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11월 7일, 목) - 고린도전서 9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9장과 사사기 20장 그리고 시편 129편을 읽습니다.


명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1867. 3. 25-1957. 1. 16)는 악보를 볼 수 없을 만큼 시력이 나빴다고 합니다.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였는데 악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연주곡 전체를 머릿속에 담았다고 합니다.


어느 날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지휘를 할 수 없는 일이 생겨 대신할 지휘자를 찾다가 악보를 다 외우고 있는 토스카니니가 발탁돼 일약 세계적인 지휘자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고 합니다.


조건과 성공은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악 조건 속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신앙의 세계에서도 환경과 조건을 극복하고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일을 이루려면 반드시 어떤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첫째는 최선을 다하라!


내게 맡겨진 하루 24시간을 최선을 다하여 사용할 줄 아는 지혜와 결단이 필요합니다.


둘째는 자기와 싸워 이기라!


인생은 자기와의 싸움입니다. 자기와의 싸움에 이기면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자기와의 싸움에서 지면 실패할 것입니다. 자기와의 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절제라고 합니다.


셋째는 목표를 정하라!


신앙생활의 목표는 오직 주님입니다.

믿음의 주가 되시며 온전케 하시는 주님을 바라보며 나아가야 합니다.

믿음을 지킨 사람들에게 약속된 은혜를 생각합니다.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 되었으니.’


주님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자기를 쳐서 이기며 오직 예수를 삶의 목표로 삼고 믿음의 경주자로 선한 싸움을 위해 수고한 사람에게 약속된 그 상을 바라보며 오늘도 승리의 길을 걸으시기를 기도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7. 2013) Thu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복음에 참예하고자 함이라.(고린도전서 9:23)

- 복음에 참여하는 삶을 이루게 하소서!

I do all this for the sake of the gospel, that I may share in its blessings.  .(1Corinthians 9:23) 

- Lets live for the Gospel!


오늘의 묵상(11월 6일, 수) - 고린도전서 8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8장과 사사기 19장 그리고 시편 128편을 읽습니다.


예수를 믿는 궁극적인 목적은 구원입니다.

구원을 거듭남이라고도 합니다.

거듭남이란 죄의 지배를 받던 자리에서 은혜의 지배로 옮겨지는 것입니다.

죄의 지배를 받는 사람은 세상의 방식을 따라 갑니다.

은혜의 지배를 받는 사람은 하나님의 방식을 따라 갑니다.


초대 교회 시대에 고기를 먹어야 하느냐 먹지 말아야 하느냐 라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유통되는 고기들은 판매되기 전에 우상의 제물로 바쳐졌던 것들이었습니다. 이러한 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는 사람들과 먹어도 상관없다는 사람으로 의견이 갈라져 서로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고기를 먹는 일에 대하여 이렇게 고백합니다.

“그러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에 대하여는 우리가 우상은 세상에 아무 것도 아니며 또한 하나님은 한 분밖에 없는 줄 아노라.”


바울은 우상은 아무것도 아니기 때문에 하나님께 감사하고 먹으면 문제 될 것이 없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바울은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다투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고 고집을 부리는 형제들을 무시하거나 멸시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생각은 서로 다르나 그 다른 생각의 동기가 같다고 말하며 자기와 생각이 다른 형제들을 두둔하였습니다.


바울은 먹느냐 먹지 않느냐 라는 결과 보다는 오히려 왜 먹느냐 아니면 왜 먹지 않느냐 하는 동기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먹지 않는 사람도 하나님을 위하여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먹는 사람도 하나님을 위하여 먹는다고 합니다.

모두가 하나님만을 섬기려고 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위하는 마음과 믿음으로 서로를 비판하지 말고 사랑하라고 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고기를 먹는 것도 먹지 않는 것도 문제가 아니지만 나는 고기를 먹을 수 있는 믿음을 갖고 있으나 누군가라 이로 인하여 실족한다면 나는 영원히 고기를 먹지 않는 믿음을 갖겠다고 고백합니다.


서로 다른 생각 때문에 화평하지 못하는 것보다는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므로 화평을 누리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생각의 차이가 신앙의 근본 교리를 위배하는 것이 아니라면 서로 화평하며 보듬어 줄 수 있는 여유 있는 믿음을 기도합시다.


Daily Bread & Prayer(Nov. 6. 2013) Wed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고린도전서 8:1b)

- 사랑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게 하소서!

