적인 예수 그리스도를 시편을 읽을 때는 삶의 지혜를 구약을 읽을 때는 선택받은 민족의 여정에서 깨달아야 할 것들을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누가복음은 사람복음이라고도 합니다.
사람이란 인자(人子)라는 한자로 사람의 아들로 오신 메시아를 의미합니다.
하나님이 인간의 몸으로 세상에 오셨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시기 위한 사건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이란 자기 울타리를 벗어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죄의 울타리에 갇힌 인간은 죄의 밖으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그러므로 죄의 올가미를 벗어야 합니다.
죄의 올가미를 벗으려면 죄를 깨닫고 회개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회개의 영을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내 의지와 기억으로는 죄를 온전히 벗어버릴 수 없습니다.
영을 부여하신 하나님의 도움으로 내 육체가 범한 죄를 영이 고백할 때 새로운 울타리 속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어제와 오늘 Escape from Camp 14(14호 수용소 탈출) 이란 책을 읽었습니다(현재 21개 언어로 번역 출판되었다고 함).
14호 수용소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성장한 신동혁의 북한 탈출 및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죄의 올가미에 갇힌 사람의 모습을 엿 볼 수 있었습니다.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자유국가에 적응해야 하듯이 죄를 갖고 태어난 인생은 죄를 해결할 수 있는 영의 도움을 받아야만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희도 만일 회개치 아니하면 다 이와 같이 망하리라. (누가복음 13:3)
- But unless you repent, you too will all perish.
(오늘의 기도) 온전한 회개를 위한 회개의 영을 내려 주시옵소서!
Please give me a spirit of repent that is a new creation.
오늘은 누가복음 12장과 민수기 28장 그리고 시편 44편을 읽습니다.
바벨탑 비전이란 말을 아십니까?
인간의 과욕이 결국에는 흩어져버린다는 교훈입니다.
시날 평지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제부터는 흩어지지 말고 이곳에서 하늘에 닿는 탑을 쌓기 시작합니다.
하늘의 하나님이 인간들의 하는 일을 보시고 서로 말이 통하지 않게 하셨습니다.
원대한 꿈의 실현을 위한 바벨탑은 쌓지도 못하고 서로 말이 통하지 않아 흩어지고 말았습니다.
인간의 원대한 계획이라도 하나님의 허락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교훈입니다.
그런데도 인간은 여전히 어리석습니다.
어리석은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지혜를 구하는 것입니다.
지혜는 땅에서 솟아나는 것이 아니라 위로부터 내려오는 은사입니다.
삶에 의욕을 잃고 지쳐버린 젊은이가 생을 마감하려고 산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마침 산속에는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는 작은 공동체가 있었습니다. 마침 그 공동체를 이끌고 있는 사람에게 젊은이는 신세한탄을 합니다. 도저히 자기 힘으로 살아갈 힘도 용기도 없다고 탄식합니다. 그러자 공동체의 지도자가 젊은 친구의 넋두리를 듣고 난 후에 한 가지 부탁이 있습니다. 지금 숙소가 너무 좁아 작은 움막을 지어야 하는데 이것을 완성할 때까지 나를 도와주고 그리고 죽으면 안 될까요?
젊은이는 이왕 죽기로 한 몸이니 움막을 짓는 일을 돕고 나중에 죽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하여 그날부터 움막을 짓는 일을 돕기 시작합니다. 여러 날 후에 움막이 완성되었고 젊은이는 제게 삶의 의욕을 주셔서 감사하다며 죽지 않겠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다른 사람을 돕는 중에 내가 존재하는 이유를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세상 삶의 원리가 나를 만족시키려면 한이 없지만 다른 사람을 만족시키는 것은 조금만 수고해도 얻을 수 있습니다.
삶의 의욕을 잃어버렸다면 나를 위한 삶의 자리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을 생각할 줄 아는 마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이기적이었던 내 안의 모든 잡동사니들을 오늘의 말씀으로 씻어버리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은총을 기도합니다.
There is nothing concealed that will not be disclosed, or hidden that will not be made known.(Luke 12:2)
감추인 것이 드러나지 않을 것이 없고 숨은 것이 알려지지 않을 것이 없나니.(누가복음 12:2)
(오늘의 기도) 내 안에 숨은 죄악까지도 온전하게 벗어버리게 하소서!
In my heart the hidden sin is discard completely.
오늘은 누가복음 11장과 민수기 27장 그리고 시편 43편을 읽습니다.
탈무드에서 유대인들의 자녀 교육 방법으로 물고기를 잡아 주지 말고 물고기를 잡은 방법을 가르치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앙의 사람에게 가장 먼저 가르쳐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도는 만능열쇠(master key)와 같습니다.
모든 문을 열 수 있는 열쇠가 만능열쇠인 것처럼 기도는 모든 문을 활짝 열 수 있습니다.
요사이 무슨 문제로 시달리고 있습니까?
어떤 문제이든지 그 문제를 기도로 풀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응답받지 못하는 기도는 무엇일까요?
첫째는 회개가 없는 기도(이사야 1:15)
‘너희가 손을 펼 때에 내가 눈을 가리우고 너희가 많이 기도할지라도 내가 듣지 아니하니 이는 너희의 손에 피가 가득함이니라.’
손에 피가 가득하다는 것은 죄가 많다는 뜻입니다. 회개하지 않는 자의 기도는 응답하지 않으십니다.
둘째는 욕심으로 구하는 기도(야고보서 4:3)
‘너희가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함이니라.’
자기 욕심을 채우려는 기도에는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이기적인 생각은 이기적인 기도에 몰두하도록 유혹합니다.
셋째는 의심으로 하는 기도(야고보서 1:6)
‘오직 믿음으로 구하고 조금도 의심하지 말라. 의심하는 자는 마치 바람에 밀려 요동하는 바다 물결 같으니 이런 사람은 무엇이든지 주께 얻기를 생각하지 말라.’
기도하면서도 과연 응답을 하실까 하는 기대 반 믿음 반 또는 간절함이 없는 기도는 응답받기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 먼저 기도할 것은 성령으로 충만케 되기를 기도하시기 바랍니다,.
주여! 성령으로 충만하게 성령의 은사로 충만하게 하옵소서.
너희 천부께서 구하는 자에게 성령을 주시지 않겠느냐. (누가복음 11:13)
- Your Father in heaven give the Holy Spirit to those who ask him!
(오늘의 기도) 날마다 성령으로 충만케 하옵소서!
Fill me with Holy Spirit every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