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8월 26일, 월) - 요한복음 1장


오늘은 요한복음 1장과 신명기 5장 그리고 시편 56편을 읽습니다.


오늘부터 요한복음을 읽습니다.

요한복음의 상징은 독수리라고 합니다.

높은 하늘을 날아다니다가 땅바닥에 움직이는 닭과 새 및 쥐를 발견하면 순식간에 내려와 두 발톱으로 먹이를 낚아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날짐승입니다.

그 높은 곳에서 땅바닥의 작은 먹이를 찾아낼 수 있는 눈을 갖고 살아갑니다.

사람에게도 독수리와 같은 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눈을 영안(靈眼)이라고 합니다.


사람에게 영안이 있는지 없는지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아마 그 것은 사람의 언어와 생각이라고 하겠습니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어보면 그 사람의 마음 상태가 보입니다.

또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면 그 사람의 생각이 드러납니다.


주의 영광이란 주님이 보여주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주를 믿는 주의 자녀들을 통하여 주의 영광이 드러나야 합니다.

나를 통하여 주의 영광이 드러날 수 있도록 내가 사용하는 언어와 나의 생각이 주님을 닮고 주님을 따라야 합니다.


나를 통하여 영광을 받아주소서!

영광은 삶의 모습이며 또한 남겨진 발자취입니다.

오늘도 나의 삶이 세상을 향하여 소금과 빛으로 드러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6) 월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더라. (요한복음 1:14)

- 주의 영광을 보며 살아가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6. 2013) Mon


The Word became flesh and made his dwelling among us. We have seen his glory, the glory of the One and Only, who came from the Father, full of grace and truth.(John 1:14) 

- To live is to watching  the glory of the Lord.



오늘의 묵상(8월 25일, 주일) - 누가복음 24장


오늘은 누가복음 24장과 신명기 4장 그리고 시편 55편을 읽습니다.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

가장 참혹한 죽음의 십자가와 생명의 신비함을 드러내는 부활,

그 십자가는 항상 앞에 놓여 있었건만

십자가를 바라보며 믿음의 길을 가면서도

부활의 감격과 기쁨을 상실한 오늘의 기독교

이제라도 다시 한 번 십자가를 똑바로 쳐다보며

생명을 노래할 줄 아는 믿음을 사모합니다.

위로부터 내려오는 은혜

아래로부터 올라가야 하는 섬김

오른편에서 시작하는 올바른 신앙으로

왼편에서 기웃하는 어리석은 사람들에게 믿음을 보여주고파

오늘의 은총을 노래합니다.

빈 무덤 앞에서 주님을 찾았던 여인들처럼

살아계신 주님을 찾습니다.

주님!

나를 믿음의 도구로 써 주십시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5) 주일

어찌하여 산 자를 죽은 자 가운데서 찾느냐?(누가복음 24:5)

- 주님이 항상 내 안에 살아계심을 알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5. 2013) Sun


Why do you look for the living among the dead?(Luke 24:5)

- Let me know that my Lord lives in me always!   




오늘의 묵상(8월 24일, 토) - 누가복음 23장


오늘은 누가복음 23장과 신명기 3장 그리고 시편 54편을 읽습니다.


오늘은 바라보는 것에 대해서 생각합니다.

사람의 얼굴을 정면에서 보는 것과 오른쪽이나 또는 왼쪽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의 얼굴은 하나이지만 바라보는 방향과 위치에 따라 얼굴의 모습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십자가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정면으로 보는 십자가

십자가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는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납니다.


둘째는 오른편에서 보는 십자가

십자가를 오른편에서 바라볼 때는 예수님의 자비가 나타납니다.


셋째는 왼편에서 보는 십자가

십자가를 왼편에서 바라볼 때는 인간의 탐욕이 나타납니다.


어느 방향에서 십자가를 바라보고 계신가요?

여러 방향에서 십자가를 바라볼 수 있는 것처럼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여러 방향으로 바라보고 생각해야 합니다.


자기 위치에서 자기를 바라보는 사람은 이기적인 사람입니다.

자리를 높은 위치에서 바라보는 사람은 교만한 사람입니다.

자기를 낮은 자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은 겸손한 사람입니다.


가족들을 바라볼 때 어떤 위치에서 바라보셨는지요?

높은 위치에서 바라보셨다면 위치를 바꿔보시기 바랍니다.

자리를 바꾸는 순간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것을 목격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4) 토요일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위하여 울라.(누가복음 23:28)

- 나의 자녀를 위하여 눈물을 흘리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4. 2013) Sat


Daughters of Jerusalem, do not weep for me; weep for yourselves and for your children.(Luke 23:28)

- Let us weep for my children!   