Knowledge puffs up, but love builds up.(1Corinthians 8:1b) 

- Lets change the world by love!




오늘의 묵상(11월 5일, 화) - 고린도전서 7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7장과 사사기 18장 그리고 시편 127편을 읽습니다.


하나님이 세워주신 두 가지 제도는 가정과 교회라고 하겠습니다. 교회보다는 가정이 먼저 세워졌기에 가정은 모든 것의 기초라고 하겠습니다. 가정에 대한 성경적인 믿음과 실천이 없다면 사회는 혼란스러워 질 것입니다.

‘다투는 여인과 함께 큰 집에서 사는 것보다 움막에서 혼자 사는 것이 나으니라.’(잠언 21:9) 

결혼과 이혼이 유행처럼 드러나는 시대에 올바른 결혼과 가정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가 필요합니다.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재치 있게 농담하며 사람들을 웃길 줄 아는 한 여성이 있었습니다. 그 여성은 남편을 사랑하면서도 가끔씩 남편을 소재로 농담하는 버릇이 있었습니다. 마음이 너그러운 남편은 아내의 농담을 탓하지 않고 함께 웃고 즐겼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반복되면서 남편은 사람들이 모이는 자리에 아내와 같이 참석하는 것을 꺼리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아내는 당황했습니다. 얼마 후 아내는 자신의 농담이 남편에게 상처가 되었다는 것을 알고 남편이 농담의 소재가 아니라 자신에게 유능한 남편이라며 남편을 자랑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내의 농담에 잠시 흔들렸던 남편은 평정을 찾고 아내와 함께 모임에 참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가정은 어느 한 사람의 노력으로 세워지는 곳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가 서로 세워줄 때 든든하게 자리를 잡게 될 것입니다. 전혀 다른 두 사람이 성장한 후에 하나가 된다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온전하게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화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성격을 바꾸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상대방에게 내가 맞추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새롭게 시판되는 제품에는 반드시 사용법이 있습니다. 사용법에 따라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제품을 사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결혼과 가정은 하나님이 만드신 제도이므로 하나님의 설명서를 따라야 합니다.


아담과 하와의 최초의 결혼식을 통해 하나님의 설명서를 살펴봅니다.


첫째는 경제적 독립

아담은 다스리고 지키면서 자신의 위치를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둘째는 돕는 배필

자신에게 적합한 짝을 찾아야 합니다. 적합한 짝이란 부족한 부분을 서로 채워주는 것입니다.


셋째는 하나님의 섭리

섭리란 하나님의 통치권에 들어가는 것으로 아담이 깊은 잠에 있을 때 하나님은 아담에게 여인을 데려다 짝지어 주셨습니다. 아담이 찾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브를 안내해 주셨습니다.


넷째는 칭찬

아담은 하와에게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 이라고 감격하며 감동했습니다.


다섯째는 떠남과 연합

남자는 부모를 떠나 아내와 합해야 하며 여자도 부모의 영향력을 벗어나 새로운 가족이 되기 위하여 온전한 하나를 이루어야 합니다.

가정을 이루기 위한 결혼의 제도가 사회적 유행과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경적 믿음으로 더욱 든든하게 다져지기를 기도할 뿐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5. 2013) Tue


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고린도전서 7:17)

- 내게 주신 은사를 바르게 사용하게 하소서!

Nevertheless, each one should retain the place in life that the Lord assigned to him and to which God has called him.(1Corinthians 7:17) 

- Let use the properly about the gift given to me.




오늘의 묵상(11월 4일, 월) - 고린도전서 6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6장과 사사기 17장 그리고 시편 126편을 읽습니다.


믿는 사람들이 왜 성결한 생활을 해야 하는지의 이유를 그는 세 가지로 설명합니다.

첫째는 모든 죄가 몸 밖에 있지만 음행은 죄가 자기 몸 안에 거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몸은 성령의 전입니다.

셋째는 너희 몸은 너희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성결한 삶을 강조합니다. 그러므로 몸으로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내 몸인데 내 몸이 아니라고 합니다. 내 몸이 왜 내 몸이 아닙니까? 내 몸이 죄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것은 자유를 얻게 하려고 죄 값을 지불하셨기 때문입니다.

죄 값을 지불하시려고 은이나 금 같이 없어질 것으로 한 것이 아니라 오직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피로 값을 주었다고 하셨습니다. 우리가 죄 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자기의 생명으로 자기의 보혈로 값을 주고 우리를 샀습니다. 그러므로 내 몸이 내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합니다.


