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11월 15일, 금) - 고린도후서 1장



오늘은 고린도후서 1장과 사무엘상 3장 그리고 시편 137편을 읽습니다.


구원받은 성도는 이미 성령을 받았습니다. 왜냐하면 성령이 아니면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고 시인하고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성령의 충만을 받아야 합니다.

성령의 충만이란 내 안에 거하는 성령께서 나의 모든 기관과 기능들을 주관하시는 것을 말합니다.

성도의 구원이란 첫째는 하나님의 예정의 불변성과 둘째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의 완전성과 그의 중보사역의 효력 그리고 셋째는 성령의 인치심이다.


사도 바울은 본문에서 세 번째 사실을 증거하여 우리에게 주신 성령은 구원의 보증이며 하나님의 인치심이라고 합니다. 


“내가 내 영혼을 두고 하나님을 불러 증거하시게 하노니 다시 고린도에 가지 아니한 것은 너희를 아끼려 함이라. 우리가 너희 믿음을 주관하려는 것이 아니요 오직 너희 기쁨을 돕는 자가 되려 함이니 이는 너희가 믿음에 섰음이라.”(23-24절)


이단자들이나 사이비종파의 교주들은 그들의 잘못된 교리들을 가지고 교인들의 믿음을 주장하고 지배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우리의 주인은 오직 하나님뿐이시라고 합니다.


본문에서 묵상해야 할 교훈은 무엇인가?

첫째, 범사에 단순하고 솔직하고 진실하게 살아야 한다.

모든 생활에서 간교하거나 위선적인 것들을 버려야 합니다.

 

둘째, 성령으로 구원을 보증하셨다.

성령께서는 끝 날까지 버리지 않으시고 지켜주실 것입니다.

 

셋째, 다른 사람의 믿음을 주관하려 하지 말고 기쁨을 돕는 자가 되어야 한다.

우리의 양심의 주인은 오직 하나님뿐이십니다. 바울처럼 겸손하게 다른 사람을 기쁨으로 도와야 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5. 2013) Fri


너희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함으로 도우라 이는 우리가 많은 사람의 기도로 얻은 은사를 인하여 많은 사람도 우리를 위하여 감사하게 하려 함이라.(고린도후서 1:11)

- 다른 사람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는 믿음을 주옵소서!

As you help us by your prayers. Then many will give thanks on our behalf for the gracious favor granted us in answer to the prayers of many.(2Corinthians 1:11)

- Please give faith that pray for others!


오늘의 묵상(11월 14일, 목) - 고린도전서 16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6장과 사무엘상 2장 그리고 시편 136편을 읽습니다.


오늘은 고린도전서 마지막 장을 읽습니다.


사람의 덕목은 지정의(知情意)가 균형을 갖추는 것입니다.

지정의가 균형을 갖춘 인격에 또 한 가지는 영성을 갖는 것입니다.

영성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닮아가는 것은 하루아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하루하루가 쌓여 마지막에 성취될 모습을 생각하며 오늘도 거룩한 백성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영성이란 ‘하나님을 향해서 하나님 안에서 살아가는 삶이다.’(아우구스티누스)


하나님 안에 거하십니까?

하나님 안에 거하는 삶의 특징은 생각이 거룩하고 행동이 거룩하고 습관도 거룩해야 합니다.

만일 거룩함이 어느 한 부분에서 부족하다면 그것은 거룩이 아닙니다.

거룩한 척과 거룩은 다릅니다.

온전한 거룩을 이룰 수 있는 삶을 기도하며 오늘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4. 2013) Thu


너희 모든 일을 사랑으로 행하라.(고린도전서 16:14)

- 오늘도 사랑의 힘으로 승리하게 하소서!

Do everything in love.(1Corinthians 16:14)

- Please let victory by the power of love today! 


오늘의 묵상(11월 13일, 수) - 고린도전서 15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5장과 사무엘상 1장 그리고 시편 135편을 읽습니다.


고린도전서 15장은 ‘부활장’ 이라고 합니다.

부활이란 관계의 시작입니다.

부활을 믿기 전에는 세상과 나의 관계는 나는 세상 속의 아주 작은 존재로 여겨졌는데 부활을 믿은 후에는 나는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가 되었다는 것을 깨닫는 시작입니다.


이러한 관계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나와 세상의 관계에서 열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떻게 새로운 관계가 열려질 수 있을까요?

그것은 예수님의 부활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부활하시지 않았다면 그는 메시아가 아닙니다.

그러나 바울은 성경대로 살아나셨다고 증거합니다.

예수님의 부활로 인하여 죽었던 사람들이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그런데 당시 헬라 사상은 ‘부활불가론’이라고 하여 한 번 죽으면 다시 살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사상이 고린도교회의 성도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기에 바울은 예수의 부활을 증거로 제시하며 반드시 부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3. 2013) Wed


그러나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고린도전서 15:10)

- 내게 주신 하나님의 은혜가 헛되지 않게 하소서!