오늘의 묵상(8월 23일, 금) - 누가복음 22장



오늘은 누가복음 22장과 신명기 2장 그리고 시편 53편을 읽습니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나는 무엇을 하고 있을까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수님께서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 만찬을 베푸셨습니다.

요즈음처럼 화려한 식탁이 아니라 아주 간단하지만 의미 있는 밥상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 밥상 앞에서 이상한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십자가의 죽음을 생각하고 있는 예수님과는 달리 제자들은 누가 높으냐 누가 큰 사람이냐 하며 인간의 본능에 따라 다투고 있었습니다.

인간의 교만이란 때와 장소를 구분하지 못합니다.

물론 이전에도 이런 논쟁은 있었습니다(막 9:33-34).

서열을 좋아하는 것이 인간입니다.

제자들도 인간이었기에 예수님을 따라다니면서도 여전히 서열과 자리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높은 자리와 좋은 자리 그리고 편안한 자리를 찾지 말고 낮고 섬기는 자리를 찾으셨던 예수님의 마음을 묵상합니다.

자리와 지위 보다는 섬김의 위치에 관심을 갖고 오늘도 섬기는 일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성도로 승리하시기를 기도합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3) 금요일

나는 섬기는 자로 너희 중에 있노라. (누가복음 22:27b)

- 섬기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3. 2013) Fri


I am among you as one who serves. (Luke 21:27b)   

- Lord I want to be a servant!



오늘의 묵상(8월 22일, 목) - 누가복음 21장


오늘은 누가복음 21장과 신명기 1장 그리고 시편 52편을 읽습니다.


헌금에 대한 예수님의 계산 방법을 생각합니다.

세상에서는 헌금을 바치는 양에 따라 많고 적음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바치는 양이 아니라 헌금을 바치고 아직도 남은 것이 얼마나 있느냐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부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바쳤어도 여전히 남은 것도 가진 것도 많으므로 많이 바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반면에 가난한 과부는 두 렙돈의 가장 작은 동전을 바쳤어도 많이 바쳤다고 하십니다. 그 이유는 가난한 과부는 생활비 전부를 바쳤기 때문에 남은 것이 없기 때문에 부자보다 더 많이 바친 것이라고 합니다.


헌금은 내가 바치는 양이 아니라 내게 남은 것을 계수하신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작은 것을 알뜰하게 사용하고 바칠 수 있는 믿음과 지혜를 기도할 뿐입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2) 목요일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 자기의 있는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누가복음 21:4)

- 나의 남은 것을 헤아릴 줄 아는 믿음으로 주옵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2. 2013) Thu


All these people gave their gifts out of their wealth;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all she had to live on. 

- Please give me a  faith that to know count the rest.




오늘은 누가복음 21장과 신명기 1장 그리고 시편 52편을 읽습니다.


헌금에 대한 예수님의 계산 방법을 생각합니다.

세상에서는 헌금을 바치는 양에 따라 많고 적음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바치는 양이 아니라 헌금을 바치고 아직도 남은 것이 얼마나 있느냐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부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바쳤어도 여전히 남은 것도 가진 것도 많으므로 많이 바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반면에 가난한 과부는 두 렙돈의 가장 작은 동전을 바쳤어도 많이 바쳤다고 하십니다. 그 이유는 가난한 과부는 생활비 전부를 바쳤기 때문에 남은 것이 없기 때문에 부자보다 더 많이 바친 것이라고 합니다.


헌금은 내가 바치는 양이 아니라 내게 남은 것을 계수하신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작은 것을 알뜰하게 사용하고 바칠 수 있는 믿음과 지혜를 기도할 뿐입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2) 목요일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 자기의 있는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누가복음 21:4)

- 나의 남은 것을 헤아릴 줄 아는 믿음으로 주옵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2. 2013) Thu


All these people gave their gifts out of their wealth;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all she had to live on. 

- Please give me a  faith that to know count the rest.





오늘의 묵상(8월 21일, 수) - 누가복음 20장


오늘은 누가복음 20장과 민수기 36장 그리고 시편 51편을 읽습니다.


목회자들이 세금을 내야 하느냐 아니면 내지 말아야 하느냐 하는 주제가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

세금을 내라고 법으로 제정하기 전에 미리 납부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합니다.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 바치라고 하셨던 예수님의 생각을 묵상합니다.