몸으로 영광을 돌리는 삶을 생각합니다.


첫째는 성결한 생활

성결한 생활은 죄를 떠나는 것입니다.


둘째는 고귀한 생활

고귀한 생활은 사회에 유익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셋째는 희생적 생활

희생적 생활은 자기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성령께서 내 안에 거하시기 때문에 나는 성령의 이끌림을 받아야 합니다.

성령께서 인도하는 길을 따라 갈 수 있는 믿음을 기도합니다.

오늘도 새롭게 하소서!

Daily Bread & Prayer(Nov. 4. 2013) Mon


너희 몸은 너희가 하나님께로부터 받은바 너희 가운데 계신 성령의 전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너희는 너희의 것이 아니라, 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고린도전서 6:19-20)

- 몸으로 주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소서!

Do you not know that your body is a temple of the Holy Spirit, who is in you, whom you have received from God? You are not your own; you were bought at a price. Therefore honor God with your body.(1Corinthians 6:19-20) 

- Let the honour of the Lord by my body.




오늘의 묵상(11월 3일, 주일) - 고린도전서 5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5장과 사사기 16장 그리고 시편 125편을 읽습니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양(羊)으로 묘사합니다.

성경의 마지막 책에서(요한계시록) 예수 그리스도를 철저하게 어린 양이라고 소개합니다(5:6-13, 6:11, 16, 7:9-10, 17, 12:11, 13:8, 14:1-4, 10, 15:3, 17;14, 19:7-9, 21:9-27, 22:1).

‘어린 양’이란 ‘큰 양’의 상대적인 표현으로 큰 양은 다 성장하여 교미(交尾)한 경험이 있는 양이지만 어린 양은 성(性)을 아직 모르므로 정결하고 순수한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를 어린 양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예수의 순수성과 순결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예수는 성경이 요구하는 흠과 티가 없는 정결함의 어린 양이었습니다.

구약의 짐승 제물도 흠과 티가 없어야 하듯이 인류의 죄를 대속하는 대속물도 흠이 없어야 합니다.


어린 양 예수는 순결하고 흠이 없는 제물로서 모든 사람들의 죄를 대속할 수 있는 제물이었습니다.

십일월 첫 주일입니다.

어린 양 예수를 찬양하는 예배에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3. 2013) Sun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고린도전서 5:7)

- 나를 부르시는 주님의 음성을 듣게 하소서!

Get rid of the old yeast that you may be a new batch without yeast--as you really are. For Christ, our Passover lamb, has been sacrificed.(1Corinthians 5:7) 

- Let me hear the voice of the Lord!



오늘의 묵상(11월 2일, 토) - 고린도전서 4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4장과 사사기 15장 그리고 시편 124편을 읽습니다.


충성(忠誠)이란 무엇일까요?


함경도 어촌에 한 소년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할아버지가 운영하던 40척의 고기잡이배가 한 척도 돌아오지 않았다. 폭풍에 모두 침몰되었습니다. 소년의 가족은 그 많던 재산을 피해자들에게 나눠주고 빈손으로 동네를 떠났습니다.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소년은 하루아침에 캐나다인 선교사 가정의 머슴이 됐습니다. 소년은 온갖 힘든 일을 맡아 감당했습니다. 추운 겨울에 맨손으로 빨래를 했고 때로는 너무 힘이 들어 울기도 했습니다. 선교사는 소년의 정직함을 시험하려고 눈에 보이도록 돈을 놓아두었습니다. 그러나 소년은 한 번도 그 돈에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소년은 선교사의 마음에 흡족한 사람으로 인정한 후 소년을 서울에 데려가 교육시켰고 일본과 미국으로 유학도 보냈습니다. 훗날 이 소년이 김치선박사가 되어 남대문교회 목사를 지냈고 천안대의 전신인 대한신학교 창설자가 되었습니다.

 

기원후 79년에 이탈리아의 폼페이 근처에 베스비우스 산이 용암을 내뿜어 폼페이 시 전체를 완전히 폐허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 후 고고학자들이 폼페이 시가지를 발굴하기 시작하면서 발굴자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모습이 하나 발굴되었습니다. 그것은 폼페이 성 문을 지키는 보초병으로 성문 앞에 손에 창을 들고 부동의 자세를 하고 죽은 모습으로 발견된 것이었습니다.