But by the grace of God I am what I am, and his grace to me was not without effect. No, I worked harder than all of them--yet not I, but the grace of God that was with me.(1Corinthians 15:10) 

- Please God's grace that given to me is not vain.



오늘의 묵상(11월 12일, 화) - 고린도전서 14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4장과 룻기 4장 그리고 시편 134편을 읽습니다.


지식이란 배움의 과정으로 얻을 수 있지만 지혜는 배움으로 얻는 것이 아닙니다.

지혜는 예수님의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지혜를 가지려면 반드시 성경을 읽어야 합니다.

성경을 부분적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고린도교회의 문제가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과거의 사건을 교훈으로 오늘의 시대에 나타나는 교회 문제를 바르게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교회 분규가 교회 자체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세상의 법으로 판결하려는 것은 지혜가 아닙니다.


지혜로운 백성은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좇아가는 믿음으로 교회를 교회답게 세우고

성도들은 성도답게 살아가야 합니다.


더구나 현대는 여성들의 지위가 상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구시대적인 발상으로 성경을 인용하거나 주장하는 어리석음은 모두에게 덕이 될 수 없습니다.


성경은 남성을 우월하게 인정하고 여성을 비하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사랑하며 인정하므로 어지러움이 아니라 질서를 세워가야 하겠습니다.

시대는 변해도 진리는 변하지 않습니다.

시대에 적절하게 성경을 해석하고 사람들을 미혹하게 만들려는 계획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시대에 오직 주의 말씀으로 믿음을 지키며 사람들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교회와 지도자들이 일어나기를 기도합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2. 2013) Tue


형제들아 지혜에는 아이가 되지 말고 악에는 어린 아이가 되라 지혜에 장성한 사람이 되라.(고린도전서 14:20)

-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가게 하소서!

Brothers, stop thinking like children. In regard to evil be infants, but in your thinking be adults.(1Corinthians 14:20) 

- I want to be a wise man.


오늘의 묵상(11월 11일, 월) - 고린도전서 13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3장과 룻기 3장 그리고 시편 133편을 읽습니다.


믿음(信) 

소망(望) 

사랑(愛)


그리스도인의 삶의 3대 목표라고 하겠습니다.

믿음으로


믿음이란 죄에서 구원하실 수 있는 유일한 존재가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아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은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리스도를 전하지 못하는 믿음은 바람직한 믿음이 아닙니다.


소망으로 

소망이란 어떤 환경과 상황에서도 미래를 바라보는 것입니다.

절망이 가득한 거리에서 소망을 볼 수 있는 믿음은 누군가 주님을 찾아 헤매고 있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사랑으로

사랑은 내가 하나님께 속했다는 것을 확신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내 안에 역사하시는 주님이시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믿음과 소망과 사랑으로 승리하시기를........


Daily Bread & Prayer(Nov. 11. 2013) Mon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고린도전서 13:6)

- 진리를 따라 살아가게 하소서!

Love does not delight in evil but rejoices with the truth.  .(1Corinthians 13:6) 

- I want to live along the truth!



오늘의 묵상(11월 10일, 주일) - 고린도전서 12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2장과 룻기 2장 그리고 시편 132편을 읽습니다.


은혜는 구원을 얻게 하시려고 베풀어주신 선물

은사는 구원받은 은혜를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주시라는 선물

모든 성도들이 은혜와 은사에 따라 자신의 삶을 드린다면

세상은 더 없이 즐거워 질 것입니다.

주님의 능력이 세상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언제나 함께 하시는 주님을 찬양하며 시(詩)를 생각합니다.


발자국(Footprint)


어느 날 밤 어떤 사람이 꿈을 꾸었지요.

주님과 함께 바닷가를 거니는 꿈을........

하늘 저편엔 그의 삶의 순간들이 그림처럼 비치고

그 장면 마다엔 두 쌍의 발자국이 모래 위를 수놓았는데

한 쌍은 자기의 것

또 한 쌍은 주님의 것.


그의 인생의 마지막 날의 장면이 펼쳐졌고

모래 위의 발자국을 뒤돌아보니

인생의 오솔길엔 많은 절망과 슬픔이 있었는데

그 때마다 발자국은 한 쌍 뿐이었음을

또한 보았지요.


이 일이 하도 괴로워 주님께 묻기를

“주여 당신은 나와 항상 함께 걷기를 약속하시더니

어찌하여 괴로움에 허덕이고 가장 당신이 필요할 때에는

나를 버리셨나이까?”


주님 대답하시기를

“참으로 사랑하는 나의 소중한 아이야

내가 너를 버린 적은 절대로 없었지.