과연 그리스도인은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첫째는 하나님의 부름에 합당한 삶

하나님께서 왜 나와 같은 사람을 부르셨는지 묵상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소명을 생각하는 삶을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둘째는 사람을 사랑하는 삶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하셨습니다.

사랑이란 내 것을 쪼개는 것입니다.

남는 것을 처리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 손에서 아깝다는 것을 나눌 수 있는 마음입니다.


셋째는 마지막을 생각하는 삶

나의 마지막은 어디일까를 생각해야 합니다.

순간순간 나의 마지막을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에 욕심에 붙잡히게 됩니다.

죽음의 문을 넘어갈 때 욕심은 아무런 유익을 줄 수 없습니다.


내 것과 하나님의 것을 구분하는 지혜를 기도하며 오늘도 겸손히 새벽의 창을 열어봅니다.


과연 나는 어떤 길을 걸었는가?

내가 걸어온 그 길과 걸어가야 할 그 길이 주님을 기쁘시게 하는 길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1) 수요일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누가복음 20:25)

- 하나님의 것을 구분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1. 2013) Wed

Then give to Caesar what is Caesar's, and to God what is God's.(Luke 20:25)

- To do live that distinguish between God's things. 




오늘의 묵상(8월 20일, 화) - 누가복음 19장



오늘은 누가복음 19장과 민수기 35장 그리고 시편 50편을 읽습니다.


누가 행복한 사람일까요?

런던 타이즈다 설문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1위는 바닷가 모래밭에서 모래성을 완성한 어린이, 2위는 아기를 목욕시키고 재우고 난 후 아기 얼굴을 바라보며 뿌듯해 하는 어머니, 3위는 구슬땀을 흘리며 공예품을 완성한 목공, 4위는 어렵고 힘든 수술 끝에 생명을 구한 의사이었다고 합니다.


행복한 사람은 높은 지위를 얻는 것도 많은 재물을 모은 것도 아닙니다.

오늘 아침 누가복은 19장에서 행복한 사람 삭개오를 만날 수 있습니다.

삭개오가 행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예수님을 찾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신체적인 조건은 키가 작았기에 많은 재물에 좋은 집을 갖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만난 후에는 재물이 아니라 재물을 나누고 돌려주므로 행복할 수 있었습니다.

삭개오가 이란 행복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단 하나 주님을 영접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만나셨습니까?
죄 사함을 받았습니까?

주님과 동행하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행복해야 합니다.

만일 행복하지 않다면 내가 만난 예수님은 예수님이 아닙니다.

예수님을 만난 사람은 행복해야 합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20) 화요일


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으니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임이로다.(누가복음 19:9)

- 모든 가족들이 아브라함의 후손으로 살아가게 하옵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20. 2013) Tue


Today salvation has come to this house, because this man, too, is a son of Abraham.    

- All family live with the descendants of Abraham! 




오늘의 묵상(8월 19일, 월) - 누가복음 18장


오늘은 누가복음 18장과 민수기 34장 그리고 시편 49편을 읽습니다.


기도란 소망을 하늘에 두는 것입니다.

세상에 소망을 둘 때는 눈에 보이는 것마다 내 것으로 갖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소망을 하늘에 둘 때는 보이는 것마다 주님께 드리고 싶어 합니다.

마이다스 손에 관한 희랍의 신화를 기억하시나요?

마이다스 왕은 황금을 갖고 싶어 하는 왕 이었습니다.

그의 소원은 그가 붙잡는 모든 것이 황금으로 변하기를 소원했습니다.

드디어 왕의 소원이 성취되는 순간 너무 기뻤습니다.

왕후가 왕을 만나려고 다가올 때 왕은 왕후를 안았습니다.

그 순간 왕후는 금덩어리가 됩니다.

물을 마시려고 컵을 잡으면 황금이 됩니다.

모든 것이 황금으로 변할 때 왕은 후회합니다.

황금이 세상살이에 필요하지만 모든 것이 황금으로 변한다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세상살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기도는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찾을 줄 아는 믿음입니다.

절망의 구렁텅이에서도

육체의 극심한 고통 가운데서도

경제적인 어려움에 몸서리칠지라도

결코 낙심하지 않고 끈질기게 하나님을 찾는 것이 기도입니다.


오늘의 성구와 기도(2013. 8. 19) 월

항상 기도하고 낙망하지 마라(누가복음 18:1)

- 소망하는 기도자가 되게 하소서!


Today's Bible & Prayer(Aug. 19. 2013) Mon

Always pray and not give up.(Luke 18:1) 

- Lord I want to be a prayer for h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