 

런던에 있는 미술관에 가면 이 군인을 모델로 해서 그 당시의 어지러운 모습을 그려놓은 유명한 그림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그림 아래에 ‘충성’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된다고 합니다.


충성이란 주위의 그 어떤 환경과 여건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기가 맡은 일에 책임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이 이렇게 하든지 그것에 관여할 바가 아니며  남들이 알아주든지 몰라주든지 그것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은밀히 보시는 주님께서 모든 것을 알아주신다는 믿음으로 그 어떠한 환경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든든히 서서 충성해야 할 것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2. 2013) Sat


맡은 자들에게 구할 것은 충성이니라.(고린도전서 4:2)

- 충성스런 일군으로 살아가게 하소서!

Now it is required that those who have been given a trust must prove faithful. (1Corinthians 4:2) 

- I will live as a faithful servant!



오늘의 묵상(11월 1일, 금) - 고린도전서 3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3장과 사사기 14장 그리고 시편 123편을 읽습니다.


사람들이 모여 살면 문화와 문명이 발생합니다.

문화에 대한 이해에 따라 신앙의 위치가 결정됩니다.

문명의 충돌은 사무엘 헌팅던 박사의 이론으로 세계 대전 이후 국가 간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했습니다.

반면에 헤럴드 뮐러 박사는 문명 공존론을 주장하여 문명이 서로 충돌하는 것만이 아니라 서로 이해하고 공존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문명 충돌은 기득권을 갖는 한 종교가 우월하다고 주장하므로 종교패권주의가 될 것이고 문명 공존은 종교다원화주의와 같은 모든 종교가 동일하다고 할 것입니다.


기독교는 종교가 아니라 생명입니다.

생명이란 사활(死活)의 문제를 의미합니다.

죽느냐? 사느냐? 이것이 문제입니다.

살아있다는 것은 육체적 생명이 아니라 영적 생명을 소유하는 것입니다.

육체적 생명은 모든 동물들도 갖고 있습니다.

사람은 영적 생명을 갖는 특수한 존재입니다.

종교는 육과 혼의 세계와 영역에 속한 것이라면 기독교는 영과 혼과 육의 세계를 다루는 것입니다.

생명을 소유한 사람은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이며 동시에 성령이 내주하는 성전입니다.

왜 성령이 내주해야 합니까?

영적 생명을 위한 것입니다.


고린도교회 안에서 세 종류의 신앙을 소개합니다.

첫째는 육적 신앙의 사람

둘째는 혼적 신앙의 사람

셋째는 영적 신앙의 사람

서로 다른 신앙의 형태가 충돌하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길은 성령이 내 안에 내주하게 하는 것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 2013) Fri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뇨.(고린도전서 3:16)

- 나를 성령의 전으로 세워주소서!

Don't you know that you yourselves are God's temple and that God's Spirit lives in you?(1Corinthians 3:16) 

- I want to be a temple of God.


오늘의 묵상(10월 31일, 목) - 고린도전서 2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2장과 사사기 13장 그리고 시편 122편을 읽습니다.


사람은 영적 존재라고 합니다.

물론 영적 존재에는 하나님과 사탄도 있습니다.

사람은 영적 존재이면서도 육체를 갖고 살아가는 특수한 존재입니다.

사람이 어느 부분에 의해서 지배를 받느냐에 따라 삶의 가치가 드러납니다.

육의 지배를 받으면 세상에서 온갖 좋은 것들을 몸에 걸치고 먹고 가지려고 합니다.

혼의 지배를 받으면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려고 합니다.

영의 지배를 받으면 주님을 닮아가려고 합니다.

예수님의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은혜를 갈망하며 시월을 마감합니다.

남은 두 달의 시간들이 알뜰하게 채워지기를 소원하며 오늘도 영적 존재의 진가를 깨닫는 은총을 찬양합니다.


Daily Bread & Prayer(Oct. 31. 2013) Thu


우리가 세상의 영을 받지 아니하고 오직 하나님께로 온 영을 받았으니 이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로 주신 것들을 알게 하려 하심이라.(고린도전서 2:12)

- 은혜로 주신 것을 깨닫게 하소서!

We have not received the spirit of the world but the Spirit who is from God, that we may understand what God has freely given us.(1Corinthians 2:12) 

- To recognize that gave me gr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