네가 시련 속에서 몸부림칠 때 한 쌍의 발자국뿐이었던 것은

내가 너를 안고 걸었기 때문이란다.”


“내가 너를 안고 걸었기 때문이란다.”

“내가 너를 안고 걸었기 때문이란다.”


언제나 함께 하시는 주님의 사랑을 사모하며

오늘도 섬김의 자리에서 살아계신 주님을 기다립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10. 2013) Sun


너희는 더욱 큰 은사를 사모하라 내가 또한 제일 좋은 길을 너희에게 보이시리라.(고린도전서 12:31)

- 큰 은사를 사모하게 하소서!

But eagerly desire the greater gifts. And now I will show you the most excellent way.(1Corinthians 12:31) 

- I want to a greater gift!




오늘의 묵상(11월 9일, 토) - 고린도전서 11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1장과 룻기 1장 그리고 시편 131편을 읽습니다.

성찬예식은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하셨던 최후의 만찬에서 유래했습니다.

최후의 만찬에 대한 기사는 마태복음 26:17-29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잡히시던 날 밤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있는 어느 다락방에서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날 저녁식사는 다른 날 저녁식사와는 다른 것이었습니다.


떡과 포도주를 나눠주시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떡을 떼어 주시며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그리고 누가복음에서는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고 하셨습니다(22:19).


이와 같은 예수님의 분부를 따라 제자들과 초대교회는 떡과 포도주를 나누며 주님의 고난과 죽으심 그리고 교훈을 기리며 성찬식을 거행했습니다.


성찬의 의미를 새겨봅니다.


첫째는 주님의 고난과 죽으심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주님은 나 때문에 죽으셨고 나는 주님 때문에 생명을 얻었습니다.

그 생명은 영원한 생명 곧 영생입니다.


둘째는 죄인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최후의 만찬 자리에는 주님을 모른다고 부인했던 베드로도 있었고 주님을 팔아넘긴 가룟 유다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회개를 했지만 가룟 유다는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성만찬은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확인하는 은혜의 자리입니다.


셋째는 자기를 살펴야 합니다.

자기를 살핀다는 것은 자기 모습을 깨닫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회개가 필요합니다. 회개가 없는 성찬은 주님을 배신하는 것이며 다시 십자가에 못 박는 것입니다.


넷째는 주님 오실 때까지 계속해야 합니다.

주님 오실 때까지 주님을 생각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식사 때마다 기도하는 것도 주님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식사 후에도 기도하는 것은 주님을 생각하며 살아가겠다는 다짐을 갖는 것입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9. 8 2013) Sat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 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고린도전서 11:1)

- 그리스도를 본 받는 삶을 이루게 하소서!

Follow my example, as I follow the example of Christ.(1Corinthians 11:1) 

- Lets I live for the imitation of Christ!



오늘의 묵상(11월 8일, 금) - 고린도전서 10장



오늘은 고린도전서 10장과 사사기 21장 그리고 시편 130편을 읽습니다.


성도들이란 세상 사람들과 구별된 사람을 말합니다.

구별이란 모양이 아니라 삶의 방식을 의미합니다.

세상 사람들은 세속의 방식 즉 세상 방식대로 살아갑니다.

그러나 성도들은 세상에서 살면서도 하나님의 방식을 따라 살아갑니다.

예를 들면 소년 다윗이 블레셋 장수 골리앗과 대면할 때 골리앗은 세상의 방식대로 칼과 단창과 창으로 무장을 하고 나왔지만 소년 다윗은 매끄러운 돌멩이와 막대기를 들고 나갔습니다.

사울 왕의 군대에는 소년 다윗보다 더 키도 크고 완벽하게 무장한 군사들이 많아 있었습니다. 사울 왕의 군사들은 세상의 방식대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나 보다 키가 크고 힘도 강한 골리앗 앞에 나설 수 없었습니다.

이것이 세상 방식입니다.

나 보다 더 강한 것이 나타날 때는 전혀 움직일 수 없습니다. 반면에 소년 다윗은 하나님의 방식을 따랐기 때문에 전혀 두려움이 없이 ‘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으로 나간다!’고 외치며 골리앗과 대항했습니다.

골리앗은 여전히 세상 방식을 좋아했기 때문에 이스라엘에 용사가 없어 저런 코흘리개와 같은 어린 아이를 내보내느냐? 너는 나를 개 취급하느냐 하며 소년 다윗을 조롱합니다.

그런데 결과는 세상 방식이 아니라 하나님의 방식이 승리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삶의 방식을 찾습니까?

성도는 하나님의 방식을 따라야 합니다.

그래야 하나님께서 구별하십니다.


Daily Bread & Prayer(Nov. 8 2013) Fri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치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고린도전서 10:24)

- 다른 사람의 유익을 생각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Nobody should seek his own good, but the good of others.(1Corinthians 10:24) 

- Lets live for the good of